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선미-
dc.creator진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4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5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492-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의학의 발달과 경제 수준의 향상 및 노인인구의 급등에 따라 노인에 관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노인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약해져가며, 은퇴와 더불어 경제적 불안정을 경험하고 그들이 속해 잇는 사회와 가족으로부터 역할의 변화를 경험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체제 속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그들의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이 주요한 이슈로 등장하게 됨에 따라, 우리는 그들이 삶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보아야 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 봐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먼저,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정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노인의 삶의 여러 방면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그들이 독립적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능력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간과될 수 있는 요소로서 사회적 지지정도가 있다. 이는 개인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결속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물질적 정신적 도움을 의미한다. 인간의 정신적 · 신체적 건강은 이러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일상생활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더 건강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활만족도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노인들이 자신의 목적을 성취하였다고 느끼며, 자신을 가치있다고 여기고, 정서적 사회적 어려움없이 그들의 욕구가 충족되는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활동정도, 그리고 사회적 지지정도를 측정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보여지며,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노인간호 중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Kats(1963)와 Lawton(1971)에 의해 고안된 설문지를 통해 일상생활활동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박지원(1985)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사회적 지지정도를, 윤진(1982)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고, 노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일상생활활동정도, 사회적 지지정도 그리고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연구대상은 재가노인 160명이며, 이 중 6명은 설문조사가 완전치 않아 제외되었다. 2. 대상자 일상생활활동정도는 평균 평점이 2.91, 표준편차는 ±.22로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정도(평균 2.93~2.99)에 비해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정도 점수(평균 2.76~2.97)가 다소 낮았으며, ‘1가지 이상 약간 도움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25%이었으며, ‘1가지 이상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고 한 경우는 7.8%였다. 모든 문항에서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고 한 대상자는 없었다. 3.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의 평균평점은 3.71, 표준편차는 ±.55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2.18, 표준편차가 ±.47로 나타났다. 5.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는 사회적 지지(r=.24, p<.05)와 생활만족도(r=.37, p<.05)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r=.61, p<.05)간에도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일상생활활동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증가하며,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증가함을 나타낸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정도는 연령(F=14.39, p=.00), 건강상태(F=.02, p=.00), 여가활동(t=-2.81, 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른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건강상태(F=3.94, p=.01), 여가활동(t=-2.60, 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른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8.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건강상태(F=7.81, p=.00), 여가활동(t=-6.34, p=.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른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활동정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여지며, 또한 일상생활활동정도,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여가활동정도는 노인간호의 중재개발에 있어 의미있는 변수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2. 재가노인뿐만이 아닌 시설노인과 입원노인 등에도 확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다. 3.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 여가활동과 관련한 심도있는 연구와 함께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이 필요하다.;As the population of old people increase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with old people in terms of many aspects such as physical, psychic, and social aspects. They get weaker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as they become older. So, how much old people a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s their aging and quality of life is emerging from among these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ADL,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home residents. Subjects were 152 elderly home residents in Seoul, Korea. The tool in this study were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Kats(1963), IADL(Instrument of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by J. W. Park(1984) and the instrumen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old people by J. Yoon(1982)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PC+: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mean value of ADL score was 2.91±0.22. The score of ADL(2.93~2.99) was lower than that of IADL (2.76~2.97). The percentage of old people who answered that they needed help a little bit and a lot in doing at least one item among queery were 25% and 7.8%, respectively. No one answered that they needed much help in doing every items. 2. The mean value of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3.71±0.55 3. The mean value of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as 2.18±0.47. 4. The higher the degree of ADL was, the degree of social support(r=0.24, p<0.05)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r=0.37,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which shows that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increased as the degree of ADL increased,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increased. 5. The degree of ADL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y became older(F=14.39 p=0.0000). Also, the healthier they thought themselves(F=0.02 p=0.000) and the more they had extra time to spare(t=-2.81 p=0.01), their degree of ADL was significantly higher. 6. The healthier they thought themselves(F=3.94, p=0.01), and the more they had extra time to spare(t=-2.60 p=0.01),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7. The healthier they thought themselves(F=7.81, p=0.00), and the more they had extra time to spare(t=-6.34 p=0.00),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clusion, the health status of old people and their extra time to spare are significantly important in the degree of ADL,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hich are closely relat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I suggest the followings: 1.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kind of study should be repeated. 2. The old people who stay in asylum or hospital should be included in future studies. 3. The method which can utilize extra time of old people to increas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6 II.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7 A.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 7 B. 사회적 지지 9 C. 생활만족도 12 III. 연구방법 17 A. 연구설계 17 B. 연구대상 17 C.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7 D. 연구도구 18 E. 자료분석방법 20 IV. 연구결과 및 고찰 23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B.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정도 25 C.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27 D. 대상자의 생활만족도 30 E.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31 F.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일상생활활동정도, 사회적 지지 및 생활만족도 34 V. 결론 및 제언 41 참고문헌 45 부록 51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07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재가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의 관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