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수진-
dc.creator조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6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5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61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알베르토 쟈코메티(Alberto Giacometti, 1910-1966)의 초기 조각을 원시주의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구이다. 쟈코메티의 조각 작품 세계에서 초창기는 일반적으로 1925에서 1935년 사이의 기간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시기 그는 1940년대 이후의 가늘고 긴 인물 조각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고도의 상징성을 내포한 조각들을 제작하였다. 미술사가들은 그 동안 이 작품들을 당대의 대표적 미술 사조였던 초현실주의와 연관시켜 왔으나, 기존의 단면적인 해석으로는 쟈코메티가 1935년 무렵 돌연 자신의 초기 조각을 스스로 거부하고 아방가르드 미술과의 완전한 단절을 선언한 이유를 명확히 설명할 수 없었다. 필자는 쟈코메티의 이러한 수수께끼 같은 행동에 주목하고, 그의 초기 작품 세계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 원시주의를 도입하였다. 20세기 초반 서구 모더니즘 미술의 반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원시주의는 1980년대 이후 미술사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담론 중의 하나이다. 필자가 원시주의를 쟈코메티 초기 조각의 주 특징으로 설정하게 된 것은 쟈코메티가 평생을 일관되게 지녔던 성향, 즉 타문화에 대한 우호적 태도와 관심이 작품 속에서 지속적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여러 조사를 통해 그것이 그의 유년 시절에서부터 시작되어, 미술가로서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하던 청년기에 다양한 원시 미술을 접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 결과 쟈코메티의 초기 조각은 그 시발점에서 이미 단순히 표피적인 원시 미술 양식의 차용을 넘어 원시적 정신성을 언급하는 수준에까지 도달할 수 있었다. 한편 쟈코메티 조각의 원시주의는 1929년 무렵 일단의 전위적인 문화운동가들을 만나면서 더울 심화되게 되는데, 바로 이다 초현실주의자들(dissident surrealists)리라고 불리는 조르쥬 바따이유(Georges Bataille)와 그의 동료들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당시 급속히 부상하고 있던 민족지학(ethnography)에 관여되어 있었으며, 앙드러 브르통(Andre Breton)이 이끌던 정통 초현실주의와 결별하고 극도로 저열한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서구 이상주의와 인문주의에서 해방되고자 했다. 이들이 서구 문화를 위협하기 위해 민족지학자적 시각으로 조사하고 연구한 원시의 문화와 미술을 쟈코메티에게 자료로 제공되었고, 이후 그의 조각 작품은 이단 초현실주의의 사상을 예술적으로 구체화해 나가는 실레가 되었다. 쟈코메티는 자신의 작품들 속에서 서구 문명이 금기시 해온 性, 폭력, 죽음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전위적 태도를 보였을 뿐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조각 형식상의 혁신까지도 창출해 내었다. 필자는 쟈코메티와 이단 초현실주의자들과의 만남 이후의 원시주의를 ‘지적 원시주의’로 명명하고, 원시 미술과 문화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이해를 갖췄을 뿐 아니라 서구적 자아와 원시적 타자간의 경계를 타파하고자 희망했다는 이유에서 그것이 기존의 모든 형태의 원시주의 가운데 가장 긍정적 가치를 지닌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지적 원시주의도 그 이면에 자리한 모순과 한계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완전한 자기 타자화(self-othering)를 지향했던 쟈코메티와 이단 초현실주의자들의 기획은 어쩌면 자아 파괴 이후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리라는 결말을 이미 예고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들이 이상과 현실간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함으로써, 지적 원시주의는 단명하고 말았다. 그리고 필자는 바로 이 지점에서 초기 조각에 대한 쟈코메티의 갑작스런 포기의 원인을 찾고자 한다. 즉 그의 행동은 원시주의의 극단을 추구함으로써 스스로 깨닫게 된, 서구 미술가로서의 자신과 작품의 정체성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도피책이었던 것이다. 모든 것을 버리고 원점으로 다시 회귀하는 것만이 가능한 최선의 방법이었다. 그러나 비록 쟈코메티가 스스로 원시주의를 포기했다 해도, 그로 인해 지적 원시주의의 미술사적 중요도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원시주의는 오늘날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문제성을 지니기에, 오히려 그의 노력과 실패의 과정이 더욱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쟈코메티의 초기 조각은 분명 서구 미술사상 최고로 타자에 근접했던 미술이었다. 이를 입증해 나가는 과정에서 이제까지후기 조각보다 가치 절하되고 있던 쟈코메티의 초기 조각을 재평가하고, 긍정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본 논문의 의의는 바로 이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arly sculpture of Alberto Giacometti(1901-1966) in terms of primitivism. In general, the early sculpture of Giacometti refers to a decade from 1925 to1935. It is certainly different from that of his later sculpture after 1940's represented with the thin human figures. His early sculpture involves sophisticated symbols and connotations. Art historians have explained his early sculpture in relation to the Surrealism, an art movement predominant in that era. That kind of view, however, could not clarify why he had to abruptly reject his early work and denounce the Surrealist avant-gardes. Focusing on the break of his sculpture, I suggest to introduce the theory of primitivism as a paradigm to review his early work. Primitivism is one of academic discourses most actively discussed in the modern art history since 1980's, as well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ie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ism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primitivism would be a main assumption to decode the meaning of early sculpture of Giacometti, since he persistently presented empathy with primitive art and culture throughout his life. Through several researches, we found that he got interested in primitive culture form his early childhood, and cultivated his interest seriously when he started his artistic career. He succeeded to allude the spirituality of primitivism aspect. He deepened his affection for primitivism, when he joined a group of avant-garde artists including Georges Bataille and his coterie called dissident Surrealists. They denunciated Andre Breton, the leader of the orthodox Surrealism. They wanted to be liberated from European tradition of idealism and humanism with the study of ethnography, one of academic trends and humanism with the study of ethnography, one of academic trends rapidly emerging in that time. Their ethnographic studies onprimitive art and culture threatened the tradition of European culture, and became resources for the early sculpture of Giacometti. His sculpture was an artistic example to embody the philosophy dissident Surrealism. He explored prohibited topics of sew, violence, and death with his work, and created innovative style with his sculpture. The primitivism of Giacometti and the dissident Surrealists may be classified into 'intellectual primitivism,' which is the most affirmative, I think, among the border of European self and primitive other, understanding the substances of primitive art and culture. However, the intellectual primitivism has also its problem. Giacometti and the dissident Surrealists might anticipate the end of their digression. The thorough self-othering would not be an alternative for their self-abnegation. The ideal of intellectual primitivism failed to be realized into the real world. That presumption could explain the reason why Giacometti changed abruptly his sculpture. he turned himself from drastic conflicts between self identity as a cultivated European artist and primitive other. Though he could not help giving up his primitivism has its meaning in art history. As primitivism continues to be an influential theory in the post-colonial era, we may refer to him and his art practice. The early sculpture of Giacometti is an instance of the most advanced art of other in the history of European art. With this thesis, I want to speak to the balance of his early sculpture,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than the later sculpture of Giacometti.-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양식적 원시주의 : 1920년대 중반 11 A. 아방가르드에 의한 문화적 타자의 발견 11 B. 원시주의의 형성 : 외래 미술 양식의 차용 20 III. 지적 원시주의 : 1920년대 후반-30년대 초반 32 A. 프랑스 민족지학과 이단 초현실주의 32 B. 쟈코메티와 조르쥬 바따이유의 만남 42 C. 철학적 사유의 방식으로서의 원시주의 52 1. 바따이유의 'bassesse' 개념의 도입 52 2. 기존 조각 규범의 전복 66 IV. 지적 원시주의의 이면 74 V. 결론 82 참고문헌 87 도판목록 97 도판 103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959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알베르토 쟈코메티(Alberto Giacometti)의 초기 조각(1925-1935)에 나타난 원시주의-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