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하영-
dc.contributor.author허순우-
dc.creator허순우-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60-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nquires into the sequence of Hyeonmongssangryonggi (現夢雙龍記; A story of two dragons appearing in a dream) which is classified as a 'sequential Korean novels about three generations.' This sequence consists of a prequel, Hyeonmongssangryonggi and a sequel, Jossisamdaerok (曺氏三代錄; The three generations of Cho family). There is also a derivative novel called Yangmunchunguirok (楊門忠義錄; The allegiance of Yangmun). The fact that Hyeonmongssangryonggi was sequelized as Jossisamdaerok and even derived intoYangmunchunguirok proves that it secured popularity to some extent in its times. Chapter Ⅱ reviews Hyeonmongssangryonggi. A perspective on ideal conjugal relations is presented in the prequel, Hyeonmongssangryonggi, by showing contrastive ways of coping with conflicts between husband and wife by Jomu, a man of arms, and Joseong, a man of letters. On the other hand, the symmetry between Jomu and Joseong is extended and united into a single conflict via the misdoings by Princess Geumseon and outside villains. The unified structure goes beyond the feuds of husband and wife in the family. The complications in Hyeonmongssangryonggi are deployed in the form of symmetry and unity, which can be summarized as a type of power-winning, i.e. familial and national powers, and a type of values with regard to Confucian ethics. The author discloses his views not only through specific incidents, but also through characters' conduct, language, and appearance. The characters in Hyeonmongssangryonggi are clear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good who observe Confucian norms and the bad who do not. In order to present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the author labors for describing their acts, not their mentalities. By dint of extremely contrastive behaviors by the good and the evil, a desirable model of behavior is suggested that an in-group asks for. Chapter Ⅲ examines Jossisamdaerok. Jossisamdaerok develops in consecution and independence, whereas Hyeonmongssangryonggi has a structure of symmetry and unity. Unlike Hyeonmongssangryonggi, the incidents in Jossisamdaerok are presented almost independently from one another. On the other hand, they are developed in linkage in that an incident is connected to the next through a clue suggested at its end. Most of the conflicts in Jossisamdaerok are not extended into a crisis of family, but are given detailed depiction for dissension of husband and wife, including conflicts between wives. The discord in Jossisamdaerok is mainly from a triangular relation among a female character who is eager to monopolize her husband's love, a male character who covets a beauty, and a female character who tries to conform to regulation. Therefore, the feud in Jossisamdaerok can be recapitulated as for love achievement and confrontation of different temperaments by realistic characters. Jossisamdaerok, in comparison to Hyeonmongssangryonggi, has a wider understanding of characters. There appear a good man who is still faithful to his ambitions, and a bad man who is still accepted by good people. In addition, description of characters' mental states are provid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ities. The description of psychology is principally confined to male characters. Female characters hardly show their mentalities, but only give idealized utterances. This can be ascribed to the author's intention that good women are impeccable, and at the same time to his expectation for attentive husband and father figures. Chapter Ⅳ combines the discussions in chapter Ⅱ and Ⅲ, about Hyeonmongssangryonggi and Jossisamdaerok, respectively, from a viewpoint of sequence. The two novels are argued to be in sequence in that they clearly share the same form of narration, including character, incident, and background. However, the sequence of Hyeonmongssangryonggi also shows distinct forms in the pre- and sequel. Among others,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the center of gravity in description moves from family to individual. The conflicts between superior and inferior, including father and son, mother and child, and father-in-law and son-in-law, along with dissen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re concretely portrayed in Hyeonmongssangryonggi, whereas these hierarchical complications are not embodied in Jossisamdaerok. In addition to the aspect of forms, the consciousness of writer can be investigated for the two novels in terms of their continuation and transformation. Hyeonmongssangryonggi and Jossisamdaerok regard the mundane life as important. The cause of hardship in both the novels is considered retribution for the sins of a former life, but the order of the heavens are viewed as changeable according to one's attitude toward life on the earth. The sins in a previous life are presented as an answer to why a good man suffers from difficulty despite his virtuous life. In the same vein, a reason for living an ethical life is that one can overcome the sins in his previous life and enjoy happiness when he is faithful to the ideas of this life. The fact that the sequence of Hyeonmongssangryonggi sees the happiness and prosperity of secular life as more meaningful can be verified by its common world view on mundane achievements and ranks. Although the two novels share the same outlook that thinks highly of this life and achievements in it, they differ in terms of perceiving individuals in a family. Hyeonmongssangryonggi positively evaluates only those who complies with the norms of family. However, Jossisamdaerok does not believe that norms can completely suppress and transfigure the desire and nature in humans. In this sense, Jossisamdaerok, as opposed to Hyeonmongssangryonggi, can be seen as a work that delivers understanding of individual life and human nature in a realistic way. Chapter Ⅴ puts together the reviews in the preceding chapters, Ⅱ, Ⅲ, and Ⅳ, and looks into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sequence of Hyeonmongssangryonggi. First comes an attempt to compare it with other 'sequential Korean novels about three generations.' As it turns out, the four sequential novels, classified as 'sequential Korean novels about three generations,' are not necessarily homogeneous in theme and creation. This diversification within the sequential Korean novels about three generations is suggested as a reason that they can be appreciated as strategic works created on the basis of authors' serious endeavors. The sequence of Hyeonmongssangryonggi is also reviewed from a perspective of critical re-writing in terms of its compositional technique, among other ways of enjoying Korean novels. Critical re-writing presupposes assessment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which indicates that Korean novels are not just inclined to be indiscriminately popularized in the same old rut. Critical re-writing was a useful tool of creation also in the 19th century, as seen in Okrumong (玉樓夢), re-written from Guunmong (九雲夢), and Hwassichunghyorok (花氏忠孝錄), re-written from Changseongamuirok (彰善感義錄). The 19th century is acknowledged in the academic world to be a period when onymous novels in Chinese characters came to appear, and novels got to be perceived as a work of literary art which exists for its sake, not for the purpose of edification. This was made possible in the Korean and Chinese-character novels of the 19th century by the novels in the 17th through 18th century which took the initiative in expanding the base for novel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quence of Hyeonmongssangryonggi, such as re-evaluation of the previous work, realistic interests in the characters, and purposeful arrangement of inciden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eve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19th-century novels.;본 연구는 국문 장편소설 <현몽쌍룡기>와 <조씨삼대록>을 대상으로 한다. 이 두 작품은 '연작형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 유형으로 분류되며, <현몽쌍룡기>는 전편에, <조씨삼대록>은 후편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편의 작품을 통칭하는 경우 <현몽쌍룡기> 연작이라고 한다. <현몽쌍룡기> 연작에서 파생된 작품으로는 <양문충의록>이 있다. <현몽쌍룡기>가 <조씨삼대록>으로 연작 되고 <양문충의록>이 파생적으로 창작되었다는 사실은 <현몽쌍룡기> 연작이 확보하고 있던 당대의 인기를 간접적으로 추측하게 하는 하나의 근거가 된다. 분량이 방대한 많은 수의 국문 장편소설이 현전하지만 국문 장편소설에 대한 연구는 이름이 알려진 몇몇 작품에 치중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가 편향되다보니 특정 작품을 통해 도출된 특성이나 의미가 국문 장편소설 전반을 대표하는 것처럼 확대 해석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국문 장편소설사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개별 작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서 기존의 연구사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볼 <현몽쌍룡기> 연작은 우선 파생작을 포함하여 세 편의 작품이 연관 관계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작품의 존재감을 무시할 수 없다. 또 <소현성록> 연작, <유효공선행록> 연작, <성현공숙렬기> 연작과 대등하게 '연작형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유형을 구성하므로 '연작형 삼대록' 소설에 대한 심화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몽쌍룡기> 연작에 대한 기존 논의는 소략한 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개별 작품으로서, 또 연작의 선상에서 <현몽쌍룡기>연작이 지니는 작품의 의미를 규명하고, 국문 장편소설사 전반과 '연작형 삼대록' 소설 유형에 대한 논의를 보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작의 전편인 <현몽쌍룡기>는 무인 기질을 지닌 조무와 문인 성향의 조성 두 인물이 주인공이다. 성격이 다른 두 남성인물이 부부 갈등에 대처하는 양상을 대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바람직한 부부 관계 정립을 위해 요구되는 남편상에 대한 작가의 입장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 작품은 가법을 정립하고 그것을 실제 적용하는 문제와 가문을 수호하려는 자와 가문과 국가를 와해시키려는 자의 대결을 통한 선(善)의 승리를 보여주는 데 더 많은 분량을 할애한다. 대칭적 구조로 진행되는 조무와 조성 부부의 갈등을 통합하여 가문과 외부 세력의 대결로 이야기를 끌어가기 위해 조무와 조성 부부 사이를 이간하는 금선공주라는 공공의 적을 등장시킨다. 대칭과 통합의 구도 속에서 펼쳐지는 <현몽쌍룡기>의 갈등은 애정 성취에 대한 악인의 욕망에서 비롯되지만, 궁극적으로 가권과 국권으로 상징되는 권력 쟁취형 갈등과 유교적 윤리 이념을 사이에 둔 가치관의 갈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사건과 갈등이 집단적이고 공적이며 이념적인 성격을 띠는 것과 마찬가지로, 작품에 반영되어 있는 인물에 대한 시각이나 묘사 방식도 보수적이고 이념적이다. 작가는 선인과 악인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절대적 선악관을 견지하며, 인물이 처한 상황이나 심정에 대해 공감이나 고려보다는 윤리적 규범의 적용을 우선시 한다. 그러므로 인물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것은 상황논리보다는 겉으로 드러난 인물의 행동 그 자체가 된다. 그래서 <현몽쌍룡기>에서는 정적인 심리묘사보다는 동적인 행동 묘사를 통해 인물의 성품과 감정 등을 제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선인과 악인의 극단적인 행동 대비를 통해 내 집단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행동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씨삼대록>은 전편에서 주인공이었던 조무와 조성의 아들, 손자들을 중심인물로 한다. 여러 자손 중에서도 조무의 아들인 운현과 조성의 아들인 유현, 조무의 딸인 월염과 조성의 딸인 자염 그리고 조무의 손자인 명윤과 조성의 손자인 명천 등이 각 대의 중심인물로 부각된다. 이대(二代), 삼대(三代)로 대가 확장되고 등장인물의 수가 많아지면서 작품에 서술되는 사건의 수도 증가한다. 이들 사건은 전편에서처럼 하나의 사건으로 통합되지는 않으며, 각기 개별적인 사건으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조씨삼대록>은 병렬과 독립의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병렬적으로 연결되면서도 독립적인 성향을 보이는 <조씨삼대록>의 사건들은 대부분의 갈등이 가문의 위기로까지 확장되지 않고 처처 갈등을 포함한 부부갈등의 차원에서 밀도 있게 그려진다. <조씨삼대록>의 핵심갈등은 남편의 애정을 독점하고 싶어 하는 여성 인물과, 미색을 탐하는(혹은 성품이 호방한) 남성 인물 그리고 법도를 지키려는 당찬 성격의 여성 인물 사이에서 벌어지는 삼각관계 구도의 부부갈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씨삼대록>의 갈등은 애정 성취형 갈등과 인간적인 감정을 내보이는 인물들의 기질 대립으로 정리할 수 있다.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같은 규범적 문제 보다는 인간 대 인간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을 주로 다루는 <조씨삼대록>에는 선인이지만 자신의 욕망에 충실한 인물, 악인이지만 선인들에 의해 동정 받고 포용되는 인물들도 등장한다. 이러한 인물들을 독자에게 설득력 있게 제시하기 위해 작가는 행동의 결과 뿐 아니라 인물들의 심리 묘사에도 관심을 보인다. 인물의 심리 묘사는 인간의 욕망이나 악인의 행동 동기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전적으로 규범화되어 도덕교과서와 같은 면모를 보이는 선인형 인물이 지닌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데도 기여한다. 이러한 심리묘사를 통해 작가는 인물에 대한 현실적이고도 다각적인 이해의 시선을 드러낸다. 이때 선인 여성 인물은 심리를 거의 드러내지 않으며 이념화된 발언을 주로 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상대적으로 남성 인물의 심리가 묘사 많이 이루어지는 것도 작품의 특징이다. 이는 선인 여성을 되도록 흠이 없는 인물로 그리려는 작가의 의식이 반영된 것인 동시에, 자상한 남편, 아버지 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작의 선상에 두 작품을 놓고 비교해보면, 이들 작품이 인물, 사건, 배경 등의 서사적 요소를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몽쌍룡기> 연작은 형식적 측면에서 전후편이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여러 차이 중에서도 서사의 무게 중심이 가문에서 개인으로 옮겨간 것이 가장 큰 차이이다. <현몽쌍룡기>에서는 부부갈등과 함께 부자, 모자, 옹서 등의 관계에서 벌어지는 상하갈등이 구체적으로 다뤄진다면, <조씨삼대록>에서는 상하 갈등이 구체화되지 않고 대부분 수평적 갈등에 머무른다. <현몽쌍룡기>는 상하갈등을 통해 가문의 질서를 확립하고 가부장의 권위를 강화하며 통합된 갈등을 통해 모든 갈등을 가문의 공동 문제로 인식하는 작품으로서 서사의 무게 중심을 '가문'에 둔다. 반면 <조씨삼대록>은 수평적 갈등을 통해 부부간의 오해와 관계 회복을 이야기 하면서 각각의 사건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이들 부부의 갈등이 가문의 문제로 확대 되지 않도록 하는, 서사의 무게 중심이 '개인'에 있는 작품이다. 형식적 측면 뿐 아니라 작가 의식적 측면에서도 두 작품은 공유하는 지점과 차이를 보이는 지점이 있다. <현몽쌍룡기>와 <조씨삼대록>은 현세적 삶을 중요하게 여기는 작품이다. 두 작품 모두 고난의 원인으로 전생의 업원(業&#20900;)이 제시되지만 천상의 질서는 지상에서의 삶의 태도에 따라 변화 가능한 것으로 그려진다. 전생의 업원은 도덕적 삶을 삶에도 불구하고 왜 선인에게 고난이 주어지는가에 대한 답으로 제시되며, 동시에 현실적 이념에 충실한 삶을 살 때 전생의 업원을 뒤엎고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선한 삶이 갖는 긍정적인 의미를 강조하는 기능을 한다. <현몽쌍룡기> 연작이 현세적 삶 속에서의 행복과 번영을 더 의미 있게 보고 있음은 이 작품이 공유하고 있는 벌열적 세계관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두 작품은 현세 중심적 세계관과 벌열적 세계관을 공유하지만, 가문 속 개인에 대한 인식 면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현몽쌍룡기>는 가문이 정한 규범에 순응하는 인간만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반면 <조씨삼대록>은 규범이 인간의 욕망이나 본성을 완전히 억제하고 변모시킬 수 있다고 보지 않는다. <현몽쌍룡기>가 강한 이념성을 지닌 작품이라면 <조씨삼대록>은 이념성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대신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가 현실적으로 드러난 작품인 것이다. 두 작품의 이러한 차이는 욕망을 드러내는 인물에 대한 작품 내에서의 평가와 처리 과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획일적으로 모든 인물이 도덕적 규범을 준수하고 행복한 삶을 사는 '대단원'을 선택한 <현몽쌍룡기>와 후손의 부도덕한 면모와 가문의 쇠망, 그리고 죽음에 대한 절절함을 묘사하는 <조씨삼대록>의 결말부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몽쌍룡기> 연작이 갖는 사적 의의는, 넓게는 18세기 국문 장편소설사의 흐름과 관련하여, 좁게는 '연작형 삼대록' 내부의 변모와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다. 연작형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로 분류되는 각 작품들의 표현적 주제적 특성을 비교해보면 '연작형 삼대록' 유형으로 묶여 있는 네 편의 연작형 소설들이 일률적인 주제의식이나 창작 방식을 고수하는 동질적 성향의 작품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현몽쌍룡기> 연작은 나머지 세 편의 작품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가문의 완성과 위상 강화라는 주제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작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현몽쌍룡기> 연작의 이러한 개성적인 면모는 '연작형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의 분화 양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보수적 성향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이 유형에 대한 일차적 인식에 변화를 가하는 것이며, 동시에 이 유형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지평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작형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의 분화는 이들 작품이 작가의 진지한 고민에 의해 전략적으로 창작된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연작형 삼대록' 유형의 창작 관습에 따라 무비판적으로 창작된 작품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국문 장편소설 창작 방식이 발전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현몽쌍룡기> 연작이 지닌 의미에 대해서도 고려해볼 수가 있다. <현몽쌍룡기>는 <소현성록> 연작에서 3대에 걸쳐 다룬 이야기를 1대의 이야기로 압축적으로 제시 하면서 동시에 이념성과 규범성을 더욱 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 <조씨삼대록>은 강한 이념적 성향을 드러내는 전편을 이어 받아 창작을 하면서도 가문에 대한 관심은 배경으로 하고 개인과 인간의 욕망에 대한 관심을 전면에 드러낸다. 중국의 '인정소설'과 유사한 관심을 갖는 것인데, 그러면서도 작품이 '음사소설'적 경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기 위해 적절하게 규범과 이념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배치한다. 주제를 압축적으로 제시하거나 관심사를 노골적이지 않게 드러내는 <현몽쌍룡기>와 <조씨삼대록>이 보여주는 이러한 면모는 17세기 말에 창작된 초기 장편에 비하여 국문 장편소설의 창작 방식이 발전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렇게 진일보한 창작의 면모를 보여줄 수 있는 바탕에는 전대(前代) 작품에 대한 비판적이고도 꼼꼼한 독서가 자리하고 있다. 비판적 글쓰기의 전통은 17세기말 국문 장편소설이 창작되면서부터 시작된 것인데, 이러한 글쓰기 방식은 소설을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독자들의 독서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관 작품의 폭이 넓혀지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17-8세기 국문 장편소설들이 보여준 '비판적 글쓰기'는 구체적인 작품에 대한 '비판적 다시쓰기'의 방식으로 19세기까지 이어진다. <구운몽>을 다시 쓴 <옥루몽>, <창선감의록>을 다시 쓴 <화씨충효록> 등이 그 예이다. 19세기는 작가를 알 수 있는 한문 장편소설들이 등장하였고, 소설을 문예물로 인식하게 되어 소설을 교화의 도구가 아닌 목적 그 자체로 보게 된 시기로 학계에서 평가된다. 19세기 장편소설들이 보여주는 이러한 특성은 소설 저변의 확대를 주도한 17-8세기의 소설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전대 소설에 대한 재평가와, 인물에 대한 현실적인 관심 표명, 계획적인 사건의 배치 등 <현몽쌍룡기> 연작이 보여주는 발전된 창작 방식들은 19세기 소설 창작의 기반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의 현황과 방향 = 6 Ⅱ. <현몽쌍룡기>의 작품 세계 = 13 A. 작품의 창작 과정과 서사 전개의 양상 = 13 1. 소재 원천과 창작 과정 = 13 2. 서사 전개 양상과 구조 = 21 B. 권력형 갈등의 양상 = 31 1. 권력 쟁취 욕망과 갈등 = 31 2. 윤리적 가치관의 대립 = 43 C. 인물 형상화 방식 = 48 1. 절대적 선악관이 투사된 인물 묘사 = 49 2. 행동 중심의 서술과 극단적 인물 대비 = 56 Ⅲ. <조씨삼대록>의 작품 세계 = 62 A. 작품의 창작 과정과 서사 전개의 양상 = 62 1. 창작의 계기와 창작 과정 = 62 2. 서사 전개 양상과 구조 = 72 B. 애정형 갈등의 양상 = 97 1. 애정 성취 욕망과 갈등 = 97 2. 일상과 연계된 인물간의 기질 대립 = 114 C. 인물 형상화 방식 = 119 1. 단선적 선악관을 넘어선 인물 묘사 = 119 2. 내면심리의 부각과 다각적 인물 설정 = 128 Ⅳ. <현몽쌍룡기> 연작의 연작양상과 작가의식 = 135 A. 구성과 서사 방식 = 136 1. 서사 확장 방식과 서사 구성요소의 공유 = 136 2. 가문에서 개인으로 서사의 무게중심 이동 = 140 B. 서술 시각과 주제의식 = 146 1. 현세 중심적 세계관과 벌열적 세계관의 계승 = 146 2. 인간 본성에 대한 관심 확대와 이념성의 약화 = 151 Ⅴ. <현몽쌍룡기> 연작의 소설사적 의의 = 166 A. 연작형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의 분화 = 166 B. 장편소설 창작 기법의 발전 = 174 Ⅵ. 결론 = 183 참고문헌 = 188 부록-1. <현몽쌍룡기> 연작의 주요 가문 관계도 = 194 부록-2. <조씨삼대록> 평진왕 조무의 가계도 = 195 부록-3. <조씨삼대록> 초국공 조성의 가계도 = 196 ABSTRACT = 1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33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現夢雙龍記> 連作 硏究-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equence of <Hyeonmongssangryonggi>-
dc.creator.othernameHur, Soon-woo-
dc.format.pageⅸ, 20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