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uthors
김혜련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학술저널도 인쇄매체 중심이었던 데서 전자매체로의 출판과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술정보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저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런데 전자저널은 유형과 가격구조가 다양하고 이용방법이 다른 정보원과는 달라서 인쇄저널과는 상이한 관리상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전자저널의 장점을 활용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연구정보원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각 도서관에서는 효과적인 전자저널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설문조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전자저널의 개념과 역사, 특성, 유형을 개관하고 전자저널의 관리문제로서 장서개발과 접근 제공 문제를 고찰하였다. 전자저널 관리사례로는 전자저널의 구독과 관리에 대한 연구와 경험을 통해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 미국의 5개 대학도서관과 전자저널의 공동 구독, 공동 관리를 위한 미국 13개 대학도서관간의 컨소시엄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구독과 관리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무 담당자들의 전자저널 관리문제에 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64개 대학도서관에 배포하여 46개 도서관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서비스는 시작된 지 1~3년 정도의 초기단계로서 주로 패키지형 전자저널을 서비스하고 있었다. 순수전자저널보다는 인쇄저널의 전자버전의 구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컨소시엄을 통해 전자저널을 구독하고 있었다. 둘째, 전자저널의 구독과 관리는 수서과, 정기간행물실, 전자정보실 등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었고 많은 도서관에서 전자저널 점담사서를 배치하고 있었다. 셋째, 전자저널과 관련된 성문화된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도서관은 거의 없었다. 넷째, 전자저널의 예산은 대부분 정기간행물 예산에서 책정하거나 전자저널을 위한 별도의 예산을 마련하여 지출하고 있었다. 예산에 관해서는 전자저널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다섯째, 전자저널의 선정기준으로는 개별 저널에 대해서는 인쇄저널의 선정기준에 몇 가지 요소를 추가한 기준, 패키지형 저널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류의 전자자원 선정기준이 주로 적용되고 있었다. 무료 저널의 선정에는 전자저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참조되고 있었다. 그리고 전자저널 컨소시엄에 대해서는 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도서관이 많았다. 여섯째, 개별 전자저널의 선정은 수서사서와 정기간행물실 사서, 패키지형 전자저널의 라이센스는 수서사서와 전자저널 점담사서, 컨소시엄 가입은 수서사서와 정기간행물실 사서가 주로 담당하고 있었다. 일곱째, 전자저널의 편목과 분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 필요성과 관련하여 편목의 경우에는 필요하다는 인식이 47.7%, 불필요하다는 인식이 52.3%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분류의 경우에는 필요하다는 인식은 22.7%, 불필요하다는 인식은 77.3%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전자저널의 편목과 분류의 필요성 인식이 그다지 높지 않았다. 여덟째, 전자저널에의 접근 제공에 관해서는 전자저널을 제공하는 모든 도서관이 웹페이지에 패키지명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다른방법으로 접근을 제공하는 기관은 많지 않았다. 인쇄저널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전자저널에 대한 OPAC 안내는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56.8%)과 제공하지 않는 도서관(43.2%)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아홉째, 전자저널 관리상의 가장 큰 문제는 가격과 라이센스 협상과 관련된 구독상의 문제와 접근 제공과 관련된 서비스상의 문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전자저널 관리방안의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저널의 관리는 인쇄저널 관리의 정책과 절차에 기본을 두고 모든 업무과정에서 인쇄저널 관리자와 협의하도록 하였다. 둘째, 전자저널의 구독과 관리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여러 부서의 사서들이 함께 참여하여 결정하도록 하되 전자저널 담당자를 배치하여 업무의 효율을 꾀하였다. 셋째, 전자저널 관련 예산은 장기간의 라이센스를 위한 별도 예산을 책정하되 인쇄저널의 예산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전자저널의 구독과 관리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업무의 지침과 근거로 삼도록 하고 정책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선정과 구독에서 접근 제공에 이르는 전자저널 처리절차를 제시하였다. 여섯째, 전자저널의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을 내용적 요소, 형태적 요소, 이용과 관리 요소, 비용과 장비 요소, 데이터베이스 관련 요소, 패키지 관련 요소, 구독경로 관련 요소, 컨소시엄 관련 요소, 전체 장서의 일부로서의 평가요소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일곱째, 전자저널 수서의 의미와 과정을 유형별로 설명하고 라이센스 계약의 지침을 설정하였다. 여덟째, 전자저널의 접근을 웹페이지를 통한 접근과 OPAC을 통한 접근으로 제공할 것을 제안하고 특히 OPAC 접근의 저널 유형별 접근점을 기술하였다. 아홉째, 전자저널과 관련하여 구독과 라이센스에 있어서 \, 분류와 편목에 있어서, 이용에 있어서의 도서관간의 협력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전자저널은 빠르게 변하고 발전하는 정보원이므로 전자저널과 관련된 모든 절차와 정책과 기준에 관하여 시기 적절한 논의와 갱신작업을 할 것을 제시하고 이를 위하여 전자저널의 관리방안에 적용에 융통성을 두도록 하였다.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lishing and use of electronic journals have been increasing. At the same time, electronic journal services were begun to satisfy users' needs and convenience in university libraries which serve scholarly information. Due to the diverse types, prices and different manners of using electronic journals, electronic journals bring management issues which are different from paper journals To service electronic journals as convenient information sourc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effective management techniques for electronic journals in libr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anagement techniques for electronic journals which are necessary to serve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For this study, literature rreview, case studies and survey wer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review definitions, developments, features and types of electronic journals and to investigate management issues of electronic journals. And five university libraries and a consortium for electronic journals were studied for the case studies.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ubscription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and cognition of librarian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 managers of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Among them, 4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ctronic journal service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were beginning stages, which they began to serve electronic journals about 1-3 years ago. And a large majority of libraries were subscribing package based electronic journals and consortium based electronic journals. Second, acquisition department took the responsibility of subscription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in many libraries, followed by serial department and electronic information department. And there are special librarians for electronic journals in a large majority of libraries. Third, few libraries had a written policy for electronic journals. Fourth, many libraries used a budget for serials or a separate budget for electronic journals. And many librarians responded that a separate budget for electronic journals was necessary. Fifth, selection criteria for individual title based electronic journals in many libraries was that for print journals added by other criteria unique to electronic media. The criteria for package based electronic journals was the same with that for databases. For free electronic journals, website which includes electronic journal lists was used. And few libraries had a selection criteria for consortium based electronic journals. Sixth, acquisition librarians in many libraries took the responsibility of selection of individual title based electronic journals, followed by serials librarians. Acquisition librarians took the responsibility of licensing for package based electronic journals, followed by special librarians for electronic journals and serial librarians. Seventh, few libraries conducted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for electronic journals. About a half of respondents stated that cataloging for electronic journals was necessary, but few respondents stated that classification for electronic journals was necessary. Eighth, with regard to access service, all libraries which serves electronic journals served web pages with package lists. But a few libraries served access in any other way. About a half libraries showed access information for electronic journals on OPAC screens which users were able to use with print journals. Ninth, among the problems of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the most profoundest thing are prices, licensing negotiations and access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polices and procedures for print journals should be applied to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And it was proposed that managers of electronic journals should communicate managers of print journals in all stages of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Second,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managed by team based, but a special librarian for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hired. Third, with regard to a budget for electronic journals, a seperate budget for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used to license for a long term, but it should be used with a budget for print journals. Fourth, a necessity and elements of a policy were suggested. Fifth, porcedures of processing electronic journals were proposed. Sixth, selection criteria of electronic journals was suggested. It was composed of contents, forms, uses and managements, prices and implements, databases, packages, subscriptions, consortium, and relationships with total collections. Seventh, procedures of subscription of electronic journals were stated and a guidance of licensing electronic journals was designed. Ninth, coopeation with other libraries was suggested to subscribe, license, classify, catalog and use electronic journals. And it was suggested that all procedures, polices and criteria for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changed and reformed continually, because electronic journals were changing and developing rapid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