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오분-
dc.creator권오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5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6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523-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started from my uneasy feeling that most article of the military have treated it macro societal or systematic problem without considering any women's positions. It can be imagined that Korean society has been in the powerful national security ideology. Operatively, in this situation, it reduces many discussions of the military to personal military experience which is very oppressive. For example, on December 23, 1999, the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the extra score system for post-conscripts in public service personnel exams have violated constitutional gender equality caused debates not about what is real problem about the military service but only about why women who have no experience try to impinge men's least authority. Therefore, I have attention to individual male experience of the military, because it can show how the militarism operate in our society through the process of signifying male experience. In this process, it is needless to say women have intermediated between male experience and the militarism. I us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emale students of co-ed colleges, including women's colleges, owing that I thought we can have better understanding if we focus on women's invisible role and women's service. Besides I looked at gender debates on the internet after the decision of the violation constitution of the extra score system for post-conscrip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co-ed colleges are places not only of freedom and intelligence but also of identifying "collective community". In this place, while male students go to the army, female students experience many events related of the military, for example an welcoming party and a farewell party, writing a letter and going to meet him. Yet, men only who experience conscription make a connection with themselves in the their own category. In the colleges, mails' experience of the military service get a meaning and an authority because it works a kind of mechanism making a differentiation and hierarchy according to whether he experienced military service or not and where, how experienced. Especially, a fixed discourse structure, telling a story of the military experience, let women situate listener whereas men speaker and make them assimilate into males' experience. Sometimes men receive a physical punishment from their senior in their daily lives, so that they are in an extension of the military experience. In contrast of men, women have been treated differently being excluded. So, we know that women connecting with men's experience are situated in cultural mechanism like the reproduction of the militarism. First, women are acknowledged being who have to be taken care of a soldier, so that they have to help male soldiers in the daily lives actively. Second, women are being who cannot resist to this mechanism. They become recognize themselves 'scattered being' looking at 'united' men through the military, and they constitute imaginative hegemony about it through men. Therefore, they think men's attitude which shows hierarchy in the society a problem, but they cannot deny or struggle with it. In addition to this, it is more difficult that they make an issue of the military. The reason is like these: one is that pointing a problem about the military is regarded as a threat to the national security in our society of "the state-the military", and the other is that for women it is difficult to deny their men's painful, personal experience. Following this process, in co-ed colleges, male's experience of the military get a meaning, and women also are incorporated into the course forcefully. This is a way of operating the militarism in our society. Notwithstanding, we can see a possibility of some change in colleges. IN the petition case of the extra score system for post-conscripts, female students have better awareness who they are, why they have to be dealt with men differently, and where they are posited, so that it is more possibility to be visible their collective standpoint. Women's collective voice will show the mechanism of the militarism which is intermediating women, after all we can see the discourse structure to keep the line of 'men=soldiers=the state'.;이 글은 안보논리가 아직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군과 관계된 논의의 대부분은 여성과는 무관한 거시적이거나 체제적인 문제로 다뤄진다는 불편함에서 출발한 것이다. 특정한 연령대의 모든 남성이 일정한 기간 동안 군인이 되어야 하는 한국에서는 실제 군과 관련된 문제들은 진지한 토론의 주제가 되기에 앞서 개별 남성들의 억압적인 군대경험으로 환원이 되어 다른 논의의 가능성을 차단해버린다. 이는 군가산제 위헌 판결(1999년 12월 23일)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개별 남성의 군대경험이 우리 사회에서 의미화 되는 방식이 바로 우리사회 군사주의의 작동을 한 부분일 것이라는 판단 하에 남녀공학 대학에서 군대경험이 의미화 되고 구체화되는 방식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미화 과정에 필수적으로 매개되는 존재인 여성들(여대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이는 이 과정에서 비 가시화되는 성별성과 여성의 복무를 보여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군가산제 위헌 결정 후 사이버 상에서 진행된 논쟁들도 자료로서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남녀공학 대학은 자유와 지성의 공간으로 받아들여지지만 동시에 ‘공동체’라는 이름으로 집단적 정체성이 부과되는 공간이다. 이곳에서 남학생들은 군대를 가게 되며 여학생들도 환영회, 송별회에 참여하고 편지를 쓰고 면회를 가는 등의 군대와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을 함께 경험하게 된다. 이때 군복무를 통해 군인으로 범주화되는 남성들이 집단적으로 획득하는 경험은 여성들도 포함되는 대학생이라는 범주를 넘어서는 그들만의 매개점이 된다. 대학 안에서 이러한 군대경험이 의미화 되고 권력을 가지게 되는 것은 군대경험이 군필자와 미필자, 또 군필자들 사이의 위계와 차이를 만드는 기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군대이야기라는 정형화된 담론구조는 여성을 청자로 위치시키고 남성 화자들의 경험에 동화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일상에서 때때로 얼차려와 단체기합이라는 이름으로 신체에 행해지는 군기잡기식의 통제를 통해 군사주의 논리에 익숙하게 되는데 이때 여성은 열외를 당하므로 남성과는 다른 존재로 취급받게 된다. 이렇게 의미화 되는 과정을 통해 여성은 군대경험을 매개하며 군사주의를 재생산하게 되는 문화적 장치 안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우선 여성은 군인의 보호를 받는 존재, 또 군인의 능력을 나타나는 존재로 규정됨으로서 알아서 적극적으로 군인 남성들을 지원하는 미시적인 행위들을 수행하게 한다. 또 다른 측면은 여성의 저항을 불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유지된다. 여성들은 군대를 기점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고 위계서열에 철저해지는 남자들의 모습을 통해서 군대를 경험한 ‘똘똘 뭉치는’ 남성들과는 다른, ‘낱낱이 흩어지는’ 존재로 스스로를 인식하게 되고, 군대를 직접 체화한 국가적인 존재인 남성을 통해 군대에 대한 상상적 헤게모니를 구성한다. 따라서 군대를 전후해 보이는 남성들의 모습이 문제라고 생각은 하지만 저항하거나 거부하긴 어렵다. 더욱이 군에 문제제기 한다는 것은 ‘국가=군대’로 당연시해 온 우리의 상황에서는 국가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공포스러운 일로, 남성을 통해 국가와 만나는 여성들에게는 고생스러운 군복무를 한 군인인 개별 남성의 경험을 부정하는 힘든 일인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남녀공학 대학에서 남성들의 군대경험은 의미화 되며 여성들 또한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때로는 타자화 되어 포함되는 것이며 이 과정이 우리사회에서 군사주의가 작동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는 변화의 가능성을 읽을 수 있는데, 군가산점제 위헌소송에서 드러난 것처럼 남학생들과는 다른 여학생들의 입장이 가시화되고 집단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여성들의 집단화한 목소리는 군사주의가 여성을 매개하여 작동한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며, 우리사회에서 ‘남성=군인=국가’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들이 유지되기 위해서 동원되는 담론의 구조들을 볼 수 있게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1.1 문제제기 1 1.2 이론적 논의 7 1.2.1 군사주의 성별정치학 7 1.2.2 한국 페미니스트들의 문제제기 17 1.3.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0 1.3.1 군사주의 개념에 대한 재정의 20 1.3.2 연구내용 및 구성 23 1.3.3 연구방법 25 1.3.3.1 연구참여자 25 1.3.3.2 연구방법 및 과정 30 제 2 장 남녀공학의 대학의 지형 36 2.1 집단적 정체성을 부여하는 문화 37 2.2 군대라는 일련의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으로서의 대학 43 2.3 남자들의 매개점으로서의 군대경험 47 제 3 장 군대경험을 통해 작동하는 군사주의 56 3.1 분류와 범주를 통한 위계와 차이 56 3.1.1 군대를 경험한 철든 남자 56 3.1.2 차이를 만들어내는 기제로서의 군대경험 65 3.2 담론을 통해 구성되는 군대의 헤게모니 72 3.2.1 정형화된 군대이야기 73 3.2.2 청자로서의 여성 78 3.2.3 군대이야기에 대한 여성들의 동조 84 3.3 일상에서 행사되는 통제와 규율 90 3.3.1 만약의 상황을 위해서 필요한 군기잡기 91 3.3.2 열외를 통한 여성의 배제 100 제 4 장 여성을 통한 군사주의의 재생산 108 4.1 여성의 적극적 지원 108 4.1.1 군인의 '보호' 받는 존재로서의 여자 108 4.1.2 군인의 능력의 척도로서의 여성 114 4.1.3 알아서 챙기는 여자들 120 4.2 저항의 부재 130 4.2.1 저항할 수 없는 타자-똘똘 뭉치는 남자/낱낱이 흩어지는 여자 131, 4.2.2 군대에 대한 상상적 헤게모니-국가적 위협이라는 내재화된 공포 137 제 5 장 결론: 변화 가능성 148 [참고문헌] 154 Abstract 1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704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군대경험의 의미화 과정을 통해서 본 군사주의 성별정치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남녀공학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c.format.pageiv, 1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