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아-
dc.creator이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5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6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519-
dc.description.abstractGetting over the feminist ambivalent evaluation of motherhood - rejecting the 'motherhood as institution' and admiring the 'motherhood as experience' this study intended to portray the creation of a new woman subject, who is distant from the institutionalized motherhood while preserving the attitude and the value system embodied in being a mother. In doing so, I explored the mothers of 'Changjo-Hakgyo', who are expanding their personal motherhood into social one by participating in alternative educational movement. These mothers, full-time housekeepers of middle class are the nearest to the life style forced by patriarchally institutionalized motherhood, while they are also creating a new socially expanded motherhood both by penetrating contradictions of the present social system and by doing a transformative practice of their own. This study uses depth-interview of teachers of 'Changjo-Hakgyo' who are also mothers and other women who have organized these mothers. This study also uses participatory survey data of that field.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se mothers to expand their motherhood into an alternative educational movement while not confined in the institution of motherhood, the reformation of their 'social self' is required. Women, reduced to domestic being through marriage and procreation, have strong desires to be connected with society as members. Gratifying this desire while also satisfying their children's need, they take part in a social movement. By virtue of this participation, these women develop balanced selves between society and family, changing the character of time and space given to them and at last surmounting the patriarchal ideology that mother should sacrifice herself for her children and husband. Second, for these mothers to get out of selfish and parochial motherhood institutionalized by Patriarchy and also to be involved in social movement, the reflection of their 'maternal self' is needed. This 'maternal self', giving priority to their children's happiness and health over anything else, provides these mothers with a motive to position themselves as actors for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process of resisti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 depending mainly on the logic of competition, this 'maternal self' is also the source of the paradigm shift from 'competition' and 'success' to 'community' and 'quality of life.' Through reflecting process of 'maternal self', these women expand themselves from private mothers into social mothers. In doing so they also generate a 'feminine public sphere', which can be called a feminist politics. Third, to make up a new image of mother participating in social movement out of dialectic development of 'social self' and 'maternal self', the external existence of feminine leadership is required. These leaders found out these women have energy for social activity and have tried to lead them to productive social movement. Finally, these movement of mothers is restricted by patriarchal structure of sexual division of labor, and by the capitalistic value system existing inside and outside of the mothers themselves. The former confines these women into private mother while the latter does not regard these mothers' works as sound social activities. To get over these restrictions, non-governmental, local public sphere needs to be activated and many women demanding social membership and possessing relevant competence should play important parts with financial rewards. From these results, women can be the subjects of a social movement both by resisting present male system of competition and by constructing a new community whose aim is to cooperate. Further, through this movement, patriarchal dichotomy of public/private sector can be weakened. That is, by socially expanding their motherhood, women can challenge the male logic of competition and the patriarchal dichotomy of public/private. By exploring both many kinds of conditions and the multi-dimensional contexts of the social expansion of motherhood, this study found out a feminist politics from the mothers of 'Changjo-Hakgyo'.;본 연구는 여성주의의 모성에 대한 양가적 평가-'제도적 모성'에 대한 거부와 '경험적 모성'에 대한 찬양-을 지양하고 제도화된 모성으로부터 거리를 두면서도 모성 경험에 의해 체득된 태도와 가치를 살려나가는 새로운 여성 주체의 생성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안 교육 운동에 참여하여 자신의 모성을 사회적으로 확장시켜나가는 「창조학교」 어머니들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들은 중산층의 전업주부들로서 우리 사회에서 제도적 모성이 강요하는 삶의 방식에 가장 가까이 있는 여성들이라고 할 수 있지만, 아이를 기르는 어머니의 관점에서 현 사회 체제의 모순을 통찰하고 그에 대해 어머니로서 하나의 변형적 실천을 해나가고 있다는 면에서 사회적으로 확장된 새로운 모성을 창조해나가고 있다고 할 만하였다. 본 연구는 「창조학교」라는 대안 교육 형장을 만들어 나가는 주된 동력이라 할 수 있는 어머니 교사들과 이들을 조직하는데 관여해온 또 다른 여성들을 심층 면접하고 교육 현장을 참여 관찰하여 연구의 주된 자료로 삼았다. 사례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조학교의 어머니들이 제도화된 모성에 갇혀 있지 않고 대안 교육 운동이라는 형태로 자신들의 모성을 확장시켜 나가는 데에는 이 여성들의 ‘사회적 자아’가 재형성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였다. 결혼과 출산을 통하여 가정적 존재로 축소된 여성들은 사회적 성원으로서 가정을 넘어 사회와 연결되고자 하는 강력한 욕구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욕구를 아이와 연결된 공생의 논리로 풀어가는 과정이 대안 교육 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이 여성들은 사회와 가족 사이에서 균형 있는 자아를 개발해 나가면서 자신이 놓여있는 시공간의 성격을 변화시켜 나가고 자식과 남편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하는 어머니라는 가부장적 세계관을 극복해 나간다. 둘째, 창조학교의 어머니들이 이기적이고 편협한 가부장적 모성에서 벗어나 교육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이 여성들의 ‘모성적 자아’가 성찰성을 획득하고 발휘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아이의 행복과 건강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는 ‘모성적 자아’는 이 여성들이 자신을 사회 변형을 위한 행위자로 위치 지우는 (positioning) 모티브를 제공하며, 경쟁 중심의 교육 제도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경쟁’과 ‘성공’의 패러다임으로부터 거리를 취하고 보다 공동체적이고 삶의 질 자체를 존중하는 삶의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된다. 이처럼 ‘모성적 자아’가 성찰성을 발휘하는 과정은 이 여성들이 사적 어머니에서 사회적 어머니로 확장되어 가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새롭게 ‘여성적인 공공 영역’을 창출해 나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여성주의 정치학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셋째, 창조학교의 어머니들이 자기 내부의 ‘사회적 자아’와 ‘모성적 자아’의 변증법적 발전을 통해 ‘교육 운동하는 어머니’라는 새로운 모성상을 창조해 낼 수 있게 된 배경에는, 이들에게서 사회적 활동의 에너지를 발견하고 그것을 생산적인 사회 운동으로 연결시키려고 노력한 여성적 리더십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여성들의 사적 체험으로부터 공동의 문제가 걸러지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활동들이 상상되고 실행될 수 있는 거점으로서 아줌마들의 전용 공간이 필요하였다. 넷째, ‘교육 운동하는 어머니’라는 새로운 여성 주체를 만들어 나가는 어머니들의 운동성은 이들의 안과 밖에 버티고 서있으면서 이들을 사적 어머니로 국한시키려는 가부장적 성별분업 구조와, 화폐 소득과 연결되지 않으면 온전한 사회적 활동으로 간주하지 않는 자본주의적 가치체계에 의해 제약 당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 공동체 단위의 비정부 공공 영역의 활성화와 여기에 사회 활동의 욕구와 능력을 가진 주부 인력을 적절한 보상과 함께 활용하는 방안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성은 특정한 계기와 조건들 속에서 자신의 모성 경험을 통하여 현존하는 남성적 경쟁 체제에 저항하면서 공생의 가치를 지향하는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사회 운동의 주체가 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가부장적 공/사 분리는 약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성이 자신의 모성을 사회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남성적인 경쟁 논리와 가부장적 공/사 이분법에 도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창조학교라는 하나의 사례를 통하여 모성의 사회적 확장에 필요한 조건들, 거기에 개입하는 다차원적인 맥락들을 탐색하고 그 속에서 여성주의적 운동으로 의미화할 수 있는 부분을 발견해내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 제기 1 B.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7 C. 개념적 자원과 연구의 틀 15 II. '교육 운동하는 어머니'를 구성하는 첫 번째 계기:사회적 자아의 (재)형성 20 1. 정체성의 위기와 길 찾기: 자기 상실을 넘어 공생하는 자아로 20 1-1. 결혼해서 애 낳고 사는 것: 자기 상실 20 1-2. 시장의 압력과 제3의 길 찾기 22 1-3. 공생하는 자아의 선택: 교육 운동을 통한 사회 참여 26 2. 자기 조직화 과정: 가정에서의 분리, 사회로의 연결 31 2-1. 지지 집단 속에서의 자기 발견 31 2-2. 가족으로부터의 자기 분리 34 2-3. 시공간의 재조직화 36 3. 교육 운동 참여의 긍정적 결과들 40 3-1. 자기 존중감의 회복 40 3-2. 타인의 인정 43 3-3. 권력 자원의 획득 46 3-4. '희생'의 세계관을 넘어서 48 III. '교육 운동하는 어머니'를 구성하는 두 번째 계기: 모성적 자아의 성찰 49 1. 사회변형을 위한 행위자로서의 어머니 51 1-1. 제도 교육의 모순에 대한 통찰 51 1-2. 교육 운동의 주체되기 과정: 갈등과 승화 56 1-3. 사회를 변형시키는 어머니의 방식: 사람을 변화시킴으로써 세상을 바꾸기 62 1-4. 사람을 변화시키는 어머니의 교육 65 1-4-1.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아이 66 1-4-2. 자연, 인간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아이 68 1-4-3. 어머니의 교육 72 2. 모성의 확장: 사회로, 미래로 74 2-1. 사적 어머니에서 사회적 어머니로 74 2-2. 사적 어머니와 공적 시민 사이의 갈등 79 3. 여성적 공공 영역의 창출: 공/사 이분법을 넘어서 83 3-1. 집단적인 모성 실천: 아이 기르기(mothering)를 공공 영역으로 확장하기 83 3-2. 여성적 공공 영역이 만들어지는 방식 88 IV. 어머니의 운동성 형성에 작용한 외적요인들 91 1. 여성적 리더십의 존재 92 1-1. 소외된 에너지의 발견 92 1-2. 주부에게 힘을 주는 여성주의 의식 95 1-3. 사람 하나 하나를 변화시키기 99 1-3-1. 자기 힘 회복하기 100 1-3-2. 공동체 이루기 102 2. 운동의 거점으로서의 공간 105 V. 어머니의 운동성을 제약하는 요인들과 극복 방안 107 1. 가부장적 성별 분업 구조 속에서 108 1-1. 여성 내부와 외부의 가부장체제 108 1-2. 주부 운동에 대한 남편들의 참여가 갖는 이중적 의미 110 2. 사회적 정체성의 획일성: 시장적 자아의 전횡 114 3. 제약 요인들을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 방안들 117 V. 요약 및 결론 121 참고문헌 126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346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모성의 사회적 확장에 관한 탐색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대안교육운동에 참여하는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13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