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중학교 합창지도와 새로운 레퍼토리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합창지도와 새로운 레퍼토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eaching Method for Chorus in Middle School and an Analysis of New Choral Repertories for Teenagers
Authors
문베티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신화
Abstract
음악 교육은 학생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합창은 가창을 통한 인간의 본능적인 음악 표현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음악의 기초영역의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활동이다. 또한 그 자체로 학생들에게 심미적 만족감과 즐거움을 주며 전체속의 조화와 유대감을 형성하게 하는 필수적인 활동이다. 우리나라의 합창은 괄목할 만한 양적인 성장을 하였지만 청소년기의 합창은 전문 교육자의 부재와 입시풍토로 인한 학생의 관심부족으로 점차 그 수가 감소하고 있다. 청소년의 신체적인 변화인 변성기의 발성적 특징을 간과하고, 새로운 것을 원하는 청소년의 지적인 음악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채 레퍼토리의 정체와 고유한 합창곡의 부족으로 설자리를 잃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새로운 레퍼토리를 공유하지 않는 일반 합창계의 풍토와 음악교사의 레퍼토리 연구의 어려움, 음악 수업시수의 절대적인 부족, 합창 전문 지도교사의 부족 등이 더해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기의 합창은 높은 수준의 교육적인 능력과 자기표현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는 성인과는 다른, 청소년들만의 신체적, 정신적 특징과 욕구를 충족하는 음악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보다 쉽게 합창의 즐거움과 조화를 느낄 수 있는 독립된 합창지도 방법과 새로운 레퍼토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합창지도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합창지도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많은 교사들이 합창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학교의 제반여건과 관심부족, 학생 수의 감소와 관심부족, 변성기 학생의 발성지도의 어려움, 연습시간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성인에 비하여 이해력과 집중력이 낮은 청소년 합창지도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연습 계획이 필요하며 지도교사는 연간계획에서부터 각 시간의 학습지도 계획을 확실히 세우고 연습에 임하여야 한다. 합창 지도는 사전 계획 단계, 실제 지도 단계, 연주 및 반성의 단계로 나누어서 할 수 있다. 사전 계획 단계는 연주준비를 위한 기초적인 준비 단계로 연간계획을 바탕으로 합창곡을 선정하고 분석하며 파트 및 지휘자를 선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합창지도의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특징인 변성기의 발성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효과적인 파트연습을 통하여 곡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단계이다. 연주 및 반성의 단계에서는 연습된 곡을 무대에서 발표함으로써 지적인 성취감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다. 새로운 레퍼토리에 관한 연구는 2004년부터 2007년에 출판된 청소년합창곡집의 166곡을 가지고 외형적인 분류로 작곡자, 시대, 지역, 언어, 장르 다섯까지 항목과, 음악적인 분류로 박자, 빠르기, 조성, 음역 (최저음과 최상음), 성부, 연주형태 여섯까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합창곡집은 주로 동성3부 합창곡으로 장조의 빠른 노래가 많았으며 한국어로 된 가사와 피아노 반주를 가진 현대곡이 위주가 되었다. 청소년 합창곡집의 조성적 특징으로는 조바꿈 된 곡이 많았으며 장르로는 외국곡과 종교곡, 가요, 드라마·영화음악의 편곡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또한 새로운 한국 창작 작품의 출판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며 한국적인 리듬과 색채를 가진 무반주 합창곡도 청소년을 위한 합창곡집에 출판되고 있었다. 음역은 G에서 g'의 두 옥타브를 성역으로 하는 작품이 많았는데 변성기의 학생들에게 무리한 a', b'음으로 종지를 맺는 곡도 많아 주의를 요하게 된다. 젊은 한국작곡가들의 창작 작품이 활발히 출판되고 있는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흥미 위주의 가요 편곡이나 음역에 맞지 않는 무리한 음역의 곡들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시기의 합창의 경험은 무엇보다 값지고 귀중한 경험이나 그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연구의 노력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보다 지속적인 청소년 합창곡의 활발한 교류를 위하여 청소년의 음역과 정서에 맞으며 예술적인 감수성을 살릴 수 있는 청소년들만의 독립된 다양한 곡들의 개발이 요구된다.;The goal of music education is to find students' musical potential and to encourage their creativity by leading them to fre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musical activities. Among diverse genres, singing is the most instinctive way for musical education, since it provides an easy access to the music itself without learning the laborious exercises required by instruments. Particularly, singing as a member of a choir is extremely effective, because it improves the basic understanding of harmony, provides an aesthetic fulfillment and delight, and develops the bond of unity. However, choral education, as well as choral activities for teenagers, is largely disregarded due to the stifling competition for admittance to college, as well as the lack of professional instructo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Moreover, great hindrances such as out-dated repertoires which are ignorant of adolescents' delicate vocal mechanism, limitations in sharing novel repertoires, music teachers' difficulties in studying new repertoire, absolute shortness of music classes, and lack of professional choral instructors have further threatened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chorus. Theref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chor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 as well as standardized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ppropriate choral teaching methods with an investigation of new repertoires are required for choral education. In this study, I surveyed the status of cho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nd analyzed the recent repertoire for adolescent choirs. It was revealed that most teachers in middle schools in Seoul feel great difficulties in choral education due to lack of support from schools reduction in numbers and in the interest of students, challenges due to breaking voices, and insufficient class hours. Not only sub plans for each session but well-organized annual schemes in advance seem to be required for the choral education of adolescents, especially theses who are lacking in concentration and motivation, by comparison with adult choir members. Choral instruction may be divided into three steps: planning, instructing, and performing and reviewing. As the first step, repertoire that is most suited for the students as well as for the objectives of performance is selected, followed by assigning vocal parts and selecting conductor and accompanist. During instruction, understanding and the expression of music are accomplished by effective rehearsals on the basis of part practice. In this stage, adequate understanding of adolescent vocalization is required. In the last step, by performing on the stage, students are encouraged to build up a sense of fulfillment and self-confidence. In this study, I next analyzed 166 choral pieces for adolescent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07. They were classified by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composer, period, region, language, and genre, and by musical criteria like rhythm, tempo, key, vocal range, vocal parts, and forms of performance. The most frequent form of compositions were for unmixed voices in three parts with fast tempo and the major key. Most of them were modern songs in the Korean language accompanied by the piano. It was noted that modulations in key were frequent. Regarding the genre, the majority were foreign music with the lyrics translated into Korean, which were followed by sacred songs, popular music, and the arranged music from O. S. T. in dramas or movies, in order. Interestingly, the number of Korean original compositions is rapidly growing, especially as a genre of a cappella music with traditiona lrhythms and features. As for the tonal ranges,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m are within two octaves from G to g', even though some pieces have a final note of a' or b' that would be difficult for adolescents. Though the choral works composed by young Koreans should be encouraged and accepted favorably, songs for fun without musical profundity or music with inappropriate tonal ranges for adolescents need to be avoided. There is no doubt that choral singing in adolescence is an extremely precious experience not only for their musical fulfillment but for well-socialized personalities. Though this study contains far from definitive answers for choral education,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expansion of choral repertoires in diverse genres with appropriate vocal range for adolescents, and the active and systematic exchanges of those repertoires in the school choirs, will meet the students' desires by inspiring their artistic sensi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