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중년 여성의 갱년기 불편감과 그 적응방법에 대한 연구

Title
중년 여성의 갱년기 불편감과 그 적응방법에 대한 연구
Authors
배경의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이 경험하는 갱년기 불편감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응 방법으로 어떤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여 중년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갱년기 불편감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중년기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대도시(서울, 부산)와 중소도시(마산, 창원)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0세의 중년 여성 325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1999년 10월 10일부터 2000년 3월 2일까지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갱년기 불편감의 측정도구로는 Neugarton(1965)이 개발한 도구를 정혜란(1985)이 번역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31개 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갱년기 적응방법 및 그 효과에 대한 도구는 이경혜 외(1997)의 갱년기 여성의 자구책과 신혜숙(1995), Greenwood(1992)가 제시하고 있는 갱년기 적응방법, Andrews(1997)의 갱년기 치료방법 등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36개의 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들 적응방법은 이론을 근거로 치료적, 예방적, 대안적, 대중적, 적응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중년 여성의 일반적 특성, 갱년기 불편감, 적응방법 및 효과는 평균과 빈도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갱년기 불편감 정도는 ANOVA로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갱년기 불편감 정도와 적응방법의 효과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있어서 평균연령은 51.6세로서 58.8%가 45~54세 군에 속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종교적 특성은 90.2%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47.2%로 높은 학력 분포를 보였다. 직업은 66.5%가 전업주부 이였으며 직업을 가진 대상자는 32.0%로 적었다. 결혼 상태는 86.8%가 기혼 상태였고, 자녀는 평균 2명이며, 월수입은 301만원 이상이 32.6%로 나타나 가정 내 월수입이 높은 편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건강력 및 산과력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보면 74.5%가 치료받고 있는 질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경상태는 폐경이 된 여성이 54.5%로 폐경 이후의 여성이 반수 이상이었다. 폐경에 대한 태도는 폐경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여성이 55.7%, 긍정도 부정도 아닌 중립적인 태도를 보인 여성이 24.3%,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여성이 9.5%이였다. 3. 연구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갱년기 불편감 정도는 가장 높은 항목이 ‘건망증(2.62)’이었고 그 다음으로 ‘피곤(2.58)’, ‘관절이 아픔(2.12)’, ‘손발이 차다(2.01)’의 순이었다. 불편감 정도가 낮은 항목은 ‘유방은 통증(1.29)’ ‘울음을 터뜨림(1.29)’으로 심한 불편감은 적었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력 및 산과적 특성에 따른 갱년기 불편감의 차이는 신체적 불편감의 경우 현재 치료의 유무(F=13.11, p=.00)와 폐경상태(F=4.29, p=.01) 에 따라 차이가 보였고, 심신적 불편감의 경우 교육정도(F=2.58, p=.03), 수술 경험의 유무(F=4.03, p=.04), 현재 치료의 유무(F=12.95, p=.0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심리적 불편감의 경우 현재 치료의 유무(F=9.87, p=.00), 폐경에 대한 태도(F=2.83, p=.02)에 따라 차이가 났다. 5.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적응방법은 ‘뜨거운 목욕(71.7%)’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친구를 만난다(66.2%)’, ‘좋아하는 음식먹기(58.2%)’ 순 이었으며 사용해본 적응방법의 효과는 ‘규칙적인 운동(1.47점)’이 가장 효과가 높았고, 그 다음은 ‘뜨거운 목욕(1.45점)’으로 사용빈도가 많을 뿐 아니라 그 효과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갱년기 불편감 정도와 적응방법과의 관계에서는 신체적 불편감의 정도가 높을수록 치료적 적응방법(r=0.217, p=.00)과 대중적 적응방법(r=0.191, p=.00)에서 효과가 높았다. 심신적 불편감은 대중적 적응방법(r=0.183, p=.00)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심리적 불편감은 치료적 적응방법(r=0.148, p=.00)이 상관관계가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중년 여성들의 갱년기 불편감은 심한 정도는 아니나 건망증과 피고, 신경예민 등으로 일상생활의 불편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과 같은 예방적 적응방법과 ‘뜨거운 목욕’과 같은 대안적 적응방법이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갱년기 불편감과의 상관관계에서 나온 결과를 보면 신체적 불편감이 높은 경우에는 대중적이고 치료적인 적응방법이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갱년기 불편감에 대한 적응방법을 적응하는 간호에서 예방적 방법과 대안적 방법은 이미 불편감이 높게 나타난 사람의 경우에는 거의 그 효과를 실감 할 수 없으므로, 갱년기 불편감 정도가 낮은 중년 여성이나 아직 갱년기를 맞지 않은 여성에게 갱년기를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간호에 적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이미 갱년기 불편감 정도가 높아 고통을 바고 있는 중년 여성을 간호 할 때에는 대중적, 치료적 적응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가 높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여성건강간호사는 중년 여성이 갱년기 불편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비슷한 연령, 계층끼리 자조그룹(self-help group)을 구성하여 정응방법에 대한 정보교환과 서로 간의 지지를 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갱년기의 불편감이 더욱 가중됨으로 질병치료과 함께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개별적인 전략을 여성 및 그 가족과 함께 계획하고 수행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대상자가 학력과 경제력이 높은 부류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각 계층을 고려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 중년 여성의 갱년기 불편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각 계층과 지역을 고려하여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o nursing implementation, improving quality of the middle aged woman's life, and effectively relieving the climacteric discomforts by herselves by examining their degrees of climacteric discomfort and their adaptive styles and these effects. The subjects were 325 women between 40-60 years old who live the main cities such as Seoul, Pucan, Masan and Changwan. The data were corrected from Oct 10, 1999 to March 2, 2000 and the study was based on structured question papers. The instruments about climacteric discomforts were reconstructed 31 items of climacteric discomforts.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for self-reported discomforts was Cronbach's a .8940. The instruments about their adaptive styles and these effect were also reconstructed total 36 items based on the study of climacteric adaptive method and treatment by Lee(1997), Shin(1995), Greenwood(1992), and Gilly(1997).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processed by an SAS program and included frequencies, ANOVA,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ed. 1. Thr avarage age of the subjects were 51.6 years old, 90.2% of them have a religion, the most of them have a high educational back ground, the subjects who have a job were less then 32%. 86.8% of the subject married, their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two,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ve a high income level. 2. The general health condition of subjects were followed. 74.5% of them reported that they didn't have any health problem. The phase of climacteric was that 54.5% women were at post-menopausal state, there for over the half of the subjects were in their post-menopausal state. The attitude toward the menopause for the subjects was that 55.7 % of the subjects showed positive responses. 3. The most frequently complained discomforts of subjects was 'fatigue(81.9%)', followes by 'amnesia(79.0%)', 'nervousness(58.5%)', and 'tingling sensation(57.8%)', the less common disconforts experienced by subjects were 'breast pain(19.1%)' and 'craziness(19.1%)' which are classified as severe discomfort of climacteric. The degree of high point of discomfort was 2.62, the lower point was 1.29(average was 1.73 point). It means the subjects have experienced discomforts has at least 1~3 times a week. 31 items cover 3 areas including a somatic, a psychosomatic, and a psychotic discomforts. The somatic discomfort was 1.70, the psychosomatic discomfort was 1.78, and the psychotic discomfort was 1.72. The highest item of the degree of the discomforts was 'amnesia(2.62 point)' and the followed by 'fatigue(2.58 point), 'athralgia(2.12 point)', and 'cold hands & feet(2.01 point)'. 4.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climacteric adaptice style was 'a hot bath(71.7%)', followed by 'meeting friends(66.2%)', 'eating whatever she likes(58.2%)', The most effective adaptive style was 'regular exercise(1.47 point)' and the next was 'a hot bath(1.45 point)'. Then 'a hot bath' was frequently used and also an effective adaptive style of this subject. 5. In the test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limacteric discomfort and the effects of adaptive style, they hac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1) in the case of somatic discomforts, there seemed to b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daptive styles for treatment(r=0.217, p=.00) was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than the adaptive styles for treatment(r=0.154, p=.00) and the substitutional adaptive styles(r=0.111, p=.04) (3) in the case of psychotic discomforts, there seemed to b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daptive styled for treatment(r=0.148, p=.00). In conclusion, climacteric discomforts of middle aged women were not severe, but they felt mild discomforts in everyday life for example 'fatigue', 'amnesia', 'nervousness'. Also, 'regular exercise' and 'hot bath' were revealed very effective and adaptive styles for climacteric discomforts. Therefore nurse in the community and the hospital setting need to help middle aged women to change the adaptive styles by make a self-help group and to support each other for accept the climacteric discomforts positively and solve it for themsel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