View : 5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민정-
dc.creator강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3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49-
dc.description.abstract오랜 가출과 부랑생활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화 기회를 박탈당하고 부적응의 삶의 형태를 학습하는 가출·부랑 청소년들이 습관적인 부랑을 끝내고 가정으로 돌아가거나 독립하여 사회인으로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 사회적응을 돕는 사회복지개입과 연구는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가출부랑청소년의 사회적응과 관련된 연구는 없으며 이들의 부랑특성도 구체적으로 파악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회적 지지를 사회복지사의 지지, 또래지지, 친구지지로 나누고 ‘사회적 지지가 가출청소년의 일에 대한 태도, 자립의지,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일에 대한 태도, 자립의지, 사회적 적응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증다회귀분석기법을 사용, 분석하였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부랑경험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부랑경험의 정도, 형태별로 일에 대한 태도, 자립의지, 사회적응, 사회적 지지의 지각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1)사회복지사의 지지는 전체 일에 대한 태도와 그 하위요인인 사회적 표출성, 지위획득도구성에, 또래의 지지는 일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헌신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부며, (2)사회복지사의 지지, 또래지지, 친구지지 모두 자립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전체 사회적 지지와 그 하위요인인 자아적응에는 친구지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부랑경험의 정도별로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만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출청소년의 사회적응을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사회복지사, 친구 등 사회적 지지의 유형을 고려한 개별화된 개입방법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So much as it is important to help juvenile vagrants, who are suffering from a sort of vicious circle-like of run-away, vagrancy, and resulting mal-adjusted life, to return to family or adjust to social life out of repetitive vagrancy, it is important to exercise more effective social intervention or support and their research, both/either of which may prompt the social adjustment of juvenile vagrants. Nonetheless, few researches have paid an attention not only on the social adjustment of juvenile vagrants but also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m. The current study, addressing on the literature that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 social adjustment in general, set a hypothesis that social support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attitude of work, sense of self-reliance, and social adjustment of juvenile vagrants. The dependent variables, social support, sense of self-reliance, and social adjustmen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social support, which in turn, was divided into and measured by social worker support, peer group support, and friends' support through, are measured by interview survey of 88 juvenile vagrants. Two separate analyses were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s: (1) a se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tes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ree dependent variables in respective, (2) a series of ANOVA to test the difference of three dependent variables by the degree and types of juvenile vagrancy.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1) Social worker's support had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attitude of work and its sub-factors, such as social expressiveness, status attainment instrumentality, while peer group support positively affect only psychological commitment, a sub-factor of overall attitude. (2) Support of social workers, peer groups, and friends all increased the sense of self-reliance. (3) Friends' suppor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verall social support and its sub-factors, self adjustment. (4) Degree of juvenile vagrancy brought about difference social support other than other types of supports. These results imply not only that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s are required to promote the social adjustment of juvenile vagrancy but also that we should more individualize social intervention approach to juvenile vagrancy according to the types of supports, such as social workers' support, friends' sup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및 내용 5 II. 이론적 배경 6 A. 가출부랑 6 1. 부랑의 개념 6 2. 부랑의 형태 7 B. 일에 대한 태도 10 1. 태도이론 10 2. 일에 대한 태도 12 C. 자립의지 13 D. 사회적 적응 14 1. 사회적 적응의 개념 14 2.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 E. 사회적 지지 18 1. 사회적 지지의 정의 18 2. 사회적 지지의 가설 19 3. 청소년기 사회적 지지의 기능 21 4.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 22 F. 연구가설 및 모형 23 1. 연구가설 23 2. 연구모형 24 III. 연구방법 25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5 B. 변수정의 및 측정 25 1. 종속변수 25 가. 일에 대한 태도 25 나. 자립의지 28 다. 사회적 적응 28 2. 독립변수 30 가. 사회적 지지 30 3. 통제변수 32 가. 부랑경험 32 C. 자료분석방법 33 IV. 연구결과 34 A. 연구대상자의 특성 34 1. 인구사회학적 특성 34 2. 가출 및 사회복지기관 입소 특성 37 3. 부랑특성 39 가. 연구대상자의 부랑특성 39 나. 연구대상자와 또래의 부랑형태 관련성 42 B. 부랑정도, 형태별 일에 대한 태도, 자립의지, 사회적 적응, 사회적 지지 비교 45 1. 부랑정도별 비교 45 2. 부랑형태별 비교 48 C. 변수간 상관관계 51 D. 사회적 지지가 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검증 53 E.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검증 58 F.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검증 59 V. 결론 63 A.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63 B.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72 참고문헌 75 설문지 79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996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적 지지가 가출청소년의 일에 대한 태도, 자립의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가출청소년 부랑경험의 정도와 형태별 비교-
dc.format.pageix, 9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