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분석

Title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분석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분석함으로서 교과서 체제와 활용 방식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원인과 대안들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이상적인 교과서와 실제 교과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후, 실제 수업에서 교과서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도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이상적인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실제 교과서에 대한 인식 간에 차이가 있는가? 또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서 학교급, 학교유형, 교직경력, 담당과목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들은 수업 현장에서 교과서를 어느 정도 중요하게 활용하고 있는가? 교과서 활용에 있어서 학교급, 학교유형, 교직경력, 담당과목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과서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그 원인과 대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공․사립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직하는 40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55개의 설문 응답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 문항특성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으며, 배경특성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검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X²(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이상적인 교과서와 실제 교과서간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의 개념, 기능, 난이도, 내용 및 구성방식, 교과서 개발 시 고려사항, 내용고성요소, 외형적 체제 등에 있어서 이상적인 교과서와 실제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초등학교보다는 중학교에서 경력이 많은 교사보다는 경력이 적은 교사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이상적인 교과서와 실제 교과서간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실제 수업에서는 교과서를 중요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 숙제, 평가 등의 영역에서 교과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교과서 외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자료도 ‘교사용 참고서’와 같은 일부 종류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교과서 중심 수업의 경향은 초등학교보다 중학교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이성적인 교과서와 실제 교과서 사이에 큰 간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현장에서 교과서를 중요하게 다룰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교사들은 과다한 행정업무로 인한 교수-학습 자료의 연구 시간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한편, 교과서 중심 수업에 대한 대안에 대해서는 과다한 행정업무량의 감소 이외에도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을 중요한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사들은 이상적인 교과서와 실제 교과서 간에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다한 행정업무나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 등을 이유로 실제 수업에서는 교과서를 중요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교과서 중심 수업으로 인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상적인 교과서에 부합하는 교과서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동시에 교과서를 보완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 교과서의 융통적인 활용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수업상황에 적절히 제시하는 적극성을 보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교사들의 재구성 능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학교와 국가적 차원의 행정적․재정적인 지원체제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cognition on textbook and practical use abour Korean textbook, the problems of textbook-oriented instruction, and their causes and alternatives.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a cognition on the ideal type of textbook and the current one in usage? If there is, does the difference shows a teachers different background according to each king of and each level of school, teaching career and each subject? Second, how much do the teachers put emphasis on the main textbook and use it while they are in the classroom? Considering its application,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kind of and each level of school, teaching career and each subject? Third, if there is a textbook-oriented instruction, what can be the cause of that and how can we find some alternatives for that? In order to resolve above questions,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400 teachers employed at public/privat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eoul. Among 355 returned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x²(chi-square) analysis was done to sh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hen need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ideal type of textbook and the textbook in use. It means that the textbook in use are far from the ideal type of textbook. Comparatively, the middle school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feel that there seems to be a signigicant marginal difference between their ideal textbook and the current one in usage. The others, who are the elementary school and more experienced teachers seem not concerned with the differences. Second,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deal type of textbook and the textbook in use, teachers overuse the textbook in class. Teaching method, homework, and testing were done by the textbook. It turns out that the emphasis put on the main curriculum greatly reduced the usage of teaching material, despite the fact that the latter is crucial in education. Textbook-oriented instruction was more strongly seen in the middle schools than the elementary schools. Third, the textbook-oriented instruction is due to the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s teachers have to do. Because of this, teachers don't have enough time to research and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alternatives for textbook-orientated instruction, the teachers have proposed the importance of numerous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with the decrease of administrative works. Theses are the practical solutions to stimulate the teachers to reconstruct the textbook and help them directly to develop classroom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Korean textbook and its practical use. To solve these problems, an advanced textbook than current one should be made and various kinds of teaching materials that can supplement textbook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At the same time teachers should be educational activists who practice their own professional curriculum by reconstruction textbook with variety kinds of other materials.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school and government should be constru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