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지윤-
dc.creator유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4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40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교육이론 속에서 ‘흥미존중’ 원리에 대한 여러 가지 이해방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들이 전제로 하고 있는 흥미의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교육활동 속에서 아동의 자발성을 중요시할 때 채택해야 하는 진정한 흥미존중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흥미존중원리에 대한 이론을 크게 흥미 옹호론의 입장과 흥미 반대론의 입장으로 나누어 각각의 입장에서 전제로 하고 있는 흥기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들의 한계점에 대해 학습활동에서 아동의 자발성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흥미존중교육’의 원리가 도출된 아동중심교육사상에서 채택하고 있는 흥미의 개념을 이해하여 진정으로 흥미를 존중하는 교육이란 무엇인지 교육방법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교육활동에서 흥미를 옹호하는 입장은 교육학자 닐의 사상과 진보주의를 오해한 흥미존중교육방법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교육적인 상황에서 아동이 심리적으로 호기심을 보이는 내용만을 가르쳐야 하거나, 아니면 가치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전달할 목적으로 온갖 조치를 강구하여 아이의 마음을 교과의 방향으로 돌이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두 입장 모두 아동이 지식 구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보면 올바른 교육활동으로 규정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전자의 경우 지식을 가르치는 일에 대해 너무 과소평가함으로써 지식을 교육하는 일에 대한 논의가 소홀히 취급되어 있고, 후자 또한 학습의 수단을 너무 강조함으로써 아동이 수단에만 마음을 뺏겨 정작 배워야 할 지식 자체에 대해서 흥미를 가지게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들은 흥미의 개념을 심리학적인 의미, 즉 인간이 사물에 대해 보이는 긍정적인 관심이나 선호의 경향이라고 규정하고 아동이 흥미를 보이는 대상만을 교육적인 수단으로 이용하려 했기 때문에 교과와 아동의 마음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교육활동에서 흥미를 반대하는 입장은 학문중심교육사상가의 교육이론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들은 교육이란 아동에게 가치 있는 활동, 즉 학문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주는 것이기 때문에 교과와는 동떨어져 있는 대상에서 발생하는 아동의 개별적인 흥미를 존중한다는 것은 비교육적이라고 비판한다. 결국 그들은 교과와 관계없는 흥미는 교육에서 존중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학문중심교육사상에서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사실은 교과와 관계없는 아동의 흥미를 교과의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교육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과정이 학습자의 자발성을 존중하는 교육에서 매우 필요하다는 것이다. 교과와 아동의 흥미를 연결하려는 시도가 없다면 교육활동이란 아동에게 있어서 인내와 훈련을 요하는 대상으로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 흥미를 옹호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에서 동시에 찾아볼 수 있는 것은 교과와 마음에 대한 이원론이다. 이들에게 있어서 흥미의 개념은 아동의 마음과는 동떨어져서 존재하는 대상에 대해 아동이 보이게 되는 관심을 뜻한다. 아동의 마음이라는 심리적인 측면과 교과라는 사회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은 채 어느 한쪽만을 강조하기 때문에 이들은 아이들의 활동을 일으키고 그것을 일관성 있게 또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학습 자료의 기능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한편, 아동중심교육사상에서는 아동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일으키는 기능을 하는 것을 흥미의 개념으로 전제하고 있다. 흥미란 행위를 통하여 교과와 마음이 동일시되어 있는 상태, 즉 아동이 자신의 행위를 지속하는데 교과가 유용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참여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원리를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 바로 사물의 유용성을 깨닫게 하는 교육방법이다.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교과를 추구하는 활동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사물의 근저에 깔려있는 학문적인 지식과 아동의 마음 사이를 연결해주는 것이 아동의 자발성을 존중하는 교육에 가장 합당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아동의 마음과 교과가 동일시 된 이상 자신에게 있어서 유용성을 지니는 활동을 겪어나감으로써 스스로의 목적에 따른 행위의 지적인 의미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진정한 흥미존중 원리는 바로 교과를 아동의 현재 경험과 필요, 능력에 비추어 구성함으로써 아동에게 의미 있게 받아들여진 자료와의 관계 속에서 아동 스스로 그 관련을 알게 하는 방식으로 제시하고 경험하게 하는 것을 뜻한다. 자신의 행위의 목적을 위해 유용한 가치를 지니는 것이 교과 내의 활동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진정한 흥미존중의 의미이다.;This study looks over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interest - based education" method and analyzes the concept of interest sheikh is the foundation of the pedagogy to draw out the real meaning of interest when the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s the main focus i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where interest is approved. the children must be taught by their own psychological interest or that effort should be put in finding all means to draw their attention in order to teach valuable and meaningful lessons. But these two statements cannot be perceived as an appropriate method concerning the fact that the children should take the main tole in the procedure of acquiring knowledge. This is because the firmer method does not discuss about teaching knowledge and the latter focused too much on the means that the children are more interested the means rather than the knowledge they are supposed to learn through the means. Theses perspectives conceive interest as positive attention or preference man possesses towards certain objects. Since these perspectives use only those that draw children's interest as a means for teaching, the reac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student cannot be accounted for. From the perspective where interest is opposed to, education is conceived as arousing the interest of children in valuable or worthwhile activity, in other words knowledge. As so, it is argued that interest that is irrelevant to the curriculum does not need to be concerned about. However, this view condones the importance of bringing up ideas to draw the children's interest from the irrelevant object to the curriculum and focusing on the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Learning will remain a task requiring patience and training to children if no effort is made in connecting the children's interest and curriculum. One point common between the two views opposing and approving interest, is that both perspectives accept the dualism point of view concerning curriculum and the mind. According to the two point of views, interest refers to the attention that children show towards objects that exists separately from their minds. Since the two perspectives focus only on the psychological side, the children's heart, or the social side, the curriculum, the function of the learning material to the mind is not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education ideology for child, interest is conceived as to continuously have children participate. Interest is the condition when the curriculum and the heart becomes one through action. In other words, it refers to when the children perceive that the curriculum is useful in continuous action and keep on participating in learning. This can be referred to as the pedagogy in which the child is made to understand the usefulness of objects. Showing that curriculum activities have something to do with accomplishing goals and linking the knowledge underlying the object and the children's hearts can be said to be the most appropriate pedagogy. It can be so because as long as the child's heart and the curriculum has becalm one, the child can understand the action for accomplishing his or her own goal when they perform useful action. It can be concluded then, that the true meaning of interest-based education is organizing curriculum according to the present experience, need, and ability of the children and have the children understand the its relation with the meaningful material. Interest-based refers to having the children understand that the curriculum contents are not irrelevant to the useful values they use in accomplishing their own goa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1.2 용어의 정의 5 제 2 장 흥미존중교육에 대한 오해 6 2.1 니일의 극단적 흥미 옹호론 6 2.1.1 아동교육에 대한 니일의 입장 7 2.1.2 니일의 지식교육과 흥미 9 2.2 진보주의를 오해한 교육방법 속에서의 흥미개념 12 2.3 흥미에 대한 부정적 입장 16 2.3.1 흥미를 반대하는 이유 17 2.3.2 흥미반대론자들의 흥미 개념 21 제 3 장 아동중심 교육이론에서의 흥미 개념 26 3.1 아동중심교육이론의 흥미개념 분석 26 3.1.1 흥미존중 교육을 위한 기본명제 26 3.1.2 아동중심교육사상가들의 흥미개념 34 3.1.3 아동중심교육에서의 흥미존중 방법 39 3.2 교육적 개념으로서의 흥미 45 3.2.1 진정한 흥미 47 3.2.2 교과와 흥미 49 3.2.3 아동의 흥미와 교사의 역할 51 제 4 장 아동의 흥미를 존중하는 교육의 의미 54 4.1 교육에서 사용되는 흥미의 이중적인 개념 54 4.1.1 심리학적 의미의 '흥미'와 교육적 의미의 '흥미' 54 4.1.2 규범적인 의미의 '흥미'와 교육적인 의미의 '흥미' 57 4.2 지식교육의 측면에서 흥미존중의 의미 62 제 5 장 결론 65 참고문헌 69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661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흥미존중교육'에 내재된 흥미개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