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9 Download: 0

영아의 몸짓 사용 종류와 어휘 습득간의 관계

Title
영아의 몸짓 사용 종류와 어휘 습득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Gesture and the Vocabulary of Infants : Focusing on 8~24 Month Infant
Authors
박세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언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영아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도구인 몸짓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며 점차 단어, 구어, 문장을 사용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 선행 연구에서는 초기 의사소통 도구인 몸짓을 많이 사용하는 영아가 언어 발달을 더 빨리 이룬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영아의 몸짓 사용이 언어발달의 초석임을 말해준다. 영아가 점차 발달함에 따라 다른 종류의 몸짓을 사용하며 몸짓이 나타내는 의미와 역할도 달라진다. 우리나라 영아를 대상으로 한 영아의 몸짓 선행 연구들은 아직 기초적인 수준이며 몸짓을 분류하는 기준도 연구마다 다양하다. 또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빈도수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몸짓의 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월령에 따라 영아가 사용하는 몸짓의 종류가 변화하고 몸짓 변화 시기와 영아의 한 단어시기, 두 단어 사용 시기가 유사함을 볼 때, 특정 몸짓 사용이 언어 발달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은 상대방 효과와 맥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의사소통 대상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몸짓의 종류와 의미에 초점을 두어 주양육자와 영아의 사용 몸짓을 재분류하고, 몸짓 사용과 언어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몸짓 발달이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8-24개월 영아와 주양육자 38쌍을 모집하여 각 가정을 방문하였다. 똑같은 도구를 제공한 뒤, 자연스러운 3가지 상황(놀이, 책, 식사)에서의 주양육자-영아 상호작용을 각10분씩 총30분을 녹화하였다. 녹화된 자료는 2가지(몸짓, 몸짓+발화 사용) 유형으로 분류하여 주양육자와 영아가 사용한 몸짓 빈도수를 각각 조사하였다. 발화 없이 보이는 몸짓은 3종류(지시적 몸짓, 참조적 몸짓, 관습적 몸짓)로 분류하였으며, 몸짓과 발화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는 몸짓의 의미가 발화와 일치하는가에 따라 2종류로 분류되었다. 몸짓이 발화의 정보와 일치하면 보완적 몸짓, 의미가 서로 다르면 추가적 몸짓으로 나누었다. 보완적 몸짓과 추가적 몸짓은 다시 3가지 하위유형(지시적 몸짓, 참조적 몸짓, 관습적 몸짓)으로 나누었다. 또한, 영아의 반응을 얻어내기 위해 주양육자가 사용한 몸짓의 종류도 영아의 몸짓 분류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각 몸짓의 빈도를 측정하고 사용 비율을 MANOVA 분석하여 월령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몸짓의 언어발달 예측력을 알아보았고, 주양육자의 몸짓 사용과 영아 몸짓 사용의 상호작용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몸짓을 그 의미에 초점을 두어 재분류 한 결과 발화와 몸짓 조합 시기부터 몸짓이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발화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보완적 몸짓은 12개월부터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하위요인 중 지시적 몸짓을 주로 이용하였다. 어휘 폭발 이전 시기에 영아는 보완적 몸짓의 하위 요인인 참조적 몸짓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발화하는 단어와 다른 정보를 전달해주는 추가적 몸짓의 사용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영아는 두 단어시기에 이르러서도 몸짓을 계속 활용하였고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주양육자에게 정확하고 더 많은 정보를 알리려는 수단으로 몸짓을 사용하였다. 둘째, 영아의 몸짓 사용 종류는 언어 발달을 예측하였다. 먼저 한 단어 이전 시기에 아동이 사용하는 지시적 몸짓의 양은 표현어휘 양을 예측하였다. 한 단어 시기 동안은 영아의 추가적 몸짓 사용 비율이 표현어휘와 이해어휘를 예측하였다. 어휘폭발시기에는 표상적 몸짓 중 참조적 몸짓이, 두 단어 시기에는 추가적 몸짓 중 관습적 몸짓, 보완적 몸짓 중 참조적 몸짓이 표현어휘를 예측하였으며, 보완적 몸짓 중 지시적 몸짓이 이해어휘를 예측하였다. 셋째, 주양육자의 몸짓 변화를 살펴본 결과 주양육자는 다양한 몸짓을 일정 비율로 사용하다가 영아가 두 단어시기에 들어설 무렵 보완적 몸짓 중 지시적 몸짓을 추가적 몸짓 중 지시적 몸짓과 관습적 몸짓이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주양육자의 몸짓 변화는 영아의 문법 발달 시기에 맞추어 변화하였다. 넷째, 주양육자의 몸짓 변화와 영아 어휘발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완적 몸짓과 추가적 몸짓이 표현어휘를 예측하였고 보완적 몸짓 중 지시적 몸짓과 발화 없이 쓰이는 지시적 몸짓이 이해어휘를 예측하였다. 두 단어 이전 시기까지는 주양육자의 발화와 몸짓이 유사한 비율로 유지되다가 두 단어 시기가 가까워지면 양육자는 발화의 양을 늘려 영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아의 언어발달에 주양육자의 몸짓과 영아의 몸짓 상호작용이 표현어휘를 예측함을 알아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더욱 강화하였고 세부적인 몸짓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영아의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몸짓은 다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활용되었으며, 영아의 몸짓은 언어 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주양육자의 몸짓 변화를 함께 살펴봄으로서 주양육자의 몸짓이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찾아볼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gesture does infant use among the month. And also relationship of gesture and vocabulary acquire was investigated. When infant usually communicate with their main caregiver. So the present study also examined the interaction of main caregiver and infant's gesture. Participants were 38 main caregiver-infant dyads in Seoul and Kyung-Ki-Do. Their interactions of main caregiver and infant were videotaped in their home or day care nursery. Videotaped interactions were transcribed. These transcripts were examined (1) kind of gesture that infant and main caregiver use (2) the vocabulary that infant and main caregiver us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hierarchical regressions and MANOVA by SPSS 14.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sture's meaning by month. Infant used more from 12 month. Most of complementary gesture was directive gesture. Before word spurt, infant use significantly more iconic gesture by complementary gesture. Infant still used gesture when they can use two words. Gesture was used to deliver more communicative meanings to their main caregiver. 2. Infants gesture use predicted vocabulary development. Before one word period, infant's directive gesture predicted amount of express word. In one word period, supplymentary gesture predicted amount of both express and understand word. In word spurt period, iconic gesture with representative gesture predicted amount of express word. In two word period, directive gesture with complementary gesture predicted amount of understand word. 3. Main caregiver used almost same amount of gesture in spite of infant's age increase. But when infant is in two word period, main caregiver's directive gesture with complementary and supplymentary gesture were increased. 4. Main caregiver's complementary and supplymentary gesture predicted infant's express word. Also interaction of main caregiver's gesture and infant's gesture predicted infant's express wor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