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1 Download: 0

고려속요 여성화자 연구

Title
고려속요 여성화자 연구
Authors
양은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현존 고려속요 가운데 나타나는 여성화자의 특성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화자에 관한 연구는 서정양식에 속하는 속요도 소통의 일종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고는 텍스트 내 소통에 주목하여 ‘화자 - 메시지 - 청자’의 관계를 기본 층위로 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다. 현존 여성화자 속요를 연구하고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여성이 아닌 화자가 나오는 현존속요들 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부전속요들까지 검토대상으로 범위를 넓혀 살펴보는 과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우선 문학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과정을 속요의 특성에 입각하여 살펴보고 야콥슨의 의사소통모형을 적용하여 고려속요의 소통관계를 도식화해 보았다. 다음으로 현존속요와 부전속요의 화자, 청자의 유형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부전속요에 비해 현존속요에 여성화자의 작품이 월등히 많으며, 화자와 청자가 텍스트에 현상적으로 나타나 뚜렷한 소통구조를 이루는 작품들은 현존 여성화자 작품들뿐임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여성화자 속요에 나타나는 소통구조의 유형을 ‘나 - 님의 관계구조’와 ‘나 - 남의 관계구조’로 구분하고 각 소통구조의 메시지 표출방식을 호칭법과 대우법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또 이 두 가지 소통구조가 실제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양상에 따라 여성화자 속요를 ‘나 - 님의 관계구조형’, ‘나 - 남의 관계구조형’, ‘나 - 님과 나 - 남 관계구조 혼합형’의 세가지로 나누어 직접적인 작품 분석에 임했다. Ⅳ장에서는 앞장의 결과를 기본으로 속요에 나타나는 여성화자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 논하였다. 전대 시가인 고대가요와 향가 또 부전속요들이 배경설화와 함께 기록되어 서사적 틀 속에 존재하는 것과 달리 현존속요는 설화와 분리되어 서정시로서의 독자성을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여성화자 속요의 서정시적 성격은 소통구조의 확립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 여성화자 속요에서 보이는 화자와 청자의 소통은 고려라는 시대 배경적 요소가 배제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들이었다. 고려속요의 수용은 고려시대 창작에서 1차 수용까지의 작품 형성기와 조선시대 문헌화에서 이루어진 2차 수용의 선택적 수용기로 나뉘어져 이중적 수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선택적 수용기가 지난 후 여성화자 속요 가운데 특히 ‘나 - 님의 관계구조’ 소통을 보이는 속요가 우세해진 이유는 첫째, 나, 님의 주종관계가 후대인 조선에서 군신관계로 변개가 용이한 것이었던 점과 둘째, 한시에서 보이는 악부시 전통과의 관련에서 찾을 수 있었다. 정서적 측면에서 보면 속요에서 여성화자가 나타내는 정서는 사랑으로 집약되었다. 이 보편적 정서인 사랑은 실제 작품에서 ‘사랑 → 이별의 한/그리움 →화합을 갈구하는 극복의지’의 세 단계 가운데 진행에 따라 세 가지 패턴으로 나타났다. 문학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볼 때 여성화자 속요에서 주를 이루는 ‘나 - 님의 관계구조’는 고대가요인 <공무도하가>에서부터 나타난 전통적 소통구조였는데 이는 속요에서 비로소 소통구조로서의 성격이 정형화된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청자 ‘님’의 성격이 연모의 대상인 이성과 연군의 대상인 임금으로 양분되어 형상화되면서 후대 시가인 시조나 가사에서 여성화자시의 전통으로 이어졌다. 또한 이 소통구조는 김소월이나 한용운과 같은 현대시 시인들의 작품에서도 여성화자시의 한 전형을 이루고 있어서 국문시가 전통에 있어서의 여성화자 속요가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또 여성화자 속요는 여성문학 가운데서도 여성성과 관련을 갖게 되는데 이 여성성은 문학적 장치로써 여성화자가 선택되면서 소통구조의 성립과 함께 획득된 것으로 우리나라 여성문학의 한 특징을 이루게 된다.;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lucidate the main feature of the female speaker among the existing Koryu Sokyo. The study about speaker premises Sokyo which is lyrical form is also one of the communication. So I pay attention to communication in the text and investigate the relation in 'speaker - message - hearer' as the basic discourse level. For elucidating the main feature of female speaker in existing Sokyo, it is required to examine not only the existing Sokyo but also the nonexisting Sokyo. Therefore in chapter Ⅱ , I look into communication process in Sokyo and try to make it's own process model. Then I study the type of speaker and hearer in both of the existing and nonexisting Sokyo. There are more female speaker found in the existing Sokyo and only it has obvious communication structure. In chapter Ⅲ, I divide communication structure of female speaker's Sokyo into two types, 'Na(I) - Nim(Lover) relation structure' and 'Na -nam (Others) relation structure'. and according to how these two communication structures are shown in real works, I classify female speaker's Sokyo by three types, 'Na - Nim relation structure type', 'Na - Nam relation structure type', 'Na - Nim & Na - Nam relation structure mixed type'. In chapter Ⅳ , I discuss the main features of female speaker in Sokyo and it's literary - historical meaning. The ancient lyric poems & Hyangga which exist before Sokyo and the nonexisting Sokyo relying in the dramatic situation of the narrative, but the existing Sokyo constructs the style of lyric poetry. Expecially the lyric feature of female speaker's Sokyo is related to establish communication structure. The communication between speaker and hearer in female speak's Sokyo isn't shown any factors of the age of Koryo. The reception of Koryo Sokyo can be divided two, one is the period of form making which correspond from making an original work to the first reception in Koryo dynasty, the other is the period of selected reception which is publication in Choson dynasty. After the second reception, female speaker's Sokyo specially 'Na - Nim relation structure' became superior. There are two reasons, the first reason is 'Na' and 'Nim' relation is easy to change the sovereign and subject relation. The second reason is easy to change the sovereign and subject relation. The second reason can be find it is influenced by Acbu poetry tradition of chinese poems. Female speaker's emotion can be said only 'Love'. This love is so popular thing but in real works it has three patterns according to progress in three degrees 'Love →Yearning after separation → The overcoming will for love again'. In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Na -Nim relation structure' which the main of female speaker's Sokyo, is traditional communication structure, it can find in at the first. This structure become the fixed form in Sokyo at the first time. That time the character of hearer 'Nim' is divided into two meaning, 'man' and 'sovereign'. Then this structure tradition flow in Sijo and Gasa which are after lyrics poetry and even in modern poetry like Kim So Wel and Han Young Un. So we can see female speaker's Sokyo is of importance in Korean lyric history. And female speak's Sokyo is connected with female literature expecially female nature which is acquired by female speaker for literary apparatu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