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9 Download: 0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의 생존경험에 관한 연구

Title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의 생존경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urvival and Experience of the Non-offending Mothers of Female Incest Victims
Authors
김경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Incest is a serious tragedy that the whole family has to go through that causes pain and shock but it was not widely discussed because of the taboo in our society. In Korea,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and interest on non-offending mothers. The researches that were conducted were mostly about evaluating on how the mothers were protecting the children by the professionals. Even though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in this area, the mothers were stigmatized into the stereotype of 'mothers who couldn't protect their ow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things that non-offending mothers go through in life through emic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on the mother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make the mother's voice heard as it i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be more specif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at can captu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us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look closely into the essence of the mother's experience of survival. Research participant were collected by snowball sampling. Research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mothers who have the experience of the husband sexually abusing the daughter and openly admitting to this incest. In this study, the mother's psychological, relationship wis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experience were studied in depth.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ive mothers whose child/ren have been victim/s of sexual abuse by their husbands and living with their children as single mothers after the divorce. While collecting the resources, the diar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official announcements, field notes and other related literature were collected additionally. Diverse resources were analyzed by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are spatiality, corporeality, temporality and relationality. This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reflection was used as our guide. Based on these existentials, the lived experience of the non-offending mothers were analyzed and examined to make out the essential themes of the structure of survival of the non-offending mother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non-offending mothers is summarized into the phrase 'demolish and rebuild'. These mothers have lost the trust in themselves and the people close to them. They have also lost their housing and financial support. But the non-offending mothers were able to rebuil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by voluntarily going through the painful process and have accepted the pain and the side effects from the tragedy to have a fresh start as the family with new concept. Moreover, these mothers have hope in their hearts even though they had difficulties in raising their children, economic hardships,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fficulties that are yet unsolved. They were mature enough to hope that their past tragic experiences will be used as a tool to help others. Specifically, the main themes of lived experience of mothers' of the victim of incest consist of three categories which are: 'recognizing the severe damaging breakdown within the nest', 'war and loneliness outside of the nest' and 'rebuilding the nest.' First of all, there are essential themes such as 'unbearable pain', 'being pushed to the edge of the cliff' psychologically and economically, 'the last strand of hope' that the husband will change and that the family will stay together by the efforts of the mother are under the category of 'recognizing the severe damaging breakdown within the nest'. Secondly, essential themes that are identified under the 'war and loneliness outside of the nest' are 'breaking the ties within the nest' which is getting away from the family to break the ties of dependence, relationship and economical aspects. Other themes include 'bearing all the burdens alone' which is having to handle lawsuits, therapies, raising the children and livelihood; 'holding on to the support' which is going through the difficulties with the help of the families, friends and the professional help centers. Lastly, under the category of 'rebuilding the nest', there are essential theme such as 'building a new nest' which is finding another place/person that can be depended on psychologically and the actual housing that they can live in. 'Living tied to the yoke of scars and pain' that represents not giving up but live with the difficultie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pain, 'embracing the past' is another theme which is bravely carrying on by accepting the past tragedy and scars into their lives with hope in their hearts. To summarize the important finding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experience of incest by the mother of the victim is a huge life altering experience. This tragedy has caused psychological damage, blame from the society, change in the housing and economic status along with other crisis. Secondly, the support system has a lot to do with the decision/reaction of the mother of the victim of incest. The mother was able to decide in the matters of lawsuits, divorce and therapy for the daughter, etc according to the advice and reaction from the support system. Thirdly, the mothers of the victim of incest has received help from many professional help centers on sexual abuse but they have also experienced harm in some cases since the centers were different in their treatment and approach to the mothers and thus the mothers have varied experience in this theme. Fourthly, it was proven that self-help group has very important effect on providing information and emotional support. Since incest sexual abuse is a problem that's hard to share with others with long term side effects, the mothers were able to receive lots of help by joining the groups such as this. Lastly, the mothers of the victims of incest are not passive nor lethargic but lived with the positive will to live and realizing maturity and synthesis. The implications of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oretic wise, there should be more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mothers of the victim of incest are another victims since they experience much psychological stress and side effects. Moreoever, there should be more interest and research in the lives and heavy responsibilities of the mothers after the family has been broken due to the incest. Especially,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on how the mothers' will and pow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practical aspect, since incest is a serious matter that breaks the family down unlike the sexual abuse by the outsider, there should be professional approach with regards to aspect of financial and relationship. There should be more interest in terms of connecting the mothers to the support system by recognizing their loss of financial support and relationship so that they can recover from these losses by separating from their husbands instead of criticizing the mothers. Another important function of the self-help group is that the mothers can reveal their secrets and apply their experience in terms of application and policies. Therefore, the need to strategically activate the self-help group is suggested. In terms of policy,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from the legal system and related agencies for the mothers of the victim of incest from getting harmed again.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safety device to prevent abuse or threat from the abusers who are biological fathers. We should be headed to the direction of solving this problem instead of hiding or letting this be the family's problem to take care of by increasing the discussion about incest into the public arena.;근친성학대는 그 문제로 인하여 가족이 겪어야 하는 고통과 충격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금기의 성향 때문에 사회적 문제로 폭넓게 논의되지 못하였다. 실제로 그동안 국내에서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수행된 연구들은 대부분 전문가적 시각으로 아동 보호 측면에서 어머니 역할을 평가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친성학대가 발생한 가족의 비가해 어머니는 대부분 자녀 보호에 실패한 문제가 있는 어머니로서 사회적 시각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형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의 삶의 경험을 내부자적 관점을 통해 탐구함으로써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의 생존 경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의 경험을 그들의 목소리로 직접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연구참여자의 경험과 의미를 있는 그대로 포착하여 드러낼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의 생존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참여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눈덩이 표집에 의해 모집되었다.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 중에서도 배우자가 딸을 성학대한 경우, 남편의 성학대를 분명하게 인정하고 드러낸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의 심리적, 관계적, 법적·제도적 측면의 경험을 보다 깊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고 분석에 포함된 참여자는 남편과 이혼한 후 자녀들을 데리고 생활하고 있는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 5명이었다. 자료 수집 과정에서 심층 인터뷰 외에도 관찰, 연구참여자의 일기·발표문, 연구 일지, 관련 문헌 등의 자료들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다양한 자료들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van Manen은 체험된 공간, 체험된 신체, 시간성, 관계성이라는 네가지 실존체를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의 지침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존체를 중심으로 어머니들의 체험의 본질을 반성하고 분석하여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 생존 경험의 구조에 대한 본질적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근친 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 생존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허물기와 다시 짓기’라는 주제로 응축되었다. 근친 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들은 배우자가 딸을 성학대한 충격적인 사건으로 인하여 자기 자신 및 주변 사람과의 신뢰에 대한 상실 뿐 아니라 주거 및 경제적 기반의 상실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들은 고통스런 투쟁의 과정을 겪어내면서 주체적으로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새로운 의미의 가족으로 새 출발함으로써 과거의 상처와 후유증을 수용하였다. 또한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자녀 양육, 회복되지 않은 정신적·신체적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갖고 살아갔으며 자신의 과거의 경험을 타인을 도울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하기를 기대하면서 성숙된 모습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들의 생존 경험에 관한 본질적인 주제들은 ‘둥지 속에서 일어난 치명적인 균열 인식’, ‘둥지 밖에서의 외로운 투쟁’, ‘다시 짓는 범주’의 세 가지 범주 아래 나타났다. 우선, ‘둥지 속에서 일어난 치명적인 균열 인식’이라는 범주 아래, ‘참아내기 어려운 고통’, 경제적·심리적으로 ‘벼랑 끝에 내몰리는 경험’, 가정이 유지될 것을 기대하는 ‘실낱같은 희망을 품음’의 주제들이 규명되었다. 다음으로, ‘둥지 밖 외로운 투쟁’의 범주 아래, 관계적·경제적으로 상호의존 상태였던 가정을 벗어나는 ‘둥지 속의 뒤얽힘을 끊어냄’, 고소·치료·자녀양육·생활 유지를 혼자 떠맡게 되는 ‘혼자 다 짊어짐’, 지지체계의 도움을 통해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버팀목을 잡음’의 주제들이 규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시 짓는 둥지’라는 범주 안에, 주거지 및 심리적 의지의 대상을 되찾는 ‘새로운 둥지를 지음’, 신체적·정신적 후유증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꿋꿋하게 살아가는 ‘상흔과 통증의 굴레에서 살아감’, 과거의 고통과 상처를 수용하며 희망을 갖고 살아가는 ‘과거를 보듬어 안음’의 주제들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에게 근친성학대 경험은 아동 뿐 아니라 어머니의 삶 전체를 변화시키는 큰 사건으로 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심리적 충격, 사회적 비난, 주거지 및 경제적 상황의 변화라는 많은 위기에 직면하였다. 둘째,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에게 지지체계는 가해자인 남편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결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는 지지체계의 반응과 조언에 따라 남편에 대한 고소, 이혼, 딸에 대한 치료 등을 결정할 수 있었다. 셋째,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들은 성학대 관련 전문기관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기도 했지만 때로는 이차 피해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전문기관에 따라 어머니를 대하는 태도와 접근방식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어머니들의 기관에 대한 경험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넷째,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에게 자조모임은 정서적 지지 및 정보 제공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친성학대는 다른 사람에게 드러내기 어려우면서 장기적인 후유증을 갖는 문제이므로 이러한 모임에의 참여를 통해 어머니들이 많은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들은 무기력하거나 수동적지 않고 적극적인 삶의 의지를 갖고 역경을 헤쳐 나가며 내면적인 성숙과 통합을 이루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주는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함의로는, 국내에서도 대안적 시각에 관심을 갖고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의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를 위기 상황의 클라이언트로 간주할 때 보다 많은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들의 정신 건강 문제, 남편과 이혼 후 한부모가정으로서 살아가는 어머니들의 생활과 어려움에 관한 관심과 연구들이 필요하다. 특히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어머니들의 역경에 대한 극복의지와 힘에 대해서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실천적 함의로는, 근친성학대는 외부인에 의한 성학대와 달리 가족 기반이 붕괴되는 심각한 문제이므로, 경제적·관계적 측면을 고려한 전문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어머니를 일방적으로 비난하기 보다는 경제적·관계적 상실을 인정하고 남편으로부터 벗어나 이러한 상실을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도록 주변 지지체계에 대한 평가와 연결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에게 자조집단은 비밀을 드러내고 자신의 경험을 실천적·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천 현장에서 자조집단에 대한 전략적 활성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정책적 함의로는,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의 어머니들이 기관 및 법적체계로부터 이차피해를 받지 않도록 예방 및 대응조치에 대한 논의가 보다 활발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친아버지로부터 학대나 위협의 재발을 막기 위해 가족들의 주소지 보호에 대한 안전장치 마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앞으로는 근친성학대의 문제와 대응에 관한 논의들을 좀 더 공론화함으로써 이 문제가 가족 내의 사적인 문제로 축소되거나 은폐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드러나고 해결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