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논술의 성격 규정에 대한 관점의 비교와 대학 입학 논술고사 분석

Title
논술의 성격 규정에 대한 관점의 비교와 대학 입학 논술고사 분석
Authors
김형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입시의 주요 전형 요소로 활용되고 있는 논술고사의 기본 성격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 이를 기초로 현행 논술고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과제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논술 능력과 평과 요소에 대한 철학적 관점과 국문학적 관점의 주요 논지를 확인하고 두 관점 사이의 쟁점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철학적 관점과 국문학적 관점은 모두 논술 능력을 ‘일반 능력’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둘째, 논술에 대한 일반 능력 모형과 달리 논술 및 사고 능력은 구체적인 교과영역과 분리 될 수 있다고 보는 교과 내용 중심 모형의 논지를 검토한다. 셋째, 이러한 관점들을 근거로 실지로 출제되었던 대학 입학 논술고사 문제를 분석해 보고, 현행 논술고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논술에 대한 철학과 국문학간의 쟁점들은 논술능력의 성격에 대한 논의와 평가 요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논술 능력의 성격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는, 국문학은 논술문을 문제-해결 구조로 파악하여 기능적 논리성을 강조하며 철학은 사고의 논리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두 관점은 모두 논술 능력을 일반적인 능력으로 보고 이를 훈련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정에 동의하고 있다. 논술 평가와 관련한 논의에 있어서도 국문학은 글쓰기의 형식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고 철학은 논리적 일관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일반 능력으로서의 논술 능력을 통합교과적인 문항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고 본다는 점에서 두 관점은 모두 같은 의견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특징을 갖는 국문학적 관점과 철학적 관점은 모두 논술의 성격을 일반적인 능력으로 규정한다는 점에서 ‘일반 능력 모형’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에 비해 ‘교과중심 모형’에서는 구체적인 내용 영역과 무관한 일반적 하고 능력이란 존재할 수 없다고 보면서 내용 영역별로 사고의 능력은 달리 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에서는 논술의 성격에 대한 이 같은 다양한 관점에 비추어 실지로 출제된 대학입시 논술고사 문제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서울시내 주요 12개 대학(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의 최근 3년간 논술고사 문제이다. 기출문제 분석은 논술고사의 유형과 모형 및 영역 등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논술고사 문제의 유형별 분석에서는 단독 과제 형과 자료제시형을 구분하였는데 이는 논술 모형의 외형적 특징에 관한 것으로 단독 과제 형은 자료 제시 없이 논제만 제시하는 유형이며 자료 제시 형은 지문을 제시한 후 관련된 논제를 제시하는 유형이다. 유형별 분석의 결과, 서울 시내 주요 12개 대학이 ‘공동발표문’을 발표한 이후에는 단독과제형의 문제가 없어지고 대부분 자료제시형의 문제로 출제되었다. 논술 고사 문제의 모형별 분석에서는 일반 능력 모형과 교과 중심 모형을 구분하였다. 이는 논제가 요구하는 답과 교과 내용 영역과의 관계에 따른 분류로, 일반 능력 모형은 특정 교과의 내용영역과 관련짓지 않고 범교과적이고 일반적인 성격의 답을 요구하는 모형이며 교과중심 모형은 특정 교과의 내용 영역에 대한 밀도 있는 답을 요구하는 문항이다. 모형별 분석의 결과, 교과 중심 모형에 속하는 문제가 일반 중심 모형에 속하는 문제 보다 더 많이 출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논술고사 문제의 영역별 분석에서는 논술 문제의 내용이 문학영역, 사회영역, 과학영역, 윤리영역 등 어떤 교과영역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영역별 분석은 자료로 제시된 제시문과 논제가 요구하는 답안의 내용 등 두 측면을 구분하여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제시 문에서는 문학과 사회영역의 지문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논제의 측면에서는 윤리 영역에 속하는 문항이 많았다. ‘공동발표문’이후, 현행 대학입학 논술고사는 제시문 중심으로 본다면, 교과 중심 모형에 속하는 문제들의 출제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논제는 여전히 윤리 영역에 속하는 문제들이 대부분인 사실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행 대학 입학 논술고사의 출제와 평가는 ‘일반 능력 모형’에 근거하여 출제․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논술고사가 학교 교육과정 보다 밀접하게 연계되고 이를 통해 모든 교과교육영역에서 학습자의 사고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과 중심 모형’의 특징을 수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문장력이나 논리력과 같은 형식적 측면과 함께 각 교과에서 학습하고 이해해야 할 구체적인 지식 내용을 중시하는 논술 시험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ate of critical essay writing by comparing the views about critical essay writing and to analyze the types of university entrance critical essay tests. Critical essay writing has been emphasized since critical essay test became the entrance test of many universitie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of critical essay writing has not been establish till now and there are many different views for critical essay within. For example, the views between Philosophy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not same. In the field of Philosophy, the logical way of thinking is emphasized, compared with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hich has focus on writing skill.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ve been set up as follows. First, I examined the arguing point about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critical essay writing between Philosophy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confirm the fact that these two fields consider the abilities for critical essay writing as general thinking skill. Second, compared with this point of view, I investigated the viewpoint which the critical essay writing should be done in the context of text-based content. Third, I analyzed the critical essay tests of 12 main universities in Seoul(Konkuk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Dongguk University, Seokang University, Seonggyunkwan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Hanyng University) by the categories of text-based content viewpoint. The major arguing points between Philosophy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critical essay writing and about the factors for evaluation. Philosophy concentrates on the logic of thinking for critical essay writing b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nceders writing critical essay as problem-solving. Although Philosophy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mphasize on the different points each, they agree with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al essay writing is general and the writing across curriculum is needed. In this study, I called these general viewpoints for critical essay writing 'the general skill model.' The other model is 'the text-based content model' which emphasizes on not general skill but content of text. I organized four categories on not general skill but content of text. I organized four categories for the text-based content model, which is, literature content, sociology content, science content and ethics content. With these categories, I analysed the critical essay tests of 12 main universitie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ical essay tests of the text-based content model are more than the general skill model. This means the text-based content model became more important than the general skill model after the declaration for critical essay tests of 12 main universities in Seoul. Second, for the questions of critical essay tests, the questions of ethics content categories are more than other categories. Third, in the reading parts of critical essay test, 19 literature content category were found among 44 tests, so this means, though literature content is preferred as reading parts of critical essay test, literature content became ethics or other content questions. For the close relation between critical essay writing tests for university entrance with the school curriculum and for promoting the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it is now required to ado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based content model. This study tried to organize the categories for critical essay writing tests. The categories emphasizing the text-based content are open to question, the elaboration of this criteria is required in the futur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