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호-
dc.contributor.author김별이-
dc.creator김별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8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89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그리기’ 라는 행위를 기본으로 시작된 인터랙티브 드로잉 작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 진전 시켜야 하는 본인의 작업 방향에 대하여 보다 근본적인 질문과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세계를 인식하고 반응하는 작가로써 체득된 조형 의식을 출발점에서 다시 생각해보고 향후 작업의 가능성을 타진해야 할 필요를 느끼며 이를 위해 ‘그리기’라는 기초 행위를 통해 생각의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그리기’의 행위를 통해 회화의 의미 찾기를 위한 과정적 방법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만드는 과정과 결과적 형태를 인터랙티브 드로잉의 개념적, 재료적, 체험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인은 인터랙티브 드로잉은 ‘그리기’ 과정을 내포하며, 물질에서 비물질로의 변화이며, 관객과 소통하며 진화하는 드로잉으로 바라본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드로잉에 대한 다각적 모색을 기반으로 인터랙티브 드로잉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프로그래밍에 의한 드로잉 제작 과정과 인터랙티브 드로잉 설치 작품 분석으로 나누어 작업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회화에서의 그리는 행위의 과정을 프로그래밍 과정과 연관하여 분석하려 하며, 관객과 함께 참여하고 경험하는 인터랙티브 드로잉의 상호작용성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기의 과정은 그 완성을 향한 실천의 과정이고 가능성을 내포한 작품을 그려짐에 의해 재창조되게 한다. 작업이 그 일관됨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인 회화에 대한 성찰의 가능성을 찾아보고, 본인의 향후 작업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의 작업을 진행시킴에 있어 결론에 접근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근거와 가능성을 찾고자 함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e contents of a work production of ‘interactive drawing’ in which a creation act between multilateral relation such as an author & audience and among audience etc, can be done on the basis of ‘drawing’, art expression, by the basic act of painting. In addition, it trie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personal work from now on, and more basic questions and possibilities of paintings. So far, ‘painting’ has been regarded as just a creation act of an individual in the history of modern art and even a drawn object has been regarded as a private outcome, too. On the contrary, ‘interactive drawing’ gives an attending opportunity of an creation act in which a large number of audience will experience ‘painting’, a private act, as a public act ,and interact communication, and this study begins with an expectation that a common creation act made by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can be possibl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ry to find for a creation concept of an author when a work production of ‘interactive drawing’ is made in which a creation act between multilateral people can be possible and through a work analysis, a minimum base and possibility for personal work production in the future. For this, the characteristic of ‘interactive drawing’ was groped into conceptive, material, and experimental sides and the connectional understanding of a work was prepared by being described a personal view of ‘painting’ as a creation act. Moreover, it will be analyzed the work producing process of ‘interactive drawing’, an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a work exhibition, a personal view of aesthetics is going to be arranged. In conclusion, after the meaning of a creation act made by many people is arranged, it will be considered whether it can be used as a working method or a thinking t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의 구성 = 2 Ⅱ. 인터랙티브 드로잉의 다각적 모색 = 4 A. 개념적 측면 ― 그리기로서의 드로잉 = 4 1. 그리기로서의 드로잉 = 4 2. 반복에 의한 시간성의 부여 = 6 B. 재료적 측면 ― 비물질의 드로잉 = 9 1. 물질에서 비물질로의 변화 = 9 2. 인터랙티브 드로잉의 비물질성 = 11 C. 체험적 측면 ― 진화하는 드로잉 = 12 1. 상호 소통에 의한 드로잉 = 12 2. 창작의 주체 = 15 Ⅲ. 작품 제작 및 설명 = 16 A. <작품 A. Drawing Cube sequence> 프로그래밍에 의한 드로잉 작품 구현 = 17 1. 프로그래밍에 대한 미학적 견해 = 17 2. 프로그래밍 = 19 3. 작품결과 = 21 B. <작품B. Drawing Cube 2008> 설치작품 제작 = 23 1. 작품의 내용 및 구조 = 23 2. 인터랙션 디자인 = 25 3. 작품의 기술적 요소 = 27 Ⅳ. 작품 전시와 관객 = 30 Ⅴ. 결론 = 35 참고문헌 = 36 Abstract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82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인터랙티브 드로잉 작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물과 흔적-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teractive Drawing : Objects and Traces-
dc.creator.othernameKim, Byulyi-
dc.format.pageⅶ, 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