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광희-
dc.creator박광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6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6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674-
dc.description.abstract임신 중 체중변화와 임부 및 신생아 상태에 관한 본 연구는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를 기준으로 임신 중의 체중변화를 조사하고 임부의 불편감, 합병증 및 신생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임부의 적절한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중재에 활용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2000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울시에 소재 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분만을 위해 입원한 37주 이상 42주 미만의 단태임신 임부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의 참여를 승낙한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연구자가 관련문헌을 참조로 하여 작성한 일반적 배경, 임신 전 체중과 신장, 신체적 불편감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설문지와 산과력, 입원당시 임부의 체중, 고위험임신, 분만현태, 혈색소치, 신생아 아프가 점수, 신생아 체중으로 구성된 조사지로 이루어져 있다. 신체적 불편감은 김혜원(1996)의 신체적 불편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전산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부의 임신동안 편균 체중증가량은 13.8㎏이었으며 최소 3㎏에서 최대 26㎏의 체중변화를 보였다. 152명의 대상자 중 80명(52.6%)은 임신동안 체중증가량이 정상범위 안에 있었고 37(24.3%)은 과소 증가되었으며 나머지 35(23.0%)은 과다 증가하였다. 2. 임부의 체중변화와 불편감에 대한 조사에서 전체 대상자의 신체적 불편감 점수는 중간정도였고 과다체중증가군의 신체적 불편감이 (총점 44.06점) 과소체중증가군의 신체적 불편감보다(총점 42.73점) 약간 컸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F=0.234, p=0.791).한편 식욕부진은 과소체중증가군이 심했으며 (평균 2.08점, F=5.923, p=0.003) 손․발 부종은 과다체중증가군이 심했다(평균 2.54점, F=16.942, p=0.000). 일반적으로 전체 임부가 가장 많이 호소하는 불편감은 소변의 자주 마려움(평균 2.59), 피로감(평균 2.34), 메스꺼움․구토(평균 2.11)순 이었다. 임부의 체중변화와 고위험임신에 대한 조사에서 임부의 체중변화는 고위험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0.509, p=0.477). 임부의 체중변화와 분만형태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체중변화는 분만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χ²= 3.825, p=0.148) 임부의 체중변화와 분만 후 혈색소치 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임부의 체중변화는 분만 후 혈색소치 변화량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고 과다체중증가군의 분만 후 혈색소치 변화량이 가장 컸다.(F=3.062, p=0.05) 3. 임부의 체중변화와 신생아의 아프가 점수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임부의체중변화가 신생아 1분 아프가 점수(F=0.157, p=0855), 5분 아프가 점수 (F=0.030, p=0.090) 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의 체중변화와 신생아 체중에 대해 알아본 결과 임부의 체중변화가 신생아 체중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F=5.465, p=0.005) 임부의 체중변화량이 많을수록 신생아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0.256, p=0.001).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임부의 임신동안 체중변화가 과거보다 증가했으며 개별적인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에 따른 임신 중 체중변화는 임부의 분만 후 혈색소치 변화량, 신생아 체중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임부의 신체적 불편감, 고위험임신, 분만형태, 신생아 아프가 점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를 기준으로 임신동안 이상적 체중증가량을 제시한 권고안은 미국의 여성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에 따라 임신동안 이상적 체중증가량을 제시한 우리나라 임부 대상의 권고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is research is to study about the weight-change of a pregnant women, conditions of the woman and an infant. The weight-change of a mother during pregnancy was observed and that was expressed as the basis on the body mass index of a mother before pregnancy. The effects of weight-changes on both the discomfort, complications of pregnant mother and the condition of an infant were also investigated. Thus we set a purpose that this study would help pregnant woman and an infant to maintain and enhance their health conditions by proper weight control through nursing medi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certain hospital of university in seoul from Feb. 1. 2000 to Mar. 31. 2000. We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e hospital institution and obtained consent of investigation. 152 inpatients who were in condition from PA 42 weeks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earch materials were made through documents. This research materials was consisted of question paper that inpatients make answer by themselves and investigation paper. The question paper was about general background, weight and height before pregnancy and discomfort of the physical degree. and the investigation paper was about parity, maternal weight (late pregnancy), high pregnancy, delivery method, hemoglobin level, Apgar score, fetal weight. physical discomfort was measured using the implement made b Kim hae won(1196) (chronbach's α=0.85). SPSS was used to do statistics for managing and analyzin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ke followings. 1. the mean value of gained weight during pregnancy was about 13.8kg within from 3kg to 26kg. among 152 research candidates, the gained eight of 80 (52.6%) candidates remained within an ideal range. but that of 37 candidates(24.3%) became less than the ideal rage. also that of 35 candidates(23.0%) became over than the ideal rage. 2. in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weight change of a pregnant woman and her condition, the scores to represent physical discomfort were middle in all candidates. And the physical discomfort of over weight-gained group was more than that of low weight-gained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tistics(F=0.234, p=0.791). The loss of appetite that is one detail for measuring the physical discomfort was highest in low weight -gained group (average= 2.08, F=5.923, p=0.003). Extremity edema was severe in over weight-gained group(average=2.54, F=16.942, p=0.000). Also types of discomfort that the fatigue (average=2.34), the feeling of vomiting and emesis (average-2.11) in order. The weight-changes of pregnant woman didn't have an influence with the high risk of pregnancy (F=0.509, p=0.477) Also, the weight-changes didn't have an influence on delivery method (χ²=3.825, p=0.148). However, in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weight-change and hemoglobin level was highest in over weight gained group (F=3.062, p=0.05) 3. In the investigation of the weight-change of pregnant woman and the condition of infant, the weight changes didn't have an influence on both 1 min Apgar score (F=0.157, p=0.855) and 5 min Apgar score (F=0.030, p=0.970) of infant. Also, in the investigation of weight-change of a pregnant woman and weight difference of a infant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weight-change of a pregnant woman affected vastly the weight of a infa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re did gain weighty infants. This relation was in net proportion (r=0.256, p=0.001). In conclusion, these suggest that the weight-changes during pregnancy in Korea women of these days are more increased than that of the past days and individual variation in weight-changes is very high. Als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d hemoglobin level of a mother and weight of an infant were meaningfully affected by the weight-changes of a pregnant woman during pregnancy. However, the physical discomfort of a pregnant woman, the high risks of pregnancy, the delivery method and Apgar score of an infant were not affected by the weight-changes during pregnancy. Because, the recommendation suggesting the ideal weight-change, used this study, is basis on the subject of American women, therefore,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e necessity of such recommendation which is subject to Korean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정의 4 Ⅱ. 문헌 고찰 6 A. 임신과 체중증가 6 B. 임부의 체중변화와 불편감, 합병증 및 신생아 상태 9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 14 C. 연구도구 14 D. 자료수집 절차 및 방법 15 E. 자료분석 방법 15 F. 연구의 제한점 1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7 A. 연구대상자의 특성 17 B. 임부의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에 따른 임신 후 체중변화 19 C. 임부의 체중변화와 불편감, 합병증 22 1. 임부의 체중변화와 불편감 22 2. 임부의 체중변화와 합병증 24 1) 임부의 체중변화와 고위험임신 24 2) 임부의 체중변화와 분만형태 26 3) 임부의 체중변화와 혈색소치 27 D. 임부의 체중변화와 신생아 상태 29 1. 임부의 체중변화와 신생아 아프가 점수 29 2. 임부의 체중변화와 신생아 체중 30 Ⅴ. 결론 및 제언 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43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임신 중 체중변화와 임부 및 신생아 상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