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수-
dc.creator김혜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1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5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588-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amines the fusion of Grimm's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the concept of a "collective woman's persona" in Anne Sexton's Transformations (1971). While Sexton has been known as a confessional poet who writes only about personal matter, in Transformations she assumes a new persona that represent the collective woman. The persona in Transformations tries to enlarge woman's collective experience in order to make it a public discourse. This thesis clarifies Sexton's image of the collective woman by looking at two aspects of her poetry. on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onal persona in most confessional poetry and the public persona in Transformations; and the other is the latter, collective person's new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Chapter Ⅱ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ve woman's persona. This persona, defined as a "witch," narrates her qwn story with pride and introduces specific reader in the next. She also ridicules traditional fairy tales though parody. Chapter Ⅲ explores this persona's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and accepted patriarchal aspects in fairy tales. This chapter discusses three aspects fo the tales -- the arbitrary dichotomy of good and evil in the patriarchal system, the oppression of desire in the patriarchy, and the inheritance of patriarchal power from fathers to husbands. Thus Sexton presents the fusion of a collective woman's persona with the representations of traditional culture in Grimm's fairy tales.;본 논문은 섹스턴(Anne Sexton)이 『변형 (1971)』(TRansformations)에서 여성으로서의 집단전 자아인 화자를 통해 곤적인 동화 담론과 화자의 해석을 결합한다는 점을 고찰한다. 섹스턴은 일반적으로 고백시파 시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고백시로 분류할 수 있는 초기시와는 달리 『변형』에서는 여성 집단을 대변하는 한 자아로서 시를 서술한다. 즉 여성의 개인적인 경험을 단지 사적인 것으로만 간주하지 않고 그를 활작하여 공적인 담론과의 접점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Ⅱ장에서 섹스턴의 초기시와『변형』의 화자를 비교하여 초기 고백시의 화자가 대변하는 개인적인 자아와는 달리『변형』의 화자는 공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마녀'로 규정되는『변형』의 화자는 당당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들을 독자를 상정하고, 패러디 기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동화 원전에 거리를 두며 동화의 장치들을 비웃는다. Ⅲ장에서는 이렇듯 한 개인이지만 여성을 대변하는 화자의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동화 담론에서 자연스럽게 수용되고 있는 가부장제에 대한 화자의 비판과 재해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부장제에서 자의적인 선악의 이분법적 구분, 이성과 질서를 중시하는 가부장제 하의 무의식 억압, 억압적인 부권이 남편에게 이양되는 과정 등 세 가지 범주에서 논의가 전개될 것이다. 결국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섹스턴은 기존 동화의 틀에서 일종의 공적 영역이라고 간주되어 당연시되어온 가부장적 가치관과 그 내에서 묵인된 여성의 희생을 부각, 재해석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개인적 화자에서 집단적 화자로의 변화 19 A. 초기 시에 나타난 개인적 자아로서의 화자 19 B. 여성의 집단적 자아로서의 화자 39 III. 『변형』에서 공적 담론과 화자의 해석 결합 55 A. 선악의 이분법적 대립 해체 57 B. 억압당한 욕망의 재해석 67 C. 가부장적 부권의 이양 비판 74 IV. 결론 85 V. 인용문헌 88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926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앤 섹스턴의 '변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성적 자아의 동화 다시 쓰기-
dc.format.pageiv,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