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삶의 질 비교연구

Title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삶의 질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ison study of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demented elderly
Authors
진주연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demented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s or nursing home. The subjects of study chosen by convenience sampling were 44 older persons with dementia using the daycare center, 63 older persons with dementia using the nursing home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urses, care assistant, or social workers who have cared them.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MMSE-K) was used for measuring cognitive status; Rating Anxiety in Demenita(RAID)was used for anxiety; Korean Version of Quality of Life-Alzheimer?s Disease(QoL-AD) was used for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8 and analyzed by statistics program, SPSS WI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gnitive function in day care center of older persons with dementia was higher than nursing home(t=-2.99, p=.003). For the comparison of anxiety between two groups, nursing home of older persons with dementia was higher than day care center of older persons with dementia(t=4.44, p=.000). For the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day care center of older persons with dementia was a little bit higher than nursing home of older persons with dementi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741, p=.460). 2.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persons with dementia using day care cent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r=.470, p=.001). 3. The anxie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persons with dementia using nursing ho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r=-.333, p=.008).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comparing the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senile with dementia in day care center and nursing home, the older persons with dementia of nursing home had lower cognitive function and higher anxiety than that of daycare center. For the quality of life in nursing home, it was a little bit low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significant correlation for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the quality of life, cognitive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 day care center had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anxiety and the quality of life in nursing home of older persons with dementia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the nursing intervention which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old people with dementia should be considered and applied the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the quality of life.;우리나라가 급속한 노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각종 노인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치매는 24시간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를 요하는 질병이다. 최근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핵가족화 추세 등으로 치매노인부양에 어려움이 따르고 이러한 변화들로 노인 복지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다양해지고 계속적인 시설 확충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해진 노인의료복지시설 중에 주간보호센터와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고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와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삶의 질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조사 연구로, 서울·경기도에서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치매노인 44명과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치매노인 63명에게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Korean version(MMSE-K)를 사용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을 측정하였고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 간병인 또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Rating Anxiety in Demenita(RAID)를 사용하여 치매노인의 불안을, Korean Version of Quality of Life-Alzheimer's Disease(QoL-AD)를 사용하여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5·6월동안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은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t=-2.99, p=.003). 두 집단 간의 불안을 비교해보면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이 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보다 불안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t=4.44, p=.000). 삶의 질을 비교 했을 때 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과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741, p=.460). 2.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470, p=.001)를 나타냈다. 3.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불안과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r=-.333, p=.008)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주간보호센터와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삶의 질을 비교했을 때 주간보호센터보다 노인요양시설의 치매노인이 인지기능이 낮고, 불안이 높았다.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보면 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은 인지기능과 삶의 질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은 불안과 삶의 질이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을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불안, 삶의 질의 정도를 고려하여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