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원-
dc.creator김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8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3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28-
dc.description.abstract연시조는 두 개 이상의 단형 시조가 연이어서 지어진 형태이므로, 가장 짧고 정연한 단형시조의 형식미를 잃지 않고도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는 시조 형식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18·19세기 연시조의 변모 양상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연시조는 18·19세기에도 꾸준히 창작, 발전되고 있었던 역사적 장르이므로, 연시조의 통시적인 변화의 모습을 파악하고 그 문학적 특성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선 후기 연시조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논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시조의 개념을 파악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논의된 연시조의 문학적 특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그리하여 연시조의 후기적 변모 양상을 다루기 위해서는 특정한 계층이나 계열만을 중심으로 파악하기보다는 포괄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본고에서 우선적으로 시도한 것은 연시조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분류의 기준으로서 논의 가능한 연시조의 구성 원리 대한 고찰이었다. Ⅱ장에서 중점을 두고 살펴 본것은 시상의 전개에 따른 각 장의 배열 패턴이었다. 이에 따라 연시조의 구성방식을 크게 순행구조와 병행구조 두 가지로 나누었다. 순행적 구성에는 내적 사유의 흐름에 따른 구성과 시간적 순차성의 원리에 따른 구성, 그리고 이념적 틀의 순서에 따른 구성이 있으며, 병행적 구성에는 각 소재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한 구성과 공간 변화에 따른 구성, 그리고 반복 구성이 있다. 순행적 구성은 각 장이 긴밀히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의미를 형성, 심화시켜 나가는 구성방식이며, 병행적 구성은 비슷한 성격의 장들이 나열됨으로써 그 의미가 병렬, 확장되는 형태의 구성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18·19세기 연시조의 작품 세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지속된 주제에 속하는 작품들은 크게 유가 이념을 읊은 노래와 강호한정의 노래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작품의 양상은 작가의 처지와 의식에 따라서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시조 작가들의 인식 변화로 인해 작품의 주제가 확장된 양상은 기행·유람 시조와 개별 사물을 형상화 한 시조, 현실 생활을 형상화 한 시조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시조들은 자연을 비롯한 개별 사물에 대한 가치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이루어진 작품들이다. 또 이 작품들은 작가의 주관적인 인식과 체험들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개성을 중요시하는 문학관을 배경으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18·19세기 연시조가 가지는 변모의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Ⅱ장과 Ⅲ장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바탕으로 18·19세기 연시조가 가진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주제와 형식적인 특성들을 유지하고 있는 연시조는 주로 재지사족들의 작품들에서 많이 나타났으며,새로운 형식이나 내용적 특성을 가진 연시조들은 주로 경화사족이나 중인가객들에 의해 주도되는 면을 보였다. 이처럼 18·19세기의 연시조 작품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세적 이념을 더욱 완고하게 지향해 나가는 모습들이 보이는 한편으로 변화된 시대 사조와 함께 하는 새롭고 다양한 특성의 작품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주제와 소재적인 측면에서 넓은 스펙트럼을 보이면서 확대되는 이러한 양극의 현상은 개인의 정서나 이념들을 직서적으로 표출하는 표현 방식에 의거한 것이며, 기본적으로는 '서울양반'과'시골양반' 즉, 경화사족과 향촌의 재지사족으로 뚜렷하게 분화된 이 시기 작가들의 신분적 위치에 기인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다양화, 개성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이 시기 연시조 작품들은 개인의 詩을 중시하는 당대의 문학론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8·19세기 연시조 작품들이 이 시기의 전반적인 문학의 흐름과 유리되지 않는 변모의양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했을 때, 이 시기의 연시조 작품들이 가진, 단형시조와 변별되는 문학적 특성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교술적이고 효용적인 특성의 강화'와 '형식적인 실험'이다. 사대부들의 이념과 사상을 명록하게 담아낼 수 있는 연시조는 단형시조보다는 확실히 교술적이고 효용적인 측면이 강하다는 특성을 가진다. 연시조의 형식 실험은 보다 전반적인 경향으로 나타나는 양상이다. 연시조는 형식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소지가 있었기에형식 실험을 통해 새로운 미의식을 창출하는데 도움을 받았던 작가도 있었으며, 이전부터 있었던 형식이라 해도 새로운 내용을 담아내는데 이를 적절하게 변용시켜 이용한 작가들도 있었다. 안민영의 형식 실험은 음악적 형식의 고찰까지 포괄하는 것이기에 더욱 적극적인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가객으로서의 안민영이 재지사족, 경화사족과 더불어 이 시기의 연시조의 주된 작자층으로 주목받게 되는 것은 이같은 이유에서이다.;Yonsijo is serial form of ordinary Sijo, not losing formal beauty of ordinary form, containing much more meaning than ordinary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ing pattern of Yonsijo during 18th and 19th centuries and find out the historical meaning. Since Yonsijo had been created and developed during that period,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Yonsijo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to understand the periodical inspect and literary character of them. The process of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ly, I identified the definition of Yonsijo and summarized the literal character through the examining the previous works on them. As a result of above study, I raised the necessity that Yonsijo should be examined in the extensive prospect, not in the base of particular classes. Therefore, I tried to setup new stand covering all kinds of Yonsijo to classify them. In Second chapter, I investigated pattern of each 연 in Yonsijo and classified the measure of development of poetical idea into two styles. One is round structure (structured by flows of persinal meditation, idealogical framework etc.) and the other is parallel structure.(Changing of space, subject matter and repetition of stucture) In third chapter, I especially examined the world of Yonsijo in 18th and 19th centuries. Traditional poetical ideas were spirit of Confucianism and "kangHoHanJung" , but the specific expression of them were differed from each other by individual. The theme of Yonsijo was expended into traveling, sightseeing, the pleasure and sorrow of real life. These works are reflecting the author's subjective congnition and experience, that is result of trend of individualism in literary world. In fourth chapter, in the basis of above discussion, I compared Yonsijo of this period with early form of Yonsijo during in middle and early years of Chosun Dynasty.Two trends are found in Yonsijo in this period. One is sticking to ideas of middle ages and the other is new type of Yonsijo diversified in subject and theme. These two ewtremes are partly from emergence of new ideas that directly express one's emotion. And social changes, that is classical differentiation between Yanhban is another main cause of that. Anyway, overall trend of Yonsijo was to express one's mind frankly in their works. Two distinctiveness of Yonsijo in comparison with ordinary one are 'intensifying instructiveness and effeciency' and 'experiment of formal beauty'. Yonsijo is more effective and measure to express the ideas of 'Sadaebu' class. Formal diversity contibuted in enriching the world of Yonsijo. Ahn Min Young, as a professional poet, was prominent person extended this trend to the structure of musical components in Yonsijo.-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기존 연구의 현황과 연구 목적 1 B. 연시조의 개념과 문학적 특성에 대한 예비적 검토 5 II. 18ㆍ19세기 연시조의 구성방식 12 A. 순행적 구성 14 1. 내적 사유의 흐름에 따른 순행 14 2. 시간적 순차에 따른 순행 19 3. 이념적 틀에 따른 순행 25 B. 병행적 구성 27 1. 소재에 따른 병행 27 2. 공간 변화에 따른 병행 29 3. 반복적 병행 31 C. 혼합적 구성 33 III. 18ㆍ19세기 연시조의 작품 세계 37 A. 전통적 주제의 지속 37 1. 유가 이념을 읊은 노래 37 2. 강호한정의 노래 48 B. 주제의 확장 : 인식의 변화를 통한 관심영역의 확대 60 1. 기행과 유람의 시조 60 2. 사물에 대한 관심 확대 67 3. 현실 생활에 대한 관심 확대 74 IV. 18ㆍ19세기 연시조의 특성과 시가사적 위상 82 A. 18ㆍ19세기 연시조의 특성 82 1. 전통적 주제ㆍ형식 유지 -재지사족들의 연시조 82 2. 새로운 형식ㆍ내용 주도 -경화사족, 중인 가객들의 연시조 84 B. 18ㆍ19세기 연시조의 변모와 그 의미 87 1. 주제ㆍ소재의 확대와 작품 유형의 다양화 87 2. 이념과 정서의 직서적인 표출 89 3. 주관적 체험, 개성적 인식의 반영 91 C. 18ㆍ19세기 연시조의 시조사적 의의 93 V. 결론 96 참고문헌 101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58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8 19세기 연시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10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