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애경-
dc.contributor.author설영선-
dc.creator설영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72-
dc.description.abstractGlobalization brings new paradigms across Korea. There are so many big changes to the business environment, particularly in the mind of individuals on their career. In past, most of the employees had been guaranteed their jobs in one company which they started. Nowadays, however, the more advanced with Globalization be here, the more competition to individuals. Because of that, people not exceptionally secretaries who live today force to develop their career with activities. The main change on career is by companies or organization to by individuals. And we can see these results and trends about that in many studies. Those results say that well developing individuals’ career is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The key is leadership on developing career for secretaries in this study. Because Self-leadership is to control behavior and thought to realize the object that people put in their mind. Everyone has self-leadership. A secretary in Korea has difficulty to develop their job more professionally for some prejudges about them that their working usually is tied up their boss. And Self-leadership would be match with secretaries as their lead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mong secretaries and mediating role of career planning on these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self-leadership on secretaries, factors like age,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iod of employment, the employment term, and the training frequency turned out to make difference its level among them. Second, self-leadership of secretaries turned out to make influence to career planning among secretaries. Following this study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secretary’s self-leadership in developing their career planning. Third, there are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career plan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commitment. To improve self-leadership is an essential condition to develop career for secretaries when considering Career commitment make people more professional in other studies. Finally, there is no moderation effect of the career planning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satisfactions. It could mean that secretaries have their career planning to change their career to others because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jobs.;글로벌화는 한국 사회의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대표적으로 기업 경영환경의 변화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조직 자체의 변화도 있지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조직원들이 자신의 경력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변화이다. 과거 한 기업에서 종신고용을 보장받았던 개인은 기업간, 개인간 경쟁이 격화되면서 자신의 경력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사고와 자세를 요구받고 있다. 개인의 경력개발에 있어서 과거와 다른 점은 조직 의존형에서 개인 주도형으로 이동하고 있는 점이다. 개인의 자질이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는 것 또한 이러한 경향을 뒷받침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개발에서 개인의 자질 중 한가지인 리더십, 그 중에서도 셀프리더십에 주목하였다. 그 이유는 셀프리더십이 스스로 역량을 꾀하고 자율성을 강조하는 자기관리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비서의 경우 조직 내에서 통념적 사고로 인하여 비서는 상사의 지시업무만을 수행하는 수동적 역할로서의 인식이 여전하고, 조직의 경력개발지원제도에서도 소외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비서들의 경력개발은 개인적 특성에 의해 경력성공의 차이가 여타 직종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을 선행연구 결과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누구에게나 내재되어 있고, 자율성을 강조하는 셀프리더십이 비서에게 적합한 리더십이라는 판단 하에 비서의 셀프리더십을 독립변수로, 경력계획을 매개변수로, 경력몰입과 경력만족을 종속변수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의 셀프리더십이 경력계획, 경력몰입 및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특히 경력계획이 셀프리더십과 경력몰입 및 경력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비서의 경력개발에 있어서 셀프리더십의 역할을 분석하여 비서에게도 셀프리더십이 필요함을 인식하는 계기와 비서의 경력관리에 있어서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개발 및 인적자원개발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직 비서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방법으로 진행된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의 셀프리더십은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의해 수준의 차이가 있다. 특히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더 높은 수준의 셀프리더십을 보여주었다. 이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부분이다. 고용형태 부분에서는 정규직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의확률이 높아 채택되지 않았다. 그리고 근무년수, 셀프리더십 및 관련 교육횟수 또한 셀프리더십의 수준 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비서의 셀프리더십은 경력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경력계획을 세우기 위해 비서의 셀프리더십 향상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비서의 셀프리더십과 경력몰입과의 사이에서 경력계획은 완전 매개 효과를 보였다. 경력몰입의 경우 현재의 직업에서도 전문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비서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경력몰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라도 셀프리더십의 향상이 중요하다. 넷째, 비서의 셀프리더십과 경력만족과의 사이에서 경력계획은 매개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경력계획을 세우더라도 현 직업에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경력으로의 이직의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용어의 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8 A. 셀프리더십 = 8 B. 경력계획 = 28 C. 경력몰입 = 33 D. 경력만족 = 40 E. 비서의 경력에 관한 선행연구 = 43 III. 연구방법 = 46 A. 연구모형 = 46 B. 연구가설 = 47 C. 연구대상 = 51 D. 조사도구 = 52 IV. 연구결과 = 56 A. 측정도구의 분석결과 = 56 B. 실증연구의 결과분석 = 66 V. 결론 = 82 A.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 82 B. 연구의 한계점 = 87 참고문헌 = 90 부록-설문지 = 102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50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서의 셀프리더십이 경력몰입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력계획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Caree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mong secretaries : Mediationg roles of Career Planning-
dc.creator.othernameSul, Young Sun-
dc.format.pageⅷ,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