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1990년 전·후 북한주민의 식생활양상 변화

Title
1990년 전·후 북한주민의 식생활양상 변화
Other Titles
Changes of the Dietary Habits of North Koreans before and after the 1990s
Authors
이애란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종미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을 중심으로 변화된 북한주민의 식생활양상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에서 생활한 경험을 가진 북한이탈주민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1990년 전·후 시기의 식생활양상의 변화와 이들의 출생연도,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신체 및 질병특성, 식생활양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에 참가한 북한이탈주민 중 1970년 이전에 출생한 1집단은 125명으로 35.4%였고 1971년 이후~1980년 이전에 출생한 2집단은 175명으로 49.6%였으며 1981년 이후에 출생한 사람들은 53명으로 15.0%였다. 조사대상자들 중 1996-2000년 사이에 탈북한 사람들은 191명으로 54.1%였고 2001년 이후에 탈북한 사람들은 156명으로 44.2%였다. 지역별로는 평양지역에 거주자가 11명이었고 평양이외 거주자는 342명이었으며 북에서 생활할 때 자신들이 인지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수준은 중간(5점)이라고 보고한 계층이 33.8%로 가장 많았고, 중하위 계층(1~4점)에 해당되었다고 보고한 사람이 46.1%로 다수였다. 중상위층에서 최상위층이라고(6~9점) 응답한 북한이탈주민은 전체 20.0%로 상위계층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으며 평균적인 사회경제적 수준은 중간에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 중 1970년 이전에 출생한 1집단(162.1cm)과 1980년 이후에 출생한 3집단(162.2cm)은 1970년 이후~1980년 이전에 출생한 2집단(159.7cm)보다 유의하게 키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p<0.05)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키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p<0.01) 2집단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키가 매우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에 있을 때 소화기 질환과 심장질환, 전염성 질환이 많았고 현재는 소화기 질환과 심장질환이 많았다. 전염성 질환은 남한에 입국 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질병의 개수는 북쪽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남한 입국 후 질병 중 일부는 치료가 되기도 하였는데 치료된 정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출생 집단별로는 나이가 상대적으로 많은 1집단이 2집단과 3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조사대상자들이 남한 입국 후 2집단에서는 북쪽에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았던 사람일수록 여러 가지 질병이 유의하게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고(p<0.05) 다른 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사대상자들의 식생활 양상은 1990년 이전에 비해 1990년 이후에 상당히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이전에는 국가에서 배급받는 경우가 많았지만 1990년 이후에는 국가에서 배급받는 경우가 매우 유의하게 줄어들었고 시장에서 구입하거나 자체농사와 외화벌이, 친척 및 이웃도움으로 구입했다는 응답은 매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1990년 이후에 강냉이 쌀 배급은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보리나 수수, 감자배급은 매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p<0.05). 조사대상자들의 식단은 1990년 이후에 매우 유의하게 차이 났는데 음식물의 질이 보다 저하 되었다. 즉 1990년 이전에는 식단으로 밥과 반찬으로 된 식단을 많이 먹었지만 1990년 이후에는 “죽”과 “국수”를 먹는 경우가 매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1990년 이전에는 북한 주민들의 식단이 남한주민들의 식단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1990년 이후에는 아침식사 시에 “죽”이나 “국수”를 많이 먹음으로서 남북한 간의 식생활의 차이가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이전에는 주식(主食)으로 주로 “밥”을 먹었고 1990년 이후에는 “죽”과 “국수”를 매우 유의하게 많이 먹었던 것으로 응답하였다(p<0.001). 떡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는데 일상생활에서 별로 먹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은 1990년 이전에 비해 1990년 이후에 하루 세끼니 식사를 하는 비율이 줄어들고 결식빈도는 매우 유의하게 증가하여 1990년 이후에 영양섭취가 더 불량해진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대상자들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1990년 이전에는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1990년 이후에는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식생활환경의 차이가 심해졌고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식생활환경이 나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주민의 식생활 환경은 1990년을 기점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북한주민의 식생활양상은 시기, 사회경제수준에 따라 차이 났는데 북한주민들의 신체 및 질병특성은 출생년도, 탈북연도와 사회경제적 수준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식량지원을 비롯한 대북 지원 사업은 수혜당사자들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제고되어야 하며 북한 주민의 식생활과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어 정책수립에 적극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orth Korean people's changed dietary life, physical development and diseases afflicted since 1990.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353 North Korean defects, and thereupon, analyzed differences of stature, diseases and dietary life afflicted depending on their birth years and socio-economic levels. Those who had been born before 1970 accounted for 35.4% (n=125) of the sample, and those born between 1971 and 1980 for 49.6% (n=175), and those born after 1981 accounted for 15.0% (n=53).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d defected to South Korea between 1996 and 2000 accounted for 54.1% (n=191), and those who had defected after 2001 accounted for 44.2% (n=156). 11 people had lived in Pyongyang, and 342 people had lived in other regions. 33.8% of them perceived that their socio-economic status had been normal (5 points) in North Korea, while the majority 46.1% of them perceived that their socio-economic status in North Korea had been lower-middle(1~4 points). Those who scored 6~9 points (middle and upper class) accounted for 20.0% only, which suggest that not so many upper-class North Koreans had defected to South Korea. Their average socio-economic level was lower middle (means: 3.6, SD: 2.0). The group 1 born before 1970 (162.1) and the group 3 born after 1980 (162.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2 born between 1970 and 1980 (159.70), (p<.05). However, differences of stature were not significant depending on gender. The study subjects' prevalence of gastro-intestinal, cardiac and infectious diseases were high. After their defection to South Korea, now they still are suffering from the gastro-intestinal and cardiac diseases, but there exists no incidence of infectious diseases. Some diseases had been healed in South Korea, which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p<.01). The group 1 were suffering from more diseases than the average number of diseases (p<.01). Even after their defection, the group 2 people suffered from more diverse diseases if their socio-economic level in North Korea had been lower(p<.05). Such correlation could not be confirmed in the other two groups. Subjects' dietary life had changed much after 1990. Namely, North Korean people's dietary life has worsened since 1990. In North Korea, foods had been distributed mostly before 1990, but the distribution of foods began to decrease much since 1990, while more people began to buy foods from the markets. The responses that they had relied on their self-production or resolved their food problems through foreign exchange earning programs or had been supported by relatives or neighbors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crushed corn(corn powder and rice) had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1990, while the distribution of barley, millet and potatoes had significantly increased(p<.001, p<.05). Their dietary menus began to differ significantly since 1990, which means that quality of their food had worsened more. Namely, most of them had lived on rice and side dishes before 1990, but the cases of living on "porridge" and "noodles"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since 1990(p<.001). Before 1990, the dietary menus did not much diffe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s, but since 1990, they began to differ widely as North Korean people began to live more on "porridge" and "noodles." Namely, before 1990, North Korean people had lived primarily on "rice," but since 1990, the ratio of "rice" had decreased significantly(p<.001). Before 1990, they had lived not much on "porridge" and "noodles", but since 1990, they had lived significantly more on these foods(p<.001).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s far as rice cake was concerned; they could not have much opportunities to take rice cakes. Since 1990, they had taken three meals a day very rarely, while they had skipped over meals more frequently.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North Korean people have suffered from the poor nutrition since 1990. The latter group had lived more on "porridge" and "noodles." Before 1990, the dietary environment had not differed much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levels, but since 1990, the gap began to widen among social classes. Those who had had lower socio-economic status had suffered more from their poorer food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rth Korean defectors' dietary life began to change much on the threshold of 1990. In addition, North Korean defectors' dietary life had differed much depending on periods, regions and socio-economic levels, while their physical development and health conditions had been affected much by their birth years, the year of defection and socio-economic level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focus Korean food aids and other supports on those North Korean beneficiaries who need them most desperately. Lastly, it is hoped that more in-depth and detailed researches into North Korean people's dietary life and health conditions will be conducted and that their results will be reflected in our North Korean polic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