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학령전기 중증 다운증후군 아동의 손짓기호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요구하기 중재 효과 비교

Title
학령전기 중증 다운증후군 아동의 손짓기호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요구하기 중재 효과 비교
Other Titles
Comparing the intervention of sign language and graphic communication board for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down syndrome.
Authors
강나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ich treatment is effective to the severe down syndrome child between the intervention of sign language and intervention of graphic communication board. This study also showed which intervention is more facilitating the child's vocalization. Three participants who not only can not speak but also has mental retardation aged from 60 months to 68 months. This study used the alternative treatments design and minimizes the intervention interval to remove the maturity effect. The design consists of pre-research, base-line phase, treatment phase, selection phase and generalization. The intervention strategy was used the incidental teaching procedure on the basi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The result showed as follows. First, the sign language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to three children than graphic communication board. The more three child use the sign language, the less they use the graphic communication board. While the participants use the sign language intervention, there are some different results when participants express the object request or action request. One participant was good at action request than object request. The other was clever at object request than action request. The last participant was good at two expressions. Second, the vocalization frequencies are more increased when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 sign languag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had expressed object request better than action request. Third,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sign language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than graphic communication board. To check out this study, the researcher tested the stimulus generalization with sign languag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used the sign language well and sound more at a generalization. As a result, this intervention method which can use the sign language can improve the disabled child's communication skill and sign language intervention also effective to nonverbal beginner of AAC.;의사소통은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사람들을 서로 연계시키며 사회적인 유대를 만든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증 다운증후군 아동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것에 제한된 의사소통 능력을 보인다. 따라서 자신이 속한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에 필요한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즉, 보완·대체 의사소통이라는 의사소통의 다른 양식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사에 반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사용이 요구되는 중증 다운증후군 아동들에게 손짓기호와 그림의사소통판 중 효과적인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요구하기 기능의 조기 중재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중증 다운증후군 아동으로 5세-5세 8개월의 무발화 아동 3명이다. 설계법으로는 회기간 교대중재를 사용하였으며 성숙효과를 배제하기위해 회기간 간격을 최소로 하였다. 예비연구, 기초선, 중재, 선택단계를 거쳐 비훈련 사물을 대상으로 한 자극일반화를 실시하였으며 중재전략으로는 환경중심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를 기본으로 한 우발학습전략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에 영향을 비칠 수 있는 연구도구인 손짓기호 및 그림상징의 경우 도상성, 명료성, 기능성, 운동복잡성 측면에서 난이도를 비교한 검사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짓기호를 이용한 중재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중재 중 손짓기호를 이용한 중재시 요구하기 발생빈도가 높았다. 대상아동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손짓기호를 이용한 중재가 보다 효과적이었고 손짓기호를 바르게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날수록 그림의사소통판을 사용하는 빈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사물요구하기 및 행동요구하기 표현은 대상아동마다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사물요구하기 보다 행동요구하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거나 혹은 반대의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으며 사물요구 및 행동요구의 차이 없이 모두 효과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둘째, 손짓기호를 이용한 중재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중재 중 손짓기호를 이용한 중재에서 요구하기 발성빈도가 높았다. 대상아동들은 대부분 행동요구 발성보다 사물요구 발성이 빈번히 일어났고 중재 후반으로 갈수록 손짓기호를 사용하였을 때 사물요구 발성빈도가 두드러짐을 보였다. 셋째, 손짓기호를 이용한 중재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중재 중 손짓기호 중재에서 비훈련 사물을 이용한 자극일반화시 요구하기 행동 발생 및 발성이 지속적으로 효과적임을 보였다. 일반화 후반으로 갈수록 손짓기호보다 음성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게 발생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손짓기호를 이용한 중재가 중증 다운증후군 아동의 요구하기 행동 발생 및 발성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손짓기호를 이용한 중재방법은 언어이전기의 장애아동들에게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조기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