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용미-
dc.creator김용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5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50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해방 이후 한국 화장문화(化粧文化)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화장은 여성이 얼굴을 가꾸는 단순한 행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각 시대의 여성관을 비롯한 사회상과 미의식을 반영하는 문화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장문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해방이후 화장문화의 바탕이 되는 삼국시대부터 개화기까지의 화장문화를 각 시대의 사회상․여성관과 연관 지어 고찰하였다. 해방이후의 화장문화는 신문 및 여성잡지 기사와 광고에 게재된 사진을 분석하여 연대별로 화장의 경향과 화장품의 발달, 장업계(粧業界)의 변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화장문화의 변화․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대별 화장문화의 경향은 다음과 같다. 1945년에서 50년까지는 모든 물자가 부족한 상황에서 미군 PX에서 유입되는 기초 화장품과 열악한 원료와 시설 가운데 국산 화장품이 생산되었다. 당시의 생산 품목은 크림류가 주를 이루었다. 1950년대에는 한국 전쟁의 혼란이 극복되고 미국의 경제원조가 시작되면서 화장품 산업이 조금씩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크림류는 지속적으로 생산․판매되었고 희고 깨끗한 피부를 가꾸고자 하는 열망으로 인해 표백 기능을 가진 화장품과 약제(藥劑)도 애용되었다.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되었던 1960년대에는 그에 따른 여성의 사회 진출이 많아짐에 따라 화장이 여성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시기에는 기초 피부손질을 중요시하고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로 강조하는 한편 입술은 엷은 분홍색 또는 오렌지색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화장이 유행하였다. 1970년대의 경제적 안정과 대중문화의 발달은 화장문화 발전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70년대부터는 계절과 의상, T․P․O에 따른 화장이 유행하였다. 눈 화장 위주였던 60년대에 비해 입술화장도 보편화 되었으며 색상 사용이 다양화되었다. 피부도 흰 피부만을 선호하던 것에서 벗어나 햇볕에 그을린 피부도 선호하게 되어 자연스러운 건강미 또한 추구하게 되었다. 1980년대는 컬러 TV가 보급되고 ‘86 아시안 게임’, ‘88 서울 올림픽’ 등의 국제적 행사가 치러짐에 따라 세계의 화장문화를 더욱 빠르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80년대에는 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색조화장이 더욱 발전하였고, 장업계는 바이오(BIO)제품을 선두로 알로에(Aloe), 행인유(Apricot Kernel Oil) 등을 원료로 한 기능성 화장품을 생산하여 질적인 성장을 꾀하였다. 고도의 기계문명, 고소비사회로 진입한 1990년대의 화장문화는 무엇보다도 자연스러움을 추구하게 되었다. 소비자들은 이미 성숙된 화장에 대항 경험과 지식으로 기능적이면서도 각자의 피부와 개성에 맞는 화장품 및 화장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남성 화장품이 다양해지고 영상세대인 청소년층의 화장이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해방 이후 한국 화장 문화의 변천 요인으로는 여성관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의 변화, 매스미디어의 발달, 외래 문물의 유입, 여성미에 대한 가치 기준의 변화, 과학 기술의 발달을 들 수 있다. 여성은 교육 수준과 취업률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을 통해 자기 주장과 자신의 미의식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매스미디어의 발달은 여성잡지를 비롯한 정기 간행물, TV, 광고를 통해 화장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해 주었으며 화장의 대중화에 큰 역할을 하였다. 외래문물 선화 사상은 서구적인 미인을 동경함과 동시에 외국산 화장품과 화장법의유입을 촉진 시켰다. 여성미에 대한 가치 기준의 변화로 인하여 미의 관심이 얼굴에서 몸 전체로 바뀌었고 선호하는 미인상 또한 변화되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화장품의 원료 및 제조 기술이 향상되었고 성형외과․피부과의 미용성형 및 피부 관리 기술의 발달 또한 해방 이후 화장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The range of make-up is not to be limited by the very action of decorating woman's face. But it should be considered a kind of culture that reflects the chronogical changes of social viewpoints, including that toward woman, and the concepts of beauty. Outlining the meaning of make-up culture, this thesis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that culture which varies from Three States of Age to The Period of modernization, relating them to the viewpoints to the society and the women of each period. The make-up culture after the liberation is chronogically described, that is, the developments of make-up trends and cosmetics as well as the changes of cosmetic industry are considerably analyzed, supplemental by photos in newspapers, women's magazinens, and commercials. In this way, the factors that caused the developments and changes are suggested. The period from 1945 to 1950, under the shortage of all kinds of goods, domestic cosmetics started to be produced, even tough raw materials and facilities were deficient, and basic cosmetics were fluxed from the U.S. Military Post Exchanges. In this period, cream-type cosmetics of various purposes and usages covers the main production. In the 1950's, as Korea overcome the chaos after the Korean War, the cosmetic industry become gradually active with the help of the economic aid from the U.S.A. There were a lot of whitening cosmetics and medicines, owing to the desire for clearer skin while cream-type cosmetics were continuously produced and sold.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allowed women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o that make-up was generally accepted. Leading make-up trend in those days was emphasie eyes with eye liner pink or orange lipstick. The financial st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culture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make-up culture in the 1970's, which can be called the age of color make up. Diverse types of make-up, depending on seasons, clothing, T.P.O. were required. And, compare to the eye make-up in the 1960's, lip make-up with various colors was popular. Turning from the white skin, women looked for the tanned skin and also pursued natured healthy beauty. In the 1980's, the spread of color TV and the international affairs such as the 1986 Asian Games and 1988 Olympic Games introduced international make-up culture. Color make-up starting in the 70s made further advancement in quality by manufacturing cosmetics from aloe and apricot kernel oil, etc. Reacting to the highly mechanical and consuming society, natural beauty Served the end of make-up culture in the 1990's. Experience and knowledge about make-up have been accumulated for decades and made possible for people to select their own cosmetics and make-up methods. Also, men's cosmetics became various culture were the changes of viewpoints to women, the developments of mass mess media, the influx and liking of foreign culture, The changes of the concepts of beauty, and the scientific progress.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opportunities in jobs and education for women increased, so that women could express themselves through make-up. The progress in mass media, including women's magazines, TV, commercials helped women get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ake-up. Preference to foreign culture sped up influx of foreign cosmetics and make-up as well as the liking of western beauties. Scientific development improved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cosmetics, and the growth of cosmetic surgery and skin care operation in the fields of plastic and dermatology exerted on important effect an make-up culture. As mentioned adove, Korean make-up culture since the liberation is facing the new millenium on the way of its rapid changes and improvement. Cosmetic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nd growing as s high value-added industry. Nevertheless the imprudent usage of cosmetics and uniformed make-up to produce unidentifiable beauties need reconside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한국 화장문화의 배경 4 A. 한국 화장문화의 개념 4 B. 한국 화장문화의 역사적 배경 5 (1) 상고시대 5 (2) 삼국시대 7 (3) 통일신라시대 9 (4) 고려시대 13 (5) 조선시대 15 (6) 개화기 18 III. 해방 이후 한국 화장문화의 변천과 특성 23 A. 1945년 ~ 1950년 23 B. 1950년대 26 C. 1960년대 30 D. 1970년대 37 E. 1980년대 42 F. 1990년대 47 IV. 해방 이후 한국 화장문화의 변천 요인 56 A. 여성관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의 변화 56 B. 매스미디어의 발달 60 C. 외래문물의 유입 65 D. 여성미에 대한 가치 기준의 변화 69 E. 과학기술의 발달 73 V. 결론 및 제언 78 참고문헌 81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012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해방 이후 한국 화장문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