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미아-
dc.creator서미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4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5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428-
dc.description.abstract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구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청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전이 필요하게 된다. 안양시는 새로운 평촌신도시 지역의 건설과 함께 청사를 기존시가지에서 신도시 지역으로 이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안양시청사 최적 입지를 알아보고, 최적 입지와 비교하여 안양시청사의 이전이 적절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시청사의 최적 입지기준을 설정하였고 그 최적 입지기준을 통하여 후보지를 선정한 다음, 접근의 효율성 및 형평성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입지 분석만으로 알 수 없는 실제 이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들에서는 시청사의 최적입지 연구를 위하여 사용하는 기준이 접근의 효율성과 형평성으로 이를 구하기 위하여 인구와 거리만을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접근성을 알아보기 위한 거리함수에 더하여 청사입지의 새로운 기준인 지형, 인구, 도로, 지가, 토지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각의 최적입지 기준을 적용한 결과 현청사가 입지하고 있는 부림동의 경우, 지형조건은 적합하였고, 인구 potential은 전체 동 중 4위로 매우 높았으며, 지가는 높은 편이나 토지이용 측면에서는 가장 적절한 지역이었다. 각각의 최적 입지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중첩하여 본 결과, 청사의 최적 후보지로 부흥동, 달안동, 부림동, 범계동, 안양 4동이 선택되었다. 이 후보지들의 총통행거리, 평균통행거리, 최대통행거리를 알아본 결과, 부림동은 접근의 효율성 및 형평성이 다른 후보지들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 및 형평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부흥동이며, 그 다음으로 달안동, 범계동, 안양 4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 안양시청사의 입지에 관한 이용자들의 견해를 알아본 결과, 안양시민들이 청사입지에 대하여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교통이며, 실제로 청사입지의 가장 불만족스러운 요소로 교통의 불편을 들었다. 이는 안양시청사 주변의 교통수단이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지하철과 연계되는 버스노선의 발달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최적 입지의 분석결과와 연계하여 볼 때 실제 접근의 효율성과 형평성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업무지의 입장에서 기존 시가지와 신시가지의 형평성이 떨어지는 것을 불만족하다고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거주지 차원에서의 기존 시가지와 신시가지의 형평성문제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사의 위치에 대한 만족 또한 차별성이 없이 보통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가장 멀리 있는 지역에서만 확실히 불만족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이는 최적 입지 분석결과와 함께 생각해볼 때 현 청사가 여러 가지 입지기준에 적절한 입지이고 거리상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기존 시가지와 현 청사가 위치하고 있는 행정업무지구간의 교통이 편리해진다면 불만족 정도는 떨어질 것으로 추측된다. 시청사와 같은 공공서비스 시설의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상업적 시설들의 입지와는 달리 최적 입지선정의 변수가 다양하지 못하다. 청사 입지에 관련된 기존 연구들의 경우 인구와 거리에 의한 접근의 효율성과 형평성만을 추구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효율성을 추구하는 분석에 더하여 GIS 기법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입지 기분에 대한 중첩분석을 시도하였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에 대한 좀 더 다양한 변수가 밝혀져야 할 것이다.;As a city is developed, cityhall should be moved to another place for some reasons. Anyang cityhall has moved from downtown to newtown area. This search paper is focused on the property of Anyang cityhall location. For this study, some standards for proper location of cityhall were selected and with these standards, 5 candidates for proper cityhall location were decided. And then, efficiency and equity of candidates were examined. After this technical analysis, the opinion of citizen who used cityhall was investigated by research.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previous studies on cityhall location considered just efficiency and equity as standards for proper location. But, in addition to them, new standards - topological condition, population, road, land value, and landuse - were considered as standards in this study. Second, Burim Dong in which cityhall is located has good topological conodition, population potential value, landuse condition, but it has high land value. Overlay result which used standards for appraisal was that Buheung Dong, Burim Dong, Daran Dong, Byumkye Dong, and Anyang 4 Dong were candidates for proper location of cityhall. And result which used total distance, average distance, furthest distance, was that Burim Dong was less efficient and less equal than other candidates. Third, research results which was made to Anyang citizens were that Anyang citizens though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cityhall location was transportation, and the most unsatisfied thing was inconvenient transportation, because it seemed that there were not enough buses linking to subway station. Fourth, in the point of view of workplace, citizen were not satisfied with equity between downtown and new town area in research. But in the point of view of residence, equity was not important to citizen. Public facilities like cityhall have a few of variables for proper location selection while commercial facilities have various variables. Previous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just efficiency and equity of accessibility. Therefore, reasonable and realistic variables for proper location selection would be suggested and develop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 방법 2 3. 연구 지역 6 II. 이론적 고찰 15 1. 시청사 입지에 관한 논의 15 1) 시청사 입지 특징 15 2) 공공시설 입지이론 18 2. 시청사 입지에 관한 연구 동향 22 III. 안양시청사의 최적입지 분석 27 1. 입지 변수와 회귀분석 27 2. 시청사 최적 입지 분석 34 1) 시청사 최적입지 변수 34 2) Grid에 의한 최적 입지 분석 39 3) Network에 의한 최적입지 분석 52 IV. 안양시청사 입지에 관한 주민 인식 56 1. 설문응답자의 특성 56 2. 청사이전에 관한 주민인식 59 1) 청사입지의 주요 조건 60 2)현청사 위치의 불만족 원인 62 3)시청사 입지에 대한 만족 65 4)안양시에 대한 시청사 이전의 기여도 66 V. 결론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4 [부록]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294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안양시청사의 최적입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