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과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과의 관계
Other Titles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nxiety :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uthors
김효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nxiety, an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se relationship. Participants were 491 undergraduates at the 8 universities in seoul. They complet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Korean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Questionnaire, Perceived Social Support Inventory,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s and two-way ANOVA by SPSS 14.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nxiety. Bu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evaluative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2. To examine the differences on degree of separation-individuation with attachment,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The group of higher score on attachment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separation-individuation than the group of lower score on attachment. 3. To examine the differences on degree of anxiety with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ttachment, data was analyzed by two-way ANOVA. The group of higher score o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ttachment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anxiety than the group of lower score o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ttachment. 4. To examine the power of prediction of variables to anxiety, data was analyzed by stepwise regression. In college men,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emotional suppor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college student's anxiety. on the other hand, In college wom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evaluative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to the college student's anxiety. 5.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data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s and two-way ANOVA. In college men,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support was no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college women, evaluative support was non-significant.;사회에 성인으로서 첫 발걸음을 하는 대학생에게 가장 문제시 되는 적응상의 문제는 불안이다. 이시형, 김형태, 이성희(1987)의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 연령의 발달단계에서 사회불안이 형성되기 쉬우며, 높은 비율의 대학생들이 사회불안을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기존에 애착과 불안,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으므로 애착과 분리-개별화 이 두 변인의 조합 역시 불안에 영향을 미치리라 예상된다. 또한 사회적지지가 불안을 완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들이 있으므로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이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과의 관계를 탐색해 보는 한편 이들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지지의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8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며 총 491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 및 또래애착 척도(IPPA) 중 부모애착을 사용하였고, 분리-개별화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청소년개체화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사회적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지지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상태-특성 불안척도의 특성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 간에 성차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 하였고, 애착의 상, 하 집단 별 분리-개별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애착과 분리-개별화가 불안을 얼마나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남, 녀에 따라 연구에 사용된 각 변인들이 불안을 얼마나 예측하는지 보기 위하여 단계적회귀분석하였고 여기서 유의미한 설명량을 갖는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보기 위해 위계적회귀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에서 성차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애착, 분리-개별화, 불안에서는 남, 녀 간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회적지지의 하위유형인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에서는 여자 대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으면서 성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애착에 따른 분리-개별화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애착 점수를 중앙치를 기준으로 상, 하로 나누고 t-test를 실시한 결과 애착의 점수가 높은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분리-개별화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애착과 분리-개별화 정도에 따라 대학생들의 불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애착점수와 분리-개별화 점수를 중앙치를 기준으로 상하로 나누어 각기 네 개의 집단을 구분하고, 네 개의 집단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차원들 간에 사후분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애착과 분리-개별화가 모두 높은 집단이 애착과 분리-개별화가 모두 낮은 집단보다 불안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넷째,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 그리고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중 어느 것이 불안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 대학생의 불안에 있어서는 애착, 분리-개별화, 정서적지지가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여자 대학생의 불안에 있어서는 분리-개별화, 평가적지지가 불안을 가장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앞서 실행한 단계적회귀분석에서 유의미하다고 밝혀진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회귀분석 하였다. 결과 남자 대학생에서는 앞서 불안을 유의미하게 설명한다고 밝혀졌던 정서적지지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고, 여자 대학생에서는 앞서 불안을 유의미하게 설명한다고 밝혀졌던 평가적지지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애착과 분리-개별화가 상반된 개념이 아니고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개념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의 연구에서 지지 되었던 애착과 분리-개별화의 정도가 모두 높을수록 불안이 낮다는 사실 또한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지지의 하위 요인 중 남자 대학생은 정서적지지가 여자대학생은 평가적지지가 유의한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성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사회적지지의 상호작용효과 검증에서는 여자 대학생에서만 사회적지지의 상호작용효과가 밝혀지면서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개입으로서 남자 대학생 보다 여자 대학생에게 사회적지지가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