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순경-
dc.contributor.author김유미-
dc.creator김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4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4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시장 영역에서의 일자리 고갈 문제와 경제 위기 속에서 실업 극복과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급부상한 ‘사회적기업’에 주목하였다. 사회적기업을 둘러싼 기존 논의들은 이 영역을 통해 앞으로 지속가능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고 새로운 대안적일자리가 될 것이라고 보는 관점이 우세하다. 그러나 기존 논의들은 대부분 추상적이고 이론적으로 다루고 있고 사회적기업 노동 현장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을 보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여관찰을 주된 방법으로 하여 “사회적기업이 여성들에게 ‘대안적 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했다. 보다 명확한 조건들을 찾기 위해 두 기관을 비교분석하였는데, 같은 ‘사회적기업’이라고 할지라고 추구하는 핵심가치, 교육의 목적과 내용, 조직의 운영방식이 무엇이냐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에서 이윤 추구보다 공동체와 여성주의 가치를 추구했을 때 노동자들은 서로가 서로를 격려했고 지지했고 기관은 이들의 버팀목이 되어주었다.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유대감은 노동자들에게 힘이 되었고, ‘여성노동 재평가’라는 비전을 공유하고 자신을 전문가로 정체화하기 시작했다. 둘째, 사회적기업에서 전문성 강화교육과 자존감 향상교육이 잘 조화가 되었을 때 노동자들은 자긍심을 바탕으로 일을 당당하게 하였고, 일의 능률도 높았고 목표의식과 직업의식을 갖고 일을 하게 되었다. 셋째, 사회적기업에서 노동자와 관리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노동자들이 기획 및 의사결정에 참여할 때 조직에 대해 애정과 주체의식을 가졌다. 노동자들은 급한 사정이 있을 때 융통적으로 배려해주고, 자신들의 고충이 있을 때 대화와 소통으로 해결해주기 원했다. 이러한 가치를 수용한 기관에서 노동자들의 헌신몰입도가 높았고 일자리에 만족을 하고 열심히 일을 하여 성과도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노동자들은 노동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었고, 자신의 직업이 전문직이라는 자부심과 열정이 생겼다. 처음에는 돈을 벌기 위해 시작한 일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는 ‘일자리 그 이상’의 삶의 변화까지 있게 된 것이다. ‘당당한 여성’으로 자신을 정체화하였고, 가족 이외의 사회망, 소속감과 유대감에서 임파워먼트를 얻었고, 여성주의와의 만남으로 사회의식이 확장되며 사회를 보는 인식의 지평이 넓어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이 여성들에게 ‘대안적 일자리’가 되기 위해서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밝혔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에서 공동체와 여성주의 가치를 핵심 가치로 추구해야 한다. 공동체 가치는 파편화되어 있는 노동자들에 힘이 되고 끈끈한 유대감이 형성될 뿐 아니라 그 안에서 자신감, 임파워먼트를 얻고 행복과 열정을 주는 일자리가 되는데 기여한다. 여성주의는 여성노동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게 하고, 이들을 전문성 있는 노동자로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여성주의 가치를 적용했을 때 일하는 여성들의 삶과 노동에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노동자로서 힘을 발휘하게 되었다. 둘째, 사회적기업에서 필요한 것은 지속적인 교육으로, 노동자들의 전문성과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교육은 필수적이다. 전문성 강화교육은 일을 더 효과적, 능률적으로 하게하고 자신감과 직업의식을 북돋아주었다. 그리고 일을 하는 당사자들이 자기정체성을 찾아가고 자존감을 회복하고 마음을 돌아볼 수 있는 교육은 내면으로부터 긍정적 동기부여가 일어나고, 일도 더 잘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셋째, 사회적기업 운영에 있어 상호신뢰와 인격적인 교류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황에 따른 융통적인 이해와 배려가 있을 때 노동자들은 기관에 신뢰를 보내고 헌신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나눔과 순환 활동은 구성원들 간에 서로 존중하고 화목하게 되는데 기여하고 대안 가치와 만나는 경험도 하게 되었다. 사회적기업이 ‘대안적 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민주적인 운영방식이 필요한데, 소통과 경청을 중심으로 운영해야 하고, 노동자들이 조직의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평등한 관계가 되어야 한다. 리더를 동일한 노동자 가운데서 선출하여 지도력의 재생산이 이루어진다면, 갈등이나 문제가 되는 상황을 더욱 호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동자와 기관이 ‘공동의 목표’를 설정할 때 창조적인 힘이 발휘되었는데, 이를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 간의 깊은 교류와 내부적인 소통과 성찰의 시간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조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융합되어 있고 ‘대안적 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이들 요소가 상호 작용하며 같이 가야 한다. 기존 통념에는 이러한 방식으로는 생산성이 오르지 않는다고 보았지만, 연구 결과 이러한 통념이 잘못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기존 통념을 넘어 11가지의 조건을 가지고 운영할 때 ‘대안적 일자리’가 될 수 있으며 생산성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구체적 실증 자료를 통해 증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This study focuses on “Social Enterprise,” which has rapidly emerged as an alternative method to create more jobs and overcome unemployment under the current global economic crisis and the tight job market. The overriding view of the ongoing discussions over “social enterprise” is that it will be able to create sustainable jobs and provide alternative job opportunities in the future. However, these discussions are limited by generally taking an abstract and theoretical approach, thus unable to look at what’s really happening in social enterprises from a specif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 This study sets out from the question, “What are the prerequisites for social enterprises to become an alternative job for women?” mainly using the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To examine more definitive prerequisites, two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led to conflicting results, depending on the core values these two social enterprises are pursuing, their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and management of these organizations. Findings for the study show: First, when a social enterprise places more emphasis on community and feminist ideas rather than on profit making, workers encourage and help each other and the organization becomes a dedicated supporter for them.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unity empowered female workers, who shared the vision of “reevaluation of female labor” and began to identify themselves as a professional. Second, when the education of enhancing specialization is in harmony with that of raising female workers’ self-esteem in social enterprises, they are doing their jobs confidently and effectively. Also, they come to have a sense of purpose and sound professional ethics. Third, when a smooth communication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workers and the management in such social enterprises and workers participate in the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process, the workers have a closer attachmen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their organization. They also want to have a feeling of being taken care of and being heard when problems arise. Consequently, workers in such social enterprises, which make an effort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ir employees, were found to show a strong commitment and loyalty to their jobs, thus leading to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s a result, they felt proud of themselves as a worker and began to see themselves as a professional, while showing enthusiasm and pride in their jobs. Although they initially set out to do their jobs to earn money, their lives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as time passed because they have found something more meaningful with their jobs. These female workers came to see themselves as “independent women” and established a social network other than their families.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unity has empowered them and the encounter with feminism has led them to a heightened social awareness while expanding their horizons. This study explored the prerequisites for social enterprises to provide an alternative job opportunity for women. The findings show: First, social enterprises should pursue the value of community and feminism as a core value. The value of community helps provide not only encouragement and strong connections between workers, but also contributes to creating a workplace which gives them empowerment, confidence, enthusiasm, and happiness. The idea of feminism begins with the proper evaluation in the value of female work and the recognition of female workers as professional workers. When feminist values are applied, sympathy for the life and labor of working women are developed and enable these working women to make a contribution as willing and active workers. Second, these social enterprises should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which can enhance specialization and self-esteem among female workers. This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professionalism, increas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d instill a sense of confidence and professional ethics in female workers. Through education, these female workers can find their own identity and raise their self-esteem. Consequently, they would be motivated from within and thus show better job performance. Third, in running social enterprises, mutual trust and individual interaction were critically important. When workers received understanding and thoughtful consideration from management in difficult situations, they showed a strong commitment and loyalty for their organizations. Sharing, such as circular activities, enabled workers to respect each other and become united whil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lternative values. In order for a social enterprise to become an alternative job, first of all, it should have a democratic management system in place. The social enterprise should be operated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employees and management and allow workers to take part in its decision-making process, thus maintaining a more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f the new leadership is achieved by selecting a leader from those workers, it will contribute to easing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In addition, when there was a common goal set by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 a creative power was exerted. For this, there should be mutual understanding and individual interaction among members of the social enterprise. In conclusion, the aforementioned prerequisites should be enacted in order for social enterprises to become an alternative job. It has been widely believed that a system, such as a social enterprise w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productivity.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nventional idea was groundless. In this sen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rough some specific and verifiable evidence, it has proved that social enterprises can be an alternative job with higher productivity when they operate under an unconventional and labor-friendly enviro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기존 논의 검토 = 5 C.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 10 1. 개념정의 = 10 1.1 ‘사회적기업’ = 10 1.2 ‘대안적 일자리’ = 12 2. 연구방법 = 14 3. 연구대상 = 17 Ⅱ. 연구 사례의 특징 = 19 A. 업종의 성격 = 19 B. 조직의 역사, 성격 = 19 C. 노동력 구성 = 22 D. 근로 조건 = 25 E. 노동 과정 및 노동 강도 = 35 Ⅲ. 사례 분석 = 42 A. 사회적기업의 핵심가치 = 42 1. A기관: 이윤 추구→ 재정 자립 = 42 2. B기관 = 46 2.1 공동체 추구 = 47 2.2 여성주의 가치 추구 = 49 B. 교육의 목적과 내용 = 50 1. A기관: 주입식, 형식적인 교육 = 51 2. B기관: 지속적, 필요에 의한 교육 = 53 2.1 신입직무교육 = 53 2.1.1 선배와의 경험을 나누는 시간 = 54 2.1.2 여성주의 관련 강의 = 57 2.1.3 일의 노하우를 배우는 교육 = 58 2.1.4 자존감 향상교육 = 61 2.1.5 교육평가 및 실습활동 = 62 2.2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 64 C. 조직의 운영방식 = 65 1. A기관 = 66 1.1 집단 위주의 조직 운영 = 66 1.2 소통의 단절 = 70 1.3 파편화되는 노동자 = 73 2. B기관 = 74 2.1 노동자 위주의 운영 방식 = 74 2.2 원활한 의사소통 = 77 2.3 모임의 활성화 = 80 2.4 ‘노동자-조직’간의 이해관계 일치 = 83 D. 소결 = 85 Ⅳ. ‘대안적 일자리’의 조건 = 94 A. 핵심가치 = 94 1. 공동체 가치 = 94 2. 여성주의 가치 지향 = 97 B. 지속적인 교육 = 101 1. 마음을 다루는 교육 = 101 2. 전문성 강화교육 = 104 C. 조직의 운영방식 = 107 1. 상호신뢰와 인격적인 교류 = 107 2. 상황에 따른 융통적인 배려 = 109 3. 나눔과 순환 활동 = 111 4. 민주적인 조직 운영 = 114 4.1 소통과 경청으로 고충처리 = 115 4.2 조직의 의사결정 참여 = 117 4.3 수평관계와 지도력의 재생산 = 119 5. 공동의 비전을 향한 조직적 성찰 = 120 Ⅴ. 결론 = 123 참고문헌 = 127 ABSTRACT =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05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적기업'을 통해 본 '대안적 일자리'의 조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A,B기관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Prerequisites for the Creation of 'Alternative Jobs' Examined through 'Social Enterprises' : Focusing on the Comparision of Cases of Organizations "A & B"-
dc.creator.othernameKim, Yu-Mi-
dc.format.pageⅵ, 13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