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교사의 교육 경험을 통해 본 학교 성교육에 관한 여성주의적 접근

Title
교사의 교육 경험을 통해 본 학교 성교육에 관한 여성주의적 접근
Authors
유은주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당국이 성교육 실시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고 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성교육이 항상 비판을 받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성교육의 현장에서 성교육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일들을 살펴보기 위해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의 경험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 성교육이 중요한 교육의 주제로 인정받지 못하고 주변부로 밀려나고 있는 역동적 과정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당국은 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여러 가지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하고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노력들은 교육 현장에서 그 목표를 만족시키는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성교육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나 지침들은 학교 안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이용되거나) 변형되거나 의도적으로 무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학교 성교육은 형식적인 것에 불과했다. 하지만 일부 교사들은 형식적인 교육을 넘어서는 성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직접 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도 사회와 마찬가지로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성교육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다. 게다가 기존의 문제 있는 성교육이 전달해 온 부정적인 결과물들이 많은 상황이다. 이런 이유들은 교사의 성교육 실천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셋째, 학교 성교육은 여교사들이 중심으로 성별화 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이다. 이는 성교육이 여학생이나 여성들과 관련된 것일 뿐, 남성의 관심사와는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 속에서 남성 집단(학교장, 동료 남교사, 남학생)의 저항과 반발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는 성을 둘러싼 남녀의 권력관계가 드러나는 성별정치학의 과정을 그대로 보여준다. 여교사들은 이런 성교육 실천 속에서 여성에게 작용하는 사회적 불평등을 들여다보는 시각을 획득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것은 성교육이 성 평등의 교육으로 발전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넷째, 이렇게 개인의 의지와 노력으로 진행되는 성교육이 학교 안에서 살아남는(장기적으로 지속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제도적 지원이 영향을 주지 못하고, 사회 문화적으로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이 많은 성교육 환경뿐만 아니라 권력이 적은 여교사들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교사들은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나,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성교육 수위(가르칠 수 있는 한계)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까지 떠안고 있다. 이런 조건들은 교사가 개별적으로 해결하기 힘든 문제이다. 그러나 한편에서 교사들은 뜻을 같이하는 교사들과 연대하면서 성교육을 하는데 부딪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런 연대는 현 단계에서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성교육을 생산해 내는 기반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것처럼 성교육은 자발적으로 성교육을 떠맡고 있는 일부 교사들, 특히 여교사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 중심의 성교육 실천은 학교에서 성교육이 주변화 되는 결과인 동시에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여전히 성교육이 여성의 문제로만 인식되고 있을 뿐, 남성들의 이해를 이끌어내는 데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 당국이 성교육의 내실화와 활성화를 지향하는 이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문제점들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성교육 활성화가 단지 양적인 교육의 팽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당국에서 설정하고 있는 성 평등의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라고 했을 때, 학교에서 전개되는 성교육 주체와 대상의 성별화 현상에 대한 적극적인 해소 노력이 요구된다. 더불어 성교육에 우호적인 학교 환경을 만들어 내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This research started out by questioning the reason why sexuality education in the schools is net showing visible improvement even with the educational authorities' public announcement of the plan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sexuality education. As a way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and mechanism of school sexuality education, the sexuality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the stu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exuality education is net being regard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subject and that it is being marginalized within the schools through a dynamic process. A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education authorities are providing multiple systematic support and guidelines, they are not gaining much effect on the public educational scen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ystematic support and guidelines for sexuality education are transform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in unexpected ways or purposely ignored within the schools. Most of the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in the schools are nothing more than formality. But there are some teachers who are holding their ground and trying to practice sexuality education that goes beyond the education of forms. Second, the schools are not free from the society's stereotypes and prejudices about sexuality. Also, the shortcomings of the past school sexuality education have accumulated negative influences. Such circumstances operate as an impediment to the teachers' practice of sexuality education. Third, school sexuality education is mostly undertaken by women teachers. This phenomenon bears witness to the belief that sexuality education is for female students and women, not men. The women teachers in charge of sexuality education often meet the resistance and protest of the male group(the school head, male teachers, male students), which manifests the gender politics taking place in relation to sexuality. Through their practice of sexuality education, women teachers sometimes gain an insight into the social discrimination that operates against women, which can serve as a momentum for the development of sexuality education into gender equality education. Fourth, sexuality education entrusted onto individual teachers' will and effort has grave limitations. The government's systematic plans seldom have practical effect, the school environment is one in which there are many distorted views about sexuality, and sexuality education is carried out by women teachers, who have comparatively little power. On top of that, the teachers have to come up by themselves with ideas for efficient teaching methods and set limits on the matters to teach about sexuality, and issue of social controversy. As a way of overcoming this difficult situation, sexuality education teachers are forming associations through which to share their problems in sexuality education and find solution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basis for the creation of concrete and realistic framework of sexuality education at this stage.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education authorities are aiming the reinforcement and expansion of sexuality education, the problems pointed out in sexuality education not only mean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programs, but also the accomplishment of gender equality, and active effort to diminish the genderization of sexuality education is needed. Also, there should be a specific alternative to create a school environment that is sympathetic to sexuality education. This research revealed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s on sexuality education within the schools and the gender politics surrounding the practice of sexuality education. In feminism, sexuality educ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as the area in which to raise the issue of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nd to find a practical way to change gender power rel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