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이윤경-
dc.creator이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6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이용행태 분석을 통해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노인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이용행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기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 제공의 목적을 갖는다. 또한 서비스 이용행태 분석을 통해 공식적 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가족보호의 변화와 관계를 파악하고, 제도가 지향하는 서비스 제공의 기본방향 달성의 평가와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Andersen의 행동모델에 기반하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행태를 결정하는 개인 요인과 지역요인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행태는 서비스 이용여부와 이용형태(시설보호와 재가보호)로 구분하였으며, 이들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으로는 소인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이며, 지역요인은 지역구분과 장기요양서비스 자원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활용한 자료는 노인장기요양보험 2차 시범사업에서 서비스에 대한 이용권리가 있는 요양등급 1~3등급의 노인 5,989명의 서비스 이용자료와 개인적 특성, 시범사업이 이루어진 9개 지역의 장기요양서비스 자원구성의 특성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자료의 위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층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이용에 대한 권리가 있는 노인의 60%만이 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시설보호와 재가보호의 비중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제도가 지향하고 있는 재가보호 우선이용이라는 정책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결과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노인보호에 있어 공식적 서비스와 비공식적 서비스간의 관계는 대체적 성격이라기 보다는 위계적이고 보완적 성격을 갖는다. 공식적 서비스가 제공되더라도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 보호는 52.1%는 변화하지 않으며, 38.5%는 공식적 서비스와의 보완적 특성을 갖고, 9.4%만이 대체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여부는 개인의 소인요인과 자원요인, 욕구요인 및 지역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며, 국민기초생활보호대상자는 일반소득계층과 저소득 계층에 비해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에 의해 수발을 받을수록 서비스 이용율은 낮아지며, 기본적일상생활능력(ADL)의 기능이 낮고 문제행동이 많을수록 서비스 이용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욕구는 욕구가 높을 수록 서비스의 이용은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지역요인에서는 농어촌지역에 비해 대도시와 중소도시는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며, 지역내의 서비스 종류가 다양할 수록 서비스 이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보호의 대체서비스인 요양병원이 많을수록 서비스 이용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의 상호작용효과가 서비스 이용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소득수준과 지역의 자원특성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는 개인의 비공식적 서비스 특성과 기능상태를 나타내는 욕구요인 및 지역의 자원구성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 서비스를 받을 경우 그리고 기능상태가 나쁠수록 재가보호보다는 시설보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요인에 있어서는 시설보호 대비 재가보호의 정원이 많을 수록 그리고 재가보호의 종류가 다양할 수록 시설보호 보다는 재가보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에 대한 본인 부담금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 분석결과 서비스의 이용은 소득수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본인부담금이 있는 소득계층에서 서비스 이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제도는 보편적 서비스를 지향하는 사회보험의 형태로서 소득수준에 따른 서비스 이용의 차이는 서비스에 대한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득수준에 다른 서비스 이용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안을 필요로 한다. 둘째,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 보호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을 필요로 한다.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 보호는 서비스의 이용을 감소시키며, 재가보호 이용을 촉진함으로써 노인개인에게는 지역사회에서의 노후(aging in place)를 가능하게 하며, 정책적으로는 비용부담을 감소시킬 것이다. 셋째, 지역적 동등한 접근과 재가보호 우선 원칙을 달성하기 위한 서비스의 양적 확대 및 시설보호와 재가보호의 균형적 발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지역간 서비스의 이용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역의 서비스 구성은 서비스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하에서 이루어진 서비스 이용행태에 대한 초기 연구이며,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행태 결정요인에 있어 개인요인 뿐 아니라 지역요인을 포함하여 HLM이라는 새로운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는 것, 그리고 한국에서 노인보호의 공식적 서비스와 비공식적 서비스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이용행태 분석을 통해 향후 서비스 수요를 예측하고, 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을 평가하여 향후 제도가 지향해야할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이와같은 연구의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시범사업 자료의 분석으로 인한 실제 사업과의 차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과 이차자료분석으로 인한 검증할 수 있는 변수의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향후 이루어질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행태 연구에서는 제도 도입이후 이용행태의 변화를 연구하고,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풍부한 요인의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overall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atterns of those who receive services from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LTCI) scheme and to pin down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behavior of those who are eligible for the LTCI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LTCI scheme and to provide a fundamental framework of forecasting measures of supply and demand of the LTCI for future policy references.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participation pattern, how the formal service provision influences the changes in social protection mechanism within family is discussed and assessment of achieving institutional aim as well as possible policy references are proposed. The study is based on Health Service Behavior Model of Andersen and particularly aims at analyzing how individual specific and demographic factors influence those eligible to take part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First, we asks if individual has joined the insurance scheme and if so, we study what types of service is provided (home care or facility c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include such individual specific parameters as predisposing characteristic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and at the same time demographic parameters containing characteristics and availability of long term care service resources in the community also play important role of shaping decision process. Data used here are from the 2nd pilot program for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cheme in which service patterns of 5989 aged and long term care service resources of the nine districts where the pilot program took place are included. Analytical method used is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hat can be used for the analysis of nested data structure available with current data set.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study. 1. Only 60% of eligible elders for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cheme are actually receiving the service, and for those who has joined the scheme, the type of service provided is almost equally divided into home care and facility care. With high institutional emphasis on prioritizing home care, we can clearly observe failure of achieving the goal of policy. 2. In Korea,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are scheme of elders is more complementary and hierarchical than substitutionary. Even if the formal service is being provided, 52.1% of informal care by family do not change while 38.5% of it has supplementary characteristics. Only 9.4% shows substitutionary end results. 3. Predisposition characteristic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of individual specific determinants as well as demographic factors play significant role of shaping individuals' decision of whether to take part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cheme or not. Women receive the benefits more than men do, and those who eligible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NBLSS) are shown to have higher proportion of receiving care compared to the middle income class and the low income class(here, referred to those who are not eligible for NBLSS but still considered living in poverty). In addition, higher the family care is available, lower the taking part in the service. Furthermore, the greater the level of difficulty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functioning and the higher the abnormal behavior, we observe higher participation rate for the scheme. Also, higher the nursing need, lower the service utilization we observe. For demographic factors, in big cities and mid sized cities, more people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an in (rural) farming and fishing towns, and wider the available services, service utilization is higher. Also, if there exists variety of nursing hospital, a substitutionary entity for facility care, (in the community) less people take part in the scheme. 4.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 that participants opt to choose depends on characteristics of informal service and need factors of each individual and availability of substitutionary care services in the communities. More the informal service provided by the family member and greater the level of difficulty with ADL functioning, participants choose the facility care. Also, regarding demographic factors, higher the ratio of institutional care to home care and wider the home care services available, participants decide to opt for home car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available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1. Adjustment of participants share of care service cost is neede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LTC scheme greatly depend on income level, and for those have to pay the share of cost, participation of the service is limited. The current system aims to provide universal service, in the line of social security, thus discrepancy observed in between different income groups contradicts the principle of equality needed for the scheme. Therefore, we are in need of alternative instruments to reduce the observed discrepancies of service participation among different income groups. 2. We need to find ways to reinvigorate informal family care. With increasing informal family protection, formal service particip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and by promoting home care, elders can age in place. In addition, governmental expenditure might as well be decreased. 3. In order to achieve the principles of 'equal access in different region' and 'home care priority', expansion of service quantity and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facility care and home care must be properly dealt with. According to the study, service participation rate is not considered constant across different region, and the availability of different services in different regions is proved to be a factor influencing service participating patterns.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provide groundwork for service participating pattern for Long Term Care Insurance scheme, and methodologically by incorporating demographic factors in addition to individual specific factors as decision parameters for service participation, and by using new statistical technique of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as well as testing interrelationshi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are elders in Korean society, the research has strong theoretical implication. In addition, the study has policy implication as well. By analyzing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cheme participation patterns, forecasting for future service demand become available and at the same time examining the equality of service participation provides policy alternatives. Still since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pilot program, when actual program takes place, we may observe unexpected differences. Furthermore, by relying on the secondary data, we have only limited number of variables to test effectively. Thus, for possible future research program, similar study analyzing service participation must be conducted after the actual program introduced. Also, variety of parameters influencing service participating must be tested (possibly using more reliable dat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 6 C.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개념 및 분류 = 9 B.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및 서비스 공급현황 검토 = 14 C.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모델 검토 = 24 D.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검토 = 34 Ⅲ. 연구설계 = 48 A. 연구모형 = 48 B. 연구질문 및 가설 = 50 C.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51 D. 주요개념의 조작적 정의 = 52 E. 자료분석방법 = 57 Ⅳ. 분석결과 = 60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60 B.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 현황 = 66 C.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여부 결정요인 분석 = 81 D.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시설보호 vs 재가보호) 결정요인 분석 = 97 Ⅴ. 결론 = 111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 111 B. 함의 및 제언 = 121 참고문헌 = 126 Abstract =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64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행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ⅷ,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