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Factors of Cultural Discomfort and Perceiv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ilitators during Russian-Korean Communication Encounters

Title
Factors of Cultural Discomfort and Perceiv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ilitators during Russian-Korean Communication Encounters
Authors
Ten Nadezda Valerievna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 사는 러시아인이 느끼는 개인적 및 업무적인 면에서 이문화간 소통 경험을 조사하여 러시아인과 한국인 상호간의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주요 사건 조사를 통하여52명의 정보제공자들로부터130가지의 이야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문화적 불편의 원인으로 부적절한 주제에 대한 토론, 계급을 엄격히 따라야하는 것, 간접적인 대화방법 등과 같은 익숙하지 않은 의미 전달 풍습을 비롯한 비언어행동에 대한 제약, 그리고 언어적인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잘 알려진 불건전한 압력들로, 예를 들면, 한국 사회의 지나친 권위주의, 보수주의 및 집단주의와 같은 사회문화적인 압력, 그리고 업무상의 엄격한 계급제, 조직적 충성에 대한 해석의 차이, 업무와 시간에 대한 태도의 차이와 같은 조직의 내부적인 압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러시아인 응답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더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소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문화 소통 촉진재가 필요하다. 먼저 한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필요한데, 이는 문화적 가치 및 세계관 차이에 대한 인식과, 각 나라의 국민적 특징 및 일반사항에 대한 인식을 말하는 것이며, 두 번째로는 이문화간 능력 행동, 태도, 및 기술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러시아인과 한국인 간의 보다 능률적인 상호협력과 만족스러운 이문화 소통을 위한 실용적인 방안을 제안한다.;The study explores interpersonal and professional cross-cultural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the Russian community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st challenging areas during Russian-Korean communication interactions along with the perceived desirable prerequisites that may ensure more efficient and satisfactory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Russian and Korean individuals. Thu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 major survey data collected from 52 informants, who shared 130 stories, the following sources of cultural discomfort were defined: 1) the culturally-based differences in expected communication behaviors, (i.e. unfamiliar message transfer practices, non-verbal behavior constraints, and linguistic challenges); 2) the perceived ‘unhealthy’ socio-cultural, (i.e. extreme ethnocentrism, hierarchism, conservatism and collectivism of Korean society) and intra-organizational forces, (i.e. strict professional hierarchy, different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loyalty, different attitude to work, tim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Russian respondents, in order to ensure more effective and satisfactory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Russian and Korean individuals the following perceiv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ilitators are required to exist: 1) general awareness about a respective culture, in particular, awareness of cultural values and worldview differences, national character, and general facts about a respective country, and 2) ‘winning’ intercultural competency behaviors, attitudes and skills. Finally,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more efficient mutual collaboration and satisfactory cross-cultural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Russian and Korean parties are giv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