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한영-
dc.contributor.author이지수-
dc.creator이지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8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863-
dc.description.abstract과학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폰은 음성통화의 기능을 넘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지닌 통합형 전자기기로 그 영역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많은 기능들을 모바일 폰이라는 작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모색이 시작되었다. 터치인터페이스는 이러한 시대 흐름에 가장 부합되는 인터페이스로써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흐름을 가져왔다. 하지만 최근 출시되는 터치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에 대한 검증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학습성을 중심으로 한 사용 평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터치 인터페이스가 과연 감성적인 만족 뿐만 아니라 사용성도 좋은 인터페이스인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을 중심으로 한 인터페이스 평가를 통하여 기존의 고정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변화하는 변동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새롭게 등장한 변동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이 학습을 통해 향상되는지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20대 후반을 대상으로 디스플레이 변동 유무에 따른 모바일 폰 방향키의 인터페이스를 비교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치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태스크(Task)의 수행을 통해 기능적인 사용성을 측정하고, 태스크 수행 전후로 기대만족도와 경험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여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두 방향키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경험만족도는 처음 1회 사용한 후와 10번의 반복과정을 거친 후 숙련된 상황에서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변동방향키는 초반 사용성에서 낮은 수행 속도를 보였으나 실행 오류의 횟수가 적었고, 반복되는 태스크 수행으로 학습됨에 따라 변동방향키의 경험만족도가 고정방향키보다 높게 나타났고 멀티미디어 태스크에서는 수행속도가 빠르게 나타났으나 특정태스크에서는 고정방향키의 수행속도가 더욱 크게 감소하여 높은 학습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학습성을 중심으로 볼 때 모든 면에서 변동방향키의 학습효과가 좋다고 볼 수 없으므로 가시적인 인터페이스가 모든 면에서 수행속도를 향상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변동방향키 인터페이스는 신규유저에게 특정 부분에서만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빠른 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터치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새로운 방향키 인터페이스인 변동 방향키를 학습성을 중심으로 기존의 것과 비교하여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가시적인 인터페이스가 학습성의 측면에서는 모든 면에서 좋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만으로는 학습성을 중심으로 유동적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방식이 모든 면에서 기존의 인터페이스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성도 좋은 것은 아니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폰은 사람들과 항시 함께 하는 기기임으로 학습에 따라 변동되는 디스플레이 방식의 사용성 및 만족도에 관한 끊임없는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노력으로 사용성과 감성적인 만족감까지도 두루 갖춘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As scientific technology progresses, the mobile phone is evolving over voice communicator into integrated electric machine of diverse functions with multimedia services. Based on this evolution, the research on new interface for the effective use of diverse function in tiny space of mobile phone has launched. Touch interface brought the new trend of interface responding to this demand of current style. However the verification of usability of touch interface has not been fulfilled and the user evaluation centered on the learning has not accomplished yet. Hence I have become to doubt about the potential of touch screen as good for use as well as satisfying the user emo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rough evaluation of learning interface, the possibile advancement of learning of new Dynamic display interface is verified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tatic display interface. Targeting the users in late 20's, this experiment tries to examine the value of new interface in comparison with the interface of directional keys of mobile phone based on flexibility of display. For this process, practical usability is calculated by operation of task with evaluation of satisfaction of prediction and experience to comparatively analyze two kinds of directional keys. To ga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xperience, this research evaluated the situation in full exercise after first to tenth repetitions of process. Looking at the result, this research can find the fact that Dynamic directional keys show the low speed of operation at the initial phase of the use, though it also shows low frequency of operative mistakes, while learning through repeated task operations elevates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experience of Dynamic directional keys and largely diminishes the speed of operation. Consequently, it could be known that though Dynamic directional keys shows relatively lower level of usability at the first usability test howev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ll tasks and usability in multimedia tasks becomes better than before. This research therefore can find that Dynamic directional key interface design can't encourage new users to learn quickly about this interface at any times and also it couldn't be concluded that visible interface can be one of the most functional elements of eleva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usability in all cases. As comparison the Dynamic directional keys as new directional keys with the Statics directional keys focusing on learnability, visible interface seems to have positive results in some tasks. However it should be notified that this research in itself can not conclude that flexible display interface of DaCP(Dynamic adaptive Control Pad) have always higher level of learning than existing interface without interfering existing interface. The reason of why researches about usability and level of satisfaction of display focusing on leanability should be continued and then it fulfilled that diverse researche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face design equipping usability and emotional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3 Ⅱ. 모바일 폰 방향키의 변천사 및 현황 = 4 A. 모바일 폰 방향키 형태와 기능의 변화 = 5 B. 모바일 폰 방향키 디스플레이의 현황 = 6 Ⅲ. 사용자의 기억 및 직관에 의한 사용 = 10 A. 기억에 의한 기기의 사용 = 11 B. 직관에 의한 기기의 사용 = 14 1. 직관성에 의한 기기 사용 = 14 2. 어포던스(Affordance) = 15 Ⅳ.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의 가치 평가 = 17 A. 사용성(Usability)의 정의 = 17 B.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가치 평가 사례 = 19 Ⅴ. 인터페이스 비교 실험 = 25 A. 실험 개요 = 25 B. 실험 설계 = 26 1. 실험용 모바일 방향키 선정 = 26 2. 실험 대상자 선정 = 27 C. 실험 방법 = 29 1. 태스크(Task) 선정 = 29 2. 실험 절차 = 30 D. 실험 결과 = 31 1. 실험분석방법 = 31 2. 기대만족도 분석 = 31 3. 경험만족도 분석 = 33 4. 1차 태스크 수행속도 비교 분석 = 35 5. 학습에 따른 2차 태스크 수행속도 비교 분석 = 38 Ⅵ. 결론 및 의의 = 43 참고문헌 = 45 부록 = 51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91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습성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폰 방향키 디스플레이의 UI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I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s Directional Keys focusing on Leanability-
dc.creator.othernameLee, Ji Soo-
dc.format.pageⅸ,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