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엄미경-
dc.creator엄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4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40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if there is a difference of response forms depending the field and sex by analysing Holland's six vocational types, which is a under-type of the Vocational Aptitude Test, and also Prediger's four vocational type of the Vocational Aptitude Test, and also Prediger's four vocational types. Another purpose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by field and sex that appears i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job family by the combination of Holland's six vocational types and the Prediger's vocational types. For, this purpose of study, three questions have been selected for consideration as follows: 1) Do scores of Holland's six vocational types differ by academic field and sex? 2) Do scores of Prediger's four vocational types differ by academic field and sex? 3) Do job families differ by academic field and sex? To give answers to these questions, it is used the total number of 1,451 information us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Vocational Aptitude Test's norm, the Holland's six vocational types and Prediger's four vocational types depending academic field(e.g, human science, foreign language, art, technical education,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and sex, also it is analysed the difference of the job family that appears linked in Holland's six vocational types and Prediger's four vocational types. This study divided high school by location, then classified them by academic field and randomly sampled total 41 schools and 1,451 students considering sex ratios of one school class of each school selected in 4% proportion to each academic field. An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n Holland's six vocational types, the investigative, artistic and enterprising types showed signigicant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fields, and science students scored the highest point on the investigative type, while art students did on the artistic type and foreign language students did on the enterprising typ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Holland's six vocational types by sex, all types except enterprising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sexes. The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scores than the female students in the investigative type and in the realistic type, and the female student showed a higher score than the male students in the artistic, social, and conventional typ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Prediger's four vocational types by academic fields, the things-oriented, ideas-oriented and data-oriented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fields. Science students having a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with the things-oriented and ideas-oriented types scored the highest point on these two types, while enterprising foreign language students scored the highest point on the data-oriented type. Firth고,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Prediger's four vocational types by sex, the things-oriented, people-oriented and data-oriented types showed signigicant differences by sex. In the case of the people-oriented type, the female students scored rather higher points than the male students, while the male students scored higher points on the things-oriented type and the female students did on the date-oriented type. Fifth, as for the differences in job families by academic field, most of human science, foreign language and technical students preferred realistic job families, while are students preferred artistic ones, science students preferred investigative ones, and students received physical education preferred convention-oriented and realistic ones ; this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academic field reflects correctly the classifications of the job family. Six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job families by sex, the male students preferred realistic, investigative ones most and social ones least, while the female students preferred social and artistic ones most; this indicates that realistic and investigative job families are generally preferred by the male students, while social and artistic ones are preferred by the female student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der-type of The Vocational Aptitude Test by academic field and sex. And the results prove the validity of The Vocational Aptitude Test, which is expected to predict the student's course incline, vocational choice, development of interest and vocational preference by academic field and sex, and to be highly applicable to making decisions on future speciality. Therefore, students can make most of The Vocational Aptitude Test in their selecting an appropriate speciality or vocation according to their academic field and sex.;본 연구의 목적은 Holland와 Prediger의 적성이론이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계열 특성과 성별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Holland의 6유형과 Prediger의 4유형 결과가 종합되어 산출된 직업분류도상의 직업군 분류에서 계열별, 성별 직업군 특성을 밝혀냄으로써 개인의 특성을 변별하는데 Holland와 Prediger의 적성이론이 유의미하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의 6유형에서 각 유형의 점수는 계열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Prediger의 4유형에서 각 유형의 점수는 계열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직업군 분류는 계열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의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에서 발행한 직업선호도 검사의 규준개발을 위해 실시되었던 총 1451명의 본 검사 자료를 사용하여, 계열(인문, 외국어, 예술, 실업, 과학, 체육계열)과 성별에 따른 Holland의 6유형과 Prediger의 4유형, Holland의 6유형과 Prediger의 4유형이 연계되어 산출되는 직업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검사에서는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를 소재지별로 나누고 각 소재지에서 계열별로 구분하여 각 계열에서 4% 비율에 해당하는 학교를 성별을 보려하여 각 학교에서 한 학급씩 무선으로 총 41개 학교를 표집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의 6유형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취형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학생은 탐구형과 현실형에서 여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예술형, 사회형, 관습형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선행연구들과 일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Prediger의 4유형에서의 계열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물형, 사고형, 자료형에서 게열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물형, 사고형과 상관이 높은 탐구형의 과학계열이 두 유형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진취형의 외국어계열이 자료형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넷째, Prediger의 4유형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물형, 사람형, 자료형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람형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여자가 남자보다 사람형을 선호한다는 선행연구과 일치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사물형은 남자, 자료형은 여자가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다섯째, 계열에 따른 직업군의 차이를 보면, 인문계열과 외국어계열, 실업계열의 경우 주로 현실형 직업군에, 예술계열은 예술형 직업군, 과학계열은 탐구형 직업군, 체육계열은 관습형과 현실형 직업군에 가장 많은 학생들이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계역 특성이 직업군 분류에 잘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별에 따른 직업군의 차이를 보면 남자의 경우 현실형, 탐구형 직업군에 가장 많은 학생들이 해당되었고, 사회형 직업군에 가장 적은 학생들이 속했으며 반대로 여자의 경우 가장 많은 학생들이 사회형, 예술형 직업군에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실형과 탐구형은 남자가, 사회형과 예술형은 주로 여자가 선호나느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계열과 성별에 따라서 Holland의 6유형과 Prediger의 4유형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olland와 Prediger의 적성이론이 학생들의 진로선택, 흥미와 개발, 직무만족도, 직업이나 학업의 성공도를 계열과 성별에 따라 예언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따라서 직업선택이나, 전공을 결정하는 데 있어 Holland와 Predeger의 적성이론의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계열이나 성별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전공과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 Holland의 6유형과 Prediger의 4유형 이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5 A. 적성의 정의와 개념 5 B. 적성이론 7 1. Holland의 진로선택이론 9 2. Prediger의 4유형 이론 17 C. 계열과 성별에 따른 직업적성의 차이 연구 20 III. 연구방법 23 A. 연구자료 23 B. 종합진로적성검사 25 1. 문항구성 25 2. 신뢰도 27 3. 타당도 28 C. 자료분석 방법 31 1. 각도계산에 따른 방법 32 2. D/I 점수와 T/P 점수의 좌표에 의한 구역설정 34 D. 연구문제 35 IV. 연구결과 37 A. Holland 6유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37 1. 탐구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37 2. 예술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40 3. 사회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42 4. 진취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44 5. 관습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47 6. 현실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48 B. Prediger 4유형에서의 계열별, 성별차이 분석 50, 1. 사물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50 2. 사람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53 3. 사고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55 4. 자료형에서의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57 C. 직업군 분류에 따른 계열별, 성별 차이 분석 61 1. 계열에 따른 직업군의 차이 62 2. 성별에 따른 직업군의 차이 64 V. 결론 및 논의 66 참고문헌 71 [부록] 76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364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Holland와 Prediger의 적성이론에 따른 고등학생의 계열별, 성별 직업흥미와 직업군 차이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8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