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한국의 영화운동 전개과정에 관한 분석

Title
한국의 영화운동 전개과정에 관한 분석
Authors
김근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1980년 이후부터 1998년 한국독립영화협회가 발족하기까지 한국 영화운동의 전개 과정을 사회운동론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연구자는 영화운동이란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사회문제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는 행위’라고 보면서 이를 위한 실질적인 영화운동집단의 행위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한국의 영화운동은 한국 사회의 민주화운동의 변동과정과 같은 맥락에서 변화․발전해 보았다. 즉, 문화운동으로서의 영화운동은 민주화운동의 발달 과정이라는 거시적인 틀 속에서 분석이 가능하며, 이는 또한 영화운동의 전개과정을 통해 민주화운동의 진행과정을 검증해 볼 수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한국 사회에서 영화운동의 주체들의 사회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Pierre Boirdieu의 ‘문화생산의 장’ 구성을 토대로 하여 ‘영화생산의 장;’ 내에서 영화운동집단의 위치를 구성해 보았으며, 이들이 운동주체로서 소유 및 획득 가능한 자본에 대한 논의도 포함시켰다. 문화운동을 사회학적인 분석대상으로 삼고 사회구조 속에서 이들의 행위를 분석하기 위해서 Bourdieu의 논의와 Ramond Willams의 문화적 구성체론을 운동의 ‘기회구조’와 ‘제도화’ 및 행위자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개념들과 접목시켜 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영화운동이 1993년 이후, 이전과는 달라진 양상으로 전개되는 것에 대해 운동의 제도화란 개념을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여기서 제도화는 운동의 마지막 주기 및 결과로 다루기보다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 운동집단들이 선택한 전략으로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1980년 이후부터 한국 영화운동 전개에 영향을 미친 기회구조를 분석하고, 특히 1993년 이후 영화운동이 제도화되는 과정을 영화운동집단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80년대에는 광주항쟁으로 촉발된 사회운동 진영에서 학생운동과 여타 민주화운동이 성장하고, 억압적인 정치상황 속에서 단일한 운동이념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기회구조가 영화운동 진영에서 과거의 소집단 위주로 활동하던 행위자들이 대학 내에서 영화패를 결성하고, 나아가 대안적 조직체를 형성하게 되는 조건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아직 영화운동의 역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87년 이후, 92년까지의 상황은 첫째, 노동운동의 급성장과 부문운동의 성장으로 인하여 영화운동도 활기를 얻게 된다. 둘째, 이렇게 성정한 영화운동 지영에서는 국가의 탄압이 우리를 유리한 기회구조로 작용하고 있다. 외부적 억압의 기회구조는 운동조직이 외부와 대안적 관계를 갖는 형태로 성장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93년 이후로 들어서면서 영화운동 진영은 내․외부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첫째, 정부의 지원이 영화운동의 새로운 기회구조로 작용하게 되었다. 정부의 지원으로 인하여 영화운동 진영이 상징적 자본(관객층 형성, 저변확산 등)을 획득하게 되고 이것이 다시 영화운동 내부 역량 강화라는 또다른 기회구조를 낳게 되었다. 둘째, 운동진영들이 자본획득을 통해 역량을 넓혀 나가면서 실질적 세력확장을 위한 적극적 대응을 시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합법적 운동단체의 결성이라는 전략적 선택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전개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운동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기회구조는 일방적으로 운동의 형태나 결과에 영향을 준다기 보다는 운동집단의 상황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상황변화를 바탕으로 운동집단의 적극적 대응이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기회구조들은 영화운동 진영의 상태(운동역량, 자본의 정도)에 따라 유리하게 작용하기도 하고 불리하게 작용하기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운동의 많은 부분 중에서 ‘정책’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으며 영화사적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좀 더 깊이 있는 분석이 되기 위해서 영화가 생산되는 장에서의 경제적․문화적인 지형에 대한 분석을 앞으로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analys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korean film movement(KFM) from the 1980's to 1998.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shift in the movement since 1993. Originally the film movement in Korea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f Korea. Film was a part of, or a vehicle of, various social movement, such as labor movement, women's, environmental movement, and human rights movement. The shift of the movement since 1993 is perceived as a case of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move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portunity structure and the strategies chosen by the agents of KFM. The gist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KFM began in the early 1980's, being greatly influenced by the Kwang-ju Struggle and the student movement. At that time social movement in Korea pursued a unified ideology of the nation-democracy-people, with which most agents of KFM agreed. However, having little power(capital), KFM remained in the state of informal, sporadic and secondary or alternative activities. The political shift of June 1987 followed by the rejuvenation of labor movement and other social movements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structure for KFM. On the other hand, KFM was suppressed for its 'disobedience' to the laws concerning cinema industry. Ironically, this oppression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structure for KFM. In 1993 the Korean government, represen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itiated a policy to support private cinema production - short, small, independent film -, which enabled the agents of KFM to accumulate self-development capacity. As a result, the Association of Korean Independent Film and Video was established in September, 1998. This meant the birth of a 'formal' 'resistant' organization of KFM, hitherto an informal, loose compilation of film makers and their friends. In sum, the opportunity structure of KFM worked in a very complex way and on multiple sources and directions. Firstly,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was an important source of the opportunity structure. Secondly, the state of social movement influenced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capital or power the agents of KFM held. Thirdly, an effective pressure of government upon KFM empowered it. Fourthly,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the production of film also activated KFM. Finally and importantly, the group power of the KFM agents, gradually accumulated and situationally encouraged, enabled them to make the choice to become institutional.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movement can have various, even contradictory, meanings. These remain to be studied in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