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아내폭력' 경험의 성별적 해석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Title
'아내폭력' 경험의 성별적 해석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Authors
정희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to raise the problem on 'violence against wives' in Korea by focusing on its widespread interpretation and views with the feminist critical perspectives. The conventional approach toward the issue has been done with the intention to protect the family from ending the marital relationship accepting the gendered norm between husband and wife rather than to recognize the problem with the violation against the human right of victimized women as individual human being. The general attitude toward 'violence against wives' shown in the discourses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victim protection Act', the campaign on for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ives', and the conventional researches on the issue tends to emphasize the traditional value of the family as the fundamental unit of the society. In other words, the most persuasive discourses on 'violence against wives' have discussed the issue not with the feminist perspectives of gender equality but with the traditional ones to protect the family. In fact, the family centered approach toward the issue has had the very convincing logic to visualize the problem of 'violence against wives' in Korean society tightly associated with the familism. This kind of perspectives, however, fails to reveal the problem around the family system itself which has led to 'violence against wives'. Further, the conventional logic of a campaign aimed at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ives' conceals the power relationship among the family members in accordance the gender and the age.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aroused from this matter whose problem of 'violence against wives' without any critical examination on the unequal status and the role norm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family system could never help being interpreted with gender discriminating view, and as the result have the difficulty focusing on the victimized women in social response to the issue. It means that the public policy to solve the problem supporting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could never be compatible with the human right of the victimized women. This study intended to challenge the conventional perspectives on 'violence against wives' recognizing the issue not as the problem of the violation of human right against the women but as that of the family break up. With this intention, this study analyzed the gender role norm in the family by examining on how the social structure in Korea designating the identity of women not as the individual human being but only as the family member such as the wife and the mother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and its interpretation, social response to the issue, and the reproduction process of 'violence against wives'. The thorough in-depth interview with 45 battered women and 5 batterer and the literature review were simultaneously performed as the research method after examining on the conventional discourses on 'violence against wives'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feminist research methodology.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such as the interview with the subjects of different positioning and its following interpretation of their language, the various issues of the feminist research method such as the matter of the 'objectivity', research ethics, and the politics connected with the experience and pain of the women have arise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Violence against wives' is the common incidents of daily lives associated with gender role norm of husbands and wives in the family rather than the extremely abnormal case of marital relationship. The husband as an abuser sees 'violence against wives' as the important means to practise his gender role by fulfilling it as his down right and duty, and the way in keeping the relationship with his wife. All his arguments about the reason why he can not but abuse his wife can be attributed to the gender role norm of women in the family. The gendered identity, their different status, and the performance of their labor as gender role are all shaped through the family system not as individual men and women but as husband and wife. And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gender role, 'violence against wives' happens to occur and its incidents are normally accepted by the gender role norm in many cases. That is, the incidents of 'violence against wives' lie in the current family system itself based on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On the other hand, the victimized women themselves significantly play a role as the social subjects, and the gender power relationship in Korea tightly linked to familism put forwards that the wives incite the abuse of husband by behaving in such a way that violate against the proper gender role. Further, the battered wives also accept the violence of husband as part of the marital life, and tend to ignore or trivialize the matter, and sometimes try to remain in the marital relationship, providing themselves with good excuse by replacing the problem with another kind of matter such as mental sickness or overenthusiastic romance. 2) The victimized women tend to escape the violence of husband by fulfilling their gender role more perfectly to follow the advice of intimate others. They fail to, however, stop the violence itself but only to trap in closed circuit of viscous cycle of violence by transferring the very spot of violence. The fact that women's intention to escape the violence has to be conflicted with gender role as a wife and mother forces them not to be escaped from the violence with no choice but recurrence of traditional identity of women as a family member. Since their gender role in the family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human right of women, 'their right not to be battered' as the fundamental human right tends to be neglected or trivialized. Moreover, the overall gender discriminating arguments about 'violence against wives' in Korean society misrepresent the problem by distorting the resistance and self-defence of women into aggressive behavior toward husband, and symbolizing the escape of violence family as the disruption of family. Subsequently, as long as the current oppressive family system with unequal gender rome exists, both the compliance and the resistance to violence of husband can not help reproduce 'violence against wives'. For all these reason, this study tried to dispute the conventional family centered approach to the problem of 'violence against wives', pointing out that the family system requiring the gender role norm is systematically associated with the persistence of 'violence against wives'. The fact that women are battered in the domestic setting and its incidents are socially accepted by the gender role norm clearly shows that the different gender role between men and women is not natural gender division of labor due to the biological difference but implies the unequ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As has already been noted, the eradication of 'violence against wives' seems to be very difficult, as long as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demands the women to remain in private sphere with fulfillment of socially given gender role. The dominant ideas about normative family which makes the human right of women conflicted with keeping family in matter of 'violence against wives' appears to be very oppressive to women. Subsequently,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that does not raise the question about the gender discriminating aspect of current family system fails to provide any reliable social policy about 'violence against wives'.;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아내에 대한 폭력이 해석되는 방식과 시각을 여성주의 입장에서 문제제기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동안 ‘아내폭력’은 남편과 아내의 성별 규범(gender)을 그대로 인정한 상태에서, 피해여성 개인에 대한 인권 침해의 문제로 인식되기보다는 남편의 폭력으로 인한 가족의 해체를 우려하는 차원에서 주로 접근되어왔다. 가정폭력방지법 제정 과정, ‘아내폭력’ 추방 운동, 기존 연구 등에 나타난 ‘아내폭력’에 대한 담론은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가족의 가치를 강조한다. 이처럼 ‘아내폭력’은 성 평등(gender equality)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가족 보호의 입장에서 논의되어왔다. ‘아내폭력’에 대한 가족 중심적 접근은 가족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한국사회에서 ‘아내폭력’ 문제를 가시화 하는데 매우 설득적인 논리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아내폭력’이 발생하고 있는 가족 제도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는 결여하고 있다. 하나의 단위(unit)로서 가족의 소중함을 강조하는 기존의 ‘아내폭력’ 추방 논리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가족 구성원 사이의 권력 관계를 은폐한다. 본 연구는 성별 제도(gender system)에 의한 가족 구조 내 남녀의 불평등한 지위와 역할 규범을 비판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아내폭력’ 문제는 성(차)별적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사회적 대응 역시 피해여성 중심이 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아내폭력’ 문제에 있어, 가부장적인 가족 유지를 중심으로 한 대책은 피해여성의 인권과 양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아내폭력’을 여성인권 침해가 아니라 가족 해체의 문제로 인식하는 기존의 시각에 도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의 정체성을 사회적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아내, 어머니 등 가족 구성원으로서만 규정하는 우리사회의 구조가 어떻게 ‘아내폭력’의 발생, 해석, 대응, 재생산 과정에 관련되어 있는지를 가족 내 성역할 규범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기존의 ‘아내폭력’ 담론을 여성주의 연구 방법론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가해남편과 피해아내 50명에 대한 심층 면접과 문헌 연구를 병행하였다. 각기 다른 입장의 증언자(연구 대상자)들을 면접하고 그들의 언어를 해석하는 과정은 ‘객관성’의 문제, 연구 과정의 윤리, 여성의 경험과 고통을 둘러싼 정치학 등 여성주의 연구 방법의 여러 가지 쟁점을 제기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내폭력’은 부부관계의 극단적, 일탈적인 현상이라기보다는 가족 내 남편/아내의 성 역할 규범으로부터 발생하는 일상적인 사건이었다. 가해남편은 ‘아내폭력’을 아내의 ‘잘못’을 바로 잡아야 하는 남편으로서의 권리와 의무, 아내와 관계 유지 방법 등 남편 역할 수행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가해남편이 주장하는 아내를 때릴 수밖에 없는 이유와 내용은 모두 여성의 가족 내 성 역할 규범과 관련되어 있다. 즉 폭력의 이유는 성별화(性別化, gendered)되어 있었다. 개인으로서 남성과 여성은 가족 제도를 통해 남편과 아내라는 성별화된 정체성, 지위, 역할, 노동을 수행하는데, ‘아내폭력’은 남성과 여성의 성별화된 역할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며 그 역할 규범에 의해 정상화된다. 그러므로 ‘아내폭력’은 성별 분업에 기초한 현재의 가족 구조 자체 내재되어 있다. 한편 폭력 당하는 아내는 남편의 폭력을 부부생활의 일부로 수용화하면서 사소화하거나, 질병 등 다른 종류의 문제로 치환하여 인식함으로써 폭력을 견디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가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2) 피해여성들은 사회적 주체로서 폭력이 발생하는데 상당한 여할을 하는데, 가족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사회의 성별 권력 관계는 이러한 아내의 ‘역할’을 폭력의 ‘책임’으로 전환시킨다. 이리하여 폭력의 피해자인 아내는 남편의 폭력 행위를 해결할 것을 요구받게 된다. 피해아내는 남편과 주변의 요구대로 아내로서의 성 역할에 더욱 충실함으로서 남편의 폭력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이러한 아내의 노력은 가족이라는 권력 관계의 폐쇄 회로 속에서 폭력 발생 지점을 이동, 순환시킬 뿐 폭력 그 자체를 멈추게 하지는 못하였다. 피해여성의 탈출의지는 아내/어머니 역할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가족 구성원으로서 정체성에 회귀함으로서 폭력을 벗어나지 못했다. 여성의 가족 내 성 역할 수행이 여성의 인권보다 우선 시 되면서, 어머니/아내로서의 ‘도리’에 의해 인간의 기본권으로서 ‘맞지 않을 권리’는 유보되거나 사소화되었다. 또한 우리사회 전반의 ‘아내폭력’에 대한 성(차)별적 담론은 피해여성의 저항과 자기 방어를 남편에 대한 ‘공격’으로, 피해여성이 폭력 가정을 탈출하는 것은 ‘가정파괴’로 의미화 하였다. 결국 불평등한 성 역할에 의해 유지되는 현재의 가족 제도 아래서는, 남편의 폭력에 대한 아내의 순종과 저항 모두가 ‘아내폭력’을 재생산하였다. 본 연구는 ‘아내폭력’의 지속 구조에 개입한 가족 제도와 성 역할 규범을 규명함으로서 기존의 가족 중심적 접근의 한계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아내폭력’의 발생, 수용, 해석, 대응은 가족 제도를 중심으로 성별화(gendered)되어 있었다. 여성의 아내 역할 수행 여부가 남편에 의해 폭력의 이유가 된다는 사실은, 여성의 가족 내 성 역할이 여성 자신을 위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 즉 ‘아내폭력’이 남편과 아내의 역할 규범에 의해서 정상화되고 있는 현실은, 아내/남편 역할 수행이 생물학적 성차(性差)에 따른 자연스런 분업이 아니라 폭력에 의존해 유지되는 불평등한 권력 관계임을 보여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여성의 사회적 정체성과 역할을 가족 구성원으로만 한정하여, 여성을 사적인 존재로 규정하는 현재의 가족 제도에서는 ‘아내폭력’이 근절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아내폭력’ 문제를 둘러싸고 여성의 권리가 가족의 유지와 갈등하는 상황 자체가 현재의 가족이 여성에게 억압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아내폭력’ 해결 방식에 있어서 가족 구조의 성 차별성을 문제화하지 않는 가족가치에 대한 강조는, 오히려 문제의 원인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아내폭력’의 사회적 대책이 되기 어렵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