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경림-
dc.contributor.author김지애-
dc.creator김지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6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688-
dc.description.abstract치매는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질병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가족, 사회에 대한 부담감을 증가시키고 이는 치매노인이 시설로 입소하게 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또한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치매노인이 가진 기능과 특성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관리하는데 목표를 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지기능에 장애가 있는 치매노인이 자신의 주요 증상을 스스로 보고하는데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에 논란이 있어 왔으며 이러한 이유로 아직까지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 정도와 이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조사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주요 문제인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과 이들 변수의 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시설 치매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치매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의 정도 및 이들 특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경기도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에 있는 109명의 치매노인과 이들을 돌보는 간호사, 사회복지사 또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MMSE-K)를, 일상생활수행능력은 Barthel Index(Barthel & Mahoney, 1965)를, 불안은 이화여자대학교 BK21 간호과학과 '초고령 사회를 대비한 맞춤형 노인통합건강관리사업팀'에서 번역한 한국판 Rating Anxiety in Dementia(RAID)를, 우울은 한국치매협회(2005)에서 번역한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CSD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6월1일부터 10월 31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인지기능은 평균 11.78점(±6.12), 일상생활수행능력은 평균 54.96점(±24.69), 불안은 평균 13.60점(±9.69), 우울은 평균 8.99점(±6.58)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인지기능(r=.210, p= .029), 불안(r=-.228, p=.017), 우울(r=-.271, p=.004)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불안은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r=.787, p=.000)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불안과 경한 우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될수록, 인지기능은 저하되고, 불안과 우울은 증가되며, 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짐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치매환자의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서적, 심리적 측면의 간호 중재와 함께, 인지기능, 불안, 우울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높일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xiety, depression of the dementia elderly who reside 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nd then ultimately to help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promote their health. The subjects were 109 dementia older adults who were receiving care at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ir primary caregiver such as nurse, nurse aids, or social workers in the Gyeonggi Province and Seoul. The instruments used for respective factors were: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evaluated by Barthel Index(Barthel, Mahoney, 1965); MMSE-K(Korean edition) for cognitive function, Rating Anxiety in Dementia(RAID) translated by Ehwa Women's university BK21 team for anxiety,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CSDD) translated by Korean Dementia Association for depress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1, 2008 to October 31, 2008.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WIN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is study, the mean cognition function score was 11.78(±6.12), mean ADL score was 54.96(±24.69), mean anxiety score was 13.60(±9.69), mean depression score was 8.99(±6.58).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DL and cognitive function(r=.210 p=.029), anxiety(r=-.228 p= .017), depression(r=-.271 p=.004).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r=.787 p=.000).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of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ho reside 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were decreased ADL and cognition function. They also had anxiety and mild depression. The cognitive function decreases and anxiety and depression increases as ADL is lower. Futhermore, depression increases as anxiety is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health of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ho reside 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on bot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nursing intervention as well as improvement in AD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문헌 고찰 = 8 A. 치매노인의 인지기 = 8 B.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 11 C. 치매노인의 불안 = 14 D. 치매노인의 우울 = 16 III. 연구방법 = 19 A. 연구 설계 = 19 B. 연구 대상 = 19 C. 연구 도구 = 20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23 E. 자료 분석 방법 = 23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 24 G. 연구의 제한점 = 24 IV. 연구결과 및 논의 = 25 A. 노인요양시설 치매환자의 일반적 특성 = 25 B.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의 정도 = 27 C.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 간의 상관관계 = 31 VI. 결론 및 제언 = 35 참고문헌 = 38 부록. 설문지 = 49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12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xiety, depression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dc.creator.othernameKim, Ji Yae-
dc.format.pageⅵ,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