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규희-
dc.creator김규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3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5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45-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of study is initiated from the critical mind that our society has an unreasonable viewpoint of juveniles in the orphanages. Even though they are in a structurally specific case compared with those grown up at normal homes, they should not be subject to unfair biase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This paper based on the critical mind mentioned above reviews their present emotional stability, and it pursues the hypothesis that they are not inferior to normal youth through their positive self-evaluation and plans for their futures founded on this emotional stability. We will try to overcome through cases in this pap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above mentioned is how flexibly the family structure is replaced. In fact, the roles of siblings are getting replaced but the roles of parents especially fathers', are relatively short. However, imperfection of the replacement doesn't necessarily mean that their emotional support is different from normal ones. Consequentl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at underestimation of their emotional stability is unreasonable. Some aspects were reviewed in the present paper to figure out the emotional stability of orphans; one that looked ov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rphanages, the other that was reviewed was the orphans own self-conceptions of the juveniles in orphanages. In addition, the replacement types of the emotional support which normal juveniles were supported by; their own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out. Finally, it was figured out how much the juveniles of orphanages. we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It could be said that their emotional stability was not inferior to normal juveniles through researching how often much their future plans were positive. Also, that their specific experience didn't lead them to negative perceptions was discovered in the middle of researching their image of their future family.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n the aspect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each fosterer is responsible for about 10 children. It means that there must be differences between normal juveniles and them in the point of 'support.' But in the fact that the subjects of support are usually their friends, it could not be said that the emotional support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short compared with normal juveniles. And inside orphanages, they had many subjects who were friends, fosterers, etc. Those subjects were good examples of the replacement of family structures. In this situation that the emotional support was ensured, they were asked how they felt about self-conceptions. All of them answered that they had affirmative thinking about themselv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They were also asked what they thought of their lives in orphanages, and whether they talked to other friends and surrounding people(excluding the people of orphanages) about the fact that they lived in orphanages. On this question, they answered that they didn't want to resent of deny it although their lives were started under unavoidable circumstances. And when their openness to their lives in the orphanage was reviewed, they all thought that there was no reason not to be honorable because it was not necessary for them to dissemble it. Finally, those young people who were emotionally stable enough were asked about their future plans and image of their future family. This question was to point out the problems which should be improved by government policy for the children under structurally specific circumstances. Their futures plans were as affirmative as normal juveniles. But, they actually become laborers because they faced many problems, especially financial problems, after being released from, the facility. It is one of the structural weaknesses. That the number of children each orphanage has to be responsible for is relatively large means lack of converging care. It becomes a major cause in that the juveniles in orphanages are badly evaluated compared with normal ones. And they have so few opportunities to study role of a married couple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such Due to those fact, the present writer suggested Group-home to improve the structural weaknesses of the orphanages. Group-home is a type of foster care which is managed independently by small family that consists of 4 or 5 adults and children. And they can be said that they are a sort of legal Guardian for juveniles in the orphanages. This idea could be the most proper proposal under the real conditions based of family ties in Korean society. ;본 논문은 보육원에서 생활하는 청소년들에게 사회가 갖고 있는 시간이 불합리하다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일반의 가정에서 생활하며 성장한 청소년들에 비해 구조적으로 특수한 상황에 처해있긴 하지만, 이러한 구조적 특수성으로 인해 그들이 부당하게 편견속에서 생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편견들을 극복하기 위해, 보육원청소년들의 현재의 정서적 안정성을 진단하고, 이러한 정서적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이들의 미래에 대한 자신들의 긍정적 평가와 계획을 통해 일반가정의 청소년들의 그것에 비해 뒤떨어짐이 없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K보육원에서 생활하는 15명의 남녀청소년을 대상으로 사례연구하였다. 구조적 특수성이란, 일반가정의 세대적 구성이 얼마나 유연하게 대체되고 있느냐인데, 실제로 형제자매의 역할은 대체가 되고 있지만 부모, 특히 아버지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들의 대체가 완벽하지 않다고 해서 정서적인 지원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정서적 안정성을 저평가 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정서적 안정성을 진단하기 위해 구조적으로는 현재 보육원이라는 구조의 특수성을 살피고, 이들의 개인적 차원에서는 보육원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의 구조적 특수성으로 이해 일반 가정의 청소년들이 지원받는 정서적 지원의 대체형태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들이 자신의 생활에 대해서 얼마만큼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미래의 자신들에 대한 계획이 얼마나 긍정적인지를 통해 이들이 일반가정의 청소년들보다 정서적 안정성이 뒤떨어지지 않음을 뒷받침하고자 하였고, 또한 이들이 미래에 대해 갖고 있는 자신들의 가족상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특수한 환경에서의 경험이, 사회에서 미루어 짐작하듯이, 결코 이들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구조적 특수성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보육교사 1인당 담당해야 하는 아동 및 청소년이 8-10명임을 놓고 볼 때 이는 일반가정의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조적이든 정서적이든 지원에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청소년기의 아동들에게 있어 지원의 대상은 주로 친구와 또래임을 놓고 볼 때, 이들이 구조적 특수성으로 인해 정서적 지원이 일반가정 청소년들에 비해 적다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보육원 청소년 역시 이들 나름대로 보육원에서 함께 생활하는 친구나 또래, 보육교사, 후원자 및 주변인물 등 지원의 대상이 확보되어서 그 기능을 대체하고 있었다. 이런 정서적 지원이 확보된 상황에서 이들의 자아개념은 어떠한가에 대한 접근을 해보았다. 모두들 자신에 대한 능력과 심성 및 가치관에 대해서 긍정적인 대답을 하고 있었고, 특히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분에서는 특기나 재능이 있는 사례의 경우 자신에 대해 아주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이런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그들의 현재 생활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와 상호 연관지어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자신의 생활에 대해서 얼마나 만족하고 있느냐에 따라 자신을 얼마나 긍정적으로 보느냐 부정적으로 보느냐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자신이 보육원에서 생활하는 사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와 이 사실을 보육원에서 함께 생활하는 사람 외의 친구 및 주변사람들에게 이야기하느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과로는 모두들 자신의 생활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시작이 되긴 하였지만 그것을 원망하거나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보육원생활에 대한 개방정도를 살펴보면, 모두들 굳이 숨길 일이 아니기 때문에 떳떳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정서적으로 충분히 안정적인 이 청소년들의 미래에 대한 계획과 가족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이는 구조적으로 특수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아이들을 위해 정책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문제점들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들의 미래에 대한 계획은 여느 일반가정의 청소년 못지않게 긍정적인 계획들이지만, 실제로 퇴소 후 경제적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당면한 문제로 인해 이들은 결국 단순 근로직에 머물 수밖에 없는 구조적 취약점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생활에 있어 구조적인 특수성의 하나인 보육교사 1인당 담당아동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은 이들의 집중적인 보살핌의 부족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일반가정의 아이들에 비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보육 시설 내에서 부부의 역할을 학습할 수 있는 모델이 없기 때문에 이들은 부부상에 대한 개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보육원의 구조적 특수성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소규모의 가족 그룹홈을 제언하였다. 아동 및 청소년을 양육해주는 성인부부와 자녀 4-5명이 한 조가 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대리보호의 형태이다. 이는 혈연주의에 기초한 우리나라의 실정상 입양이나 가정위탁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가장 적합한 대안이라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 1 제 2 절 논문의 구성 4 제 2 장 이론적 자원 6 제 1 절 기존 논의 및 개념정의 6 1. 공적가정 청소년에 대한 기존 논의들 6 2. 개념정의 9 제 2 절 분석모형 13 제 3 절 조사설계 15 1.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15 2. 조사시기 및 절차 16 제 3 장 공적가정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 17 제 1 절 사회인구학적 배경 17 1. 학년 및 연령 17 2. 시설의 입소연령 17 3. 입소원인 17 제 2 절 공적가정의 구조적 특수성과 정서적 지원 24 1. 구조적 특수성 24 2. 정서적 지원 29 제 3 절 공적가정 청소년의 자아개념 47 제 4 절 공적가정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60 제 4 장 정서적 안정성의 표출 양상: 미래상 69 제 1 절 진로 69 제 2 절 가족상 72 제 5 장 결론 80 참고문헌 87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946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보육원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에 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ii, 9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