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학술논문의 텍스트성(textuality) 분석

Title
학술논문의 텍스트성(textuality)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extualities in the Academic Thesis Genre
Authors
박나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텍스트 장르에 대한 실제적인 요구수준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본격적인 텍스트 장르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학술논문 텍스트를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기술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Ⅰ장에서는 연구목적과 필요성 및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가 학술논문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만큼, 기존의 다양한 텍스트 분석방법들을 비교 대조한 후, Ⅱ장에서는 학술논문의 분석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Beaugrande&Dressler(1981)의 텍스트성(textuality) 개념을 본 연구의 기본적인 분석기준으로 도입하였다. 외형적으로 단순한 문장연속체를 유의미한 텍스트로 만들어주는 텍스트 자질(feature)인 일곱 가지 텍스트성(textuality), 곧, 의도성(intentionality), 상황성(situationality), 응집성(coherence), 응결성(cohesion), 정보성(informativity), 용인성(acceptability),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가운데, 다만 용인성의 경우, 학술논문과 같은 사실전달 및 주장의 텍스트 장르에서는 정보성과 상황성의 부문에서 함께 기술될 수 있는 까닭에, 따로 분석의 장을 마련하지 않았으며, 텍스트 국면 국면에서 각론적이고 국지적인 텍스트 조정 및 관리를 행하려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는, 의도성과 따로 구분지어, 조정성(mediativity)이라는 독립적인 범주를 상정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일곱 가지 개별 텍스트성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상으로 학술논문안에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분석하되, 텍스트의 언어현상 자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고 여겨지는 수순으로 응결성, 응집성, 정보성, 조정성, 상호텍스트성, 의도성, 상황성을 살펴보았다. 개별 텍스트성과 관련된 언어현상을 살펴 기술한 후에, 이들 언어현상이 보여주는 경향성 내지는 선호성을 찾고, 이를 통해 학술논문에서 구현되는 텍스트성의 운용원리를 추출해 보는 분석순서를 취하였다. 본고에서 분석한 텍스트성 관련현상 항목과 그 운용원리로 추출된 결과를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Ⅲ장의 작업이 학술논문의 텍스트성 관련현상을 질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설명한것이었다면, Ⅳ장에서는 Ⅲ장의 질적 분석방법을 보완하고, 실제 응용언어학적 적용시에 이론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문계열별 학술논문에서 텍스트성 관련현상이 어떠한 빈도를 보이며 나타나는지 양적인 방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고에서 살핀 총 193편의 학술논문 가운데, 인문, 사회, 자연과학 학문계열별로 그 학문계열적 특성을 표준적으로 보여준다고 판단된 학술논문을 계열별로 10편씩 분석함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개체수인 30을 충족시켰으며, 표본조사를 통해 Ⅲ장에서 분석된 텍스트성 관련 언어현상 가운데 개별 텍스트성을 가장 대표한다고 파악된(빈도수 기준) 언어현상을 분석항목으로 상정하여 빈도분석한 후, 이들 텍스트성 관련현상이 학문계열별로 어떠한 빈도를 보이는지 상호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학술논문의 공통자질과 학문계열별 대립자질을 추출하여, 학술논문의 학문계열별 하위유형을 자질묶음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학술논문의 독자적인 텍스트성 관련 현상을 보다 명징하고 텍스트 유관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Ⅲ장의 텍스트성 분석결과를 토대로, 분석의 시야를 텍스트 외부로 돌려, 학술논문과 인접 텍스트 장르인 학술교양텍스트 및 논평텍스트를 학술논문과 비교대조해 보았다. 그 결과, 학술교양텍스트와는 의도성, 조정성, 응집성, 응결성, 정보성, 상호텍스트성에서, 그리고 논평텍스트와는 의도성, 조정성, 응결성, 정보성, 상호텍스트성에서 유의미한 양상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학술논문과 학술교양텍스트 그리고 논평텍스트가 각각 학술논증, 단순 사실기술 그리고 가치와 믿음에 호소하는 비교적 단순한 일반논증이라는 이질적인 의미구조를 가진 데에서 파생된 결과로서, 이를 통해 텍스트성 가운데 응집성이 가장 핵심적인 텍스트성이며, 더 나아가 다른 텍스트성의 구현양상을 조정하는 가장 지배적인 텍스트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텍스트 장르에 대한 요구수준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본격적인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학술논문 텍스트를 대상으로, 학술논문을 학술논문답게 만들어주는 텍스트성을 질적, 양적으로 분석하고, 텍스트 장르의 하위유형화 및 인접텍스트 장르와의 비교를 통하여 학술논문 텍스트의 정체성을 텍스트 장르 내외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연구사적 의의와 응용언어학적 가치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Textualities(intentionality, situationality, cohesion, coherence, informativity, acceptablity, intertextualuty) are the features which make a sequence of sentences a consistently meaningful structure, namely, text( Beaugrande&Dressler 1981). This study examines how these textualities appear and what their principles are in the academic thesis text genre. Academic theses demand both highly complicated cognition competence and rigidly-regulated academic literacy competence in its production. Accordingly, in applied linguistic areas, such as language education, learners are required to acquire academic thesis text genre-dependent characteristics. This applies to both native graduate students as well as foreig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Despite these internal (textual) and external needs of explor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academic thesis text genre has not been deeply analysed from text-linguistic perspective. This study, therefore, focuses on the academic thesis genre. In chapter 1, both the objec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specified, emphasizing text-linguistic points of view. In chapter 2, we look through various text analyses frames suggested by many different sources. Afterwards, it is proved that among them, the concept of textualities manifested by de Beaugrande&Dressler(1981) are the most adequate tools in the analysis of academic thesis text. However, acceptability, one of the textualities, is not dealt with here since it is addressed both in informativity and situationality, especially in academic text genre. Moreover, intentionality, which is defined as the text producer's own will, is suggested in this study to be characterized into 'intentionality' and 'mediativity'. While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text producer's own will towards the whole text, the latter is related to text producer's monitoring or management of sub-text. In the academic thesis genre, unlike other text genres, text producer's mediations happen so frequently that the concept of 'intentionality' by itself does not appear to sufficiently explain the original concept as defined by Beaugrande&Dressler(1981). In chapter 3, we look at the seven textualities represented in the academic thesis genre. Each textuality can be analysed by the description of related language phenomenon and subsequently deduce the principles of textuality. Chapter 4 describes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ext genre which are observed in different academic fields. This study groups various academic fields into three, which are: human science & art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It appears that textualities are academic field independent, common standards are observed to accomplish textuality. However, each academic field appears to show its own individual language phenomenon. Specifically, natural science academic theses are highly peculiar compared to others in the aspects of both text form and expressions. In chapter 5, following from the results of chapter 3, we compare academic thesis genre with other related text genres: academic reference readings and editorials. Academic reference readings share academic themes with academic theses, while its dominant text function is different (explanation vs. argument). On the other hand, editorial texts have similar dominant text functions as academic theses, in that both are intended to insist the text producer's own opinion and convince the text addressee. However, editorial text genres differ from academic thesis genre in that while one deals with academic themes, while the other does not. The comparison of academic thesis with other familiar text genres is expected to help show its individual text features clearer. Such a comparative analysis also shows the relative position of academic thesis genre in the broader context of text genres; specifically how and where the academic thesis text genres locate within the argumentative-declarative text category to which it belo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