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한나-
dc.creator한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0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and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research, 508 participants who are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Korean BIS/BAS scale,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RCMAS), and Parental Boding Instrument(PBI). Using the SPSS 16.0 packag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on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group of female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than the group of mal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and anxiety. 2. In both male and femal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was positively related to anxiety. All the sub-variables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was related to anxiety. In other words, mother's overprotection and father's overprote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anxiety. Mother's care, father's care, mother's autonomy respect and father's autonomy respect were negatively related to anxiety. According to the Fisher's z-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ale and female. 3. With regard to mediating effect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had both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s on anxiety. These indirect paths are mediated by mother's autonomy respect, father's autonomy respect and father's care of the perceived parenting behavior.;지금까지 불안 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환경적 요인, 부모의 양육태도, 애착의 질과의 관련성을 주로 살펴본 연구들이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불안의 발생에 있어, 행동억제체계와 같은 기질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Gar, Hudson, & Rapee, 2005, Gladstone & Parker, 2005; Gladstone, Parker, Mitchell, Wilhelm, & Malhi, 2005), 불안 증상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를 살펴본 국내 연구들이 대부분 아동기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고(박성연, 1998; 이미정, 1998),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가 약해지는 것을 보고한 연구에서 고등학생과 대학생은 행동억제 성향이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했다는 결과에 따라(오경자, 양윤란, 2003; Schwartz, Snidman, & Kagan, 1999),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중학교 2곳에 재학 중인 중학생 1, 2 ,3학년 50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BAS/BIS) 척도, 레이놀즈 불안척도(RCMAS),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PBI)를 사용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행동억제체계,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불안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분석하기 위해 Sobel Test(1982)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행동억제체계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행동억제 성향이 더 높았다. 반면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불안에서는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행동억제체계,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불안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가장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의 모든 하위요인들(어머니 돌봄, 어머니 자율성 존중, 어머니 과잉간섭, 아버지 돌봄, 아버지 자율성 존중, 아버지 과잉간섭)도 불안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에 대한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행동억제체계는 부모양육의 하위요인 중 어머니 자율성 존중, 아버지 돌봄, 아버지 자율성 존중을 매개로 하여 유의미하게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학생의 행동억제체계가 불안과 관련이 있다는 점과, 이런 관련성을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어머니 자율성 존중, 아버지 돌봄, 아버지 자율성 존중)이 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불안 증상의 원인론적 측면에서 기질적인 요인(행동억제체계)과 환경적인 요인(부모양육행동)을 함께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행동억제체계 = 4 1. 개념 = 4 2. 행동억제체계와 불안 = 6 B.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 7 1. 개념 = 7 2.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불안 = 9 C. 행동억제체계,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불안 간의 관계 = 11 Ⅲ. 연구 방법 = 13 A. 연구 대상 = 13 B. 연구 도구 = 16 1.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척도 = 16 2. 레이놀즈 불안척도 = 17 3.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 = 17 C. 연구 절차 = 19 D. 자료 분석 = 20 Ⅳ. 연구 결과 = 22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 22 B. 행동억제체계,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불안에 대한 성차 검증 = 23 C. 주요 변인들 간 상관분석 = 24 D.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 25 1.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에서 어머니 자율성 존중의 매개효과 = 26 2.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에서 아버지 돌봄의 매개효과 = 27 3.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에서 아버지 자율성 존중의 매개효과 = 29 Ⅴ. 결론 및 제언 = 31 A. 결과 요약 및 논의 = 31 1. 행동억제체계,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불안에서의 성차 = 31 2. 행동억제체계,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불안의 관련성 = 32 3. 행동억제체계와 불안의 관계에 대한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의 매개효과 = 33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35 참고문헌 = 38 부록 = 49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08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행동억제체계,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불안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and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Han, Na-
dc.format.pageⅶ,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