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北韓에서의 奚琴 改良에 대한 考察

Title
北韓에서의 奚琴 改良에 대한 考察
Authors
한서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에서 현재 쓰이고 있는 개량된 해금을 서양의 바이올린류 악기 및 한국해금과의 비교 · 분석하여 기존의 전통해금의 결함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또 개량으로 인해 사라진 점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북한의 개량해금을 서양의 바이올린류 악기와 악기구조 · 조율법 · 연주자세 · 연주법으로 세분하여 비교 · 분석하였는데 조율법과 연주자세는 소해금과 바이올린, 중해금과 비올라, 대해금과 첼로, 저해금과 더블베이스를 각각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북한의 개량해금을 한국해금과 비교해 보았다. 개량되기 이전의 북한 전통해금과 북한의 해금 개량 배경에 관해서 알아본 후 북한의 개량해금과 한국해금의 악기구조 · 조율법 · 연주자세 · 연주법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북한의 개량해금을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북한의 개량해금과 서양의 바이올린류 악기의 악기구조 · 조율법 · 연주자세 · 연주법을 비교해 보니, 악기의 구조에 있어 부분적이 차이는 있지만 북한의 개량해금과 서양의 바이올린류 악기는 거의 동일하다. 조율법은 소해금과 바이올린, 중해금과 비올라, 대해금과 첼로, 저해금과 더블베이스를 비교해 보았더니 각각 같았으나, 북한의 개량해금의 경우 실제 연주할 때에는 악보에 기보된 음보다 장 2도 낮게 소리나는 점이 다르다. 연주자세를 보면 북한의 개량 해금 4종류는 모두 의자에 앉아서 다리 사이에 악기를 고정시키고 연주하므로 연주자세가 동일하고 서양의 바이올린류 악기 중 첼로와 같다. 연주법의 경우 북한 개량해금의 주법 중 전통해금의 주법에 기초한 것도 있기는 하지만 모두 바이올린류 악기에 있는 주법과 동일하다. 둘째, 북한의 개량해금과 한국해금의 악기구조 · 조율법 · 연주자세 · 연주법을 비교해 보니, 악기구조에 있어서는 북한의 개량해금은 네 줄이고 한국해금은 두 줄인 점, 북한의 개량해금은 활이 악기와 분리되어 있는데 한국해금은 활이 악기와 분리되어 있지 않은 점이 대표적인 차이점이다. 조율법을 보면 북한의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은 4줄의 음정 간격을 완전 5도로 조율하며 저해금만 완전 4도로 조율한다. 이에 비해 한국해금은 2줄의 음정 간격을 완전 5도로 조율하는데 음장 간격 면에서만 볼 때 저해금을 제외한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한국해금이 모두 같다. 연주자세는 한국해금이 의자에 앉아서 연주할 때에는 악기를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연주하는데 비해 북한의 개량해금은 항상 의자에 앉아서 다리 사이에 악기를 고정시키고 연주한다. 연주법을 보면 북한의 개량해금의 기법 중 롱현은 한국해금의 농현에, 곁소리와 미분음은 시김새에, 끌소리는 추성 · 퇴성 · 퇴이추에 해당한다. 북한의 개량해금으로 민족음악을 연주할 때 한국해금의 전통적 기법인 곡선적 활대법을 쓰는 점도 동일하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개량해금은 울림통의 모양, 연주자세 및 몇 가지의 연주법에 있어서 전통해금에 기초하여 개량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분명히 서양의 바이올린류 악기와 유사하게 개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헌상의 분석을 통해서 볼 때도 전통해금의 고유한 음색이 없어지고 새로운 음색이 생겨났다는 점에서 다른 종류의 악기가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북한의 개량해금의 장점을 굳이 살펴본다면 악기를 4종류로 개량하였기 때문에 전통해금으로는 불가능한 음악적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보다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소화해낼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다.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improved Haeguem used now in North Korea with Western Violin-type instruments and the Korean Haeguem, this study is going to focus on inquiring into how they overcame the defects of the traditional Haeguem and what disappeared through the process of improvement.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with Western Violin-type instruments through subdividing it by the structure of instrument · the tuning · the playing position · the playing technique. In the tuning and playing position, Sohaeguem · Violin, Junghaeguem · Viola, Daehaeguem · Cello, Jeohaeguem · Contrabass were each compared. Nest, this study compared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with the Haeguem of South Korea. After looking into the traditional Haeguem of North Korea before being improved, and the background of the improvement of the Haeguem in North Korea, it analyzed and compared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with the Haeguem of South Korea in the structure of instrument · the tuning · the playing position · the playing technique. After studying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as above,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ructure · tuning · playing position · playing technique between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and Western Violin-type instruments, the structures of them are almost the same. In the tuning, Sohaeguem · Violin, Junghaeguem · Viola, Daehaeguem · Cello, Jeohaeguem · Contrabass were each compared, and they are also the same.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makes the lower sound by the major second than the one written on the score in the real playing. Regarding the playing position, since the player sits on a chair with the instrument between his legs when playing all four improved Haeguems, of North Korea, all of them have the same playing position. Among Western Violin-type instruments, the Cello and the Contrabass, which are played seated, have the same playing position as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In the case of playing techniques, even though some of the playing techniques of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are based on the ones of the traditional Haeguem, they are the same as the ones of Violin-type instruments. Secondly, this study compared the instrument structure · the tuning · the position of the player · the playing technique between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and the Haeguem of South Korea. In the structure of instrument, the big difference is that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has 4 strings while the Haeguem of South Korea has two, and that the bow of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is separated from the instrument itself while the traditional Haeguem of South Korea is not. In the tuning department, the interval gap of 4 strings in the Sohaeguem · Junghaeguem · Daehaeguem of North Korea is perfect fourth. On the other hand, the interval gap of 2 strings in the Haeguem of South Korea is perfect fifth. Just in the interval gap, the Sohaeguem · Junghaeguem · Daehaeguem and the Haeguem of South Korea are all the same, besides the Jeohaeguem. In the playing position, when played on a chair, the Haeguem of South Korea is put on the lap of the player, while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is placed between the legs of the player. In the playing technique, the techniques of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like the longhyun, gyunsori · mibunuem, gguelsori corresponds to the techniques of the Haeguem of South Korea like the nonghynn, sygimsae, chuseoung · toeiseong · toeichu. It is also the same in that when they play the national music with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they use the curved bowing technique which is the traditional technique of the Haeguem of South Korea. As a conclusion for this study, they tried to improve the Haeguem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Haeguem in respect to the shape of the resonance box, the playing position and some playing techniques, but in general, it can be said that they were improved to be similar to Western Violin-type instruments.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records, we can get the conclusion that a different kind of new musical instrument was born because the intrinsic tone-color of the traditional Haeguem disappeared and a new tone-color came into being. However, on the other hand, if we try to find the merits of the improved Haeguem of North Korea, we can cite the fact that it is able to make various musical impressions that would otherwise be impossible with the traditional Haeguem, and that it is able to handel more various musical genres because it is improved into four different ki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