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권민경-
dc.creator권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5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역사적 사실이나 문학작품의 내용을 제재로 하는 故事人物畵를 연구 대상으로, 그 중에서도 민화의 고사인물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작품 자료 수집과 각 고사의 성격을 바탕으로 유형을 나누고 양식분석을 시도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故事人物畵는 중국의 漢代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宋代에는 당시의 문인취향과 결부되어 고사인물의 교훈적 측면을 본받고자 널리 그려졌다. 국내에서 고사인물화가 대두된 것은 고려 후기 宋代의 회화사조에 영향을 받으면서이고, 이후 조선 전 시기를 걸쳐 널리 성행하였다. 민화 고사인물의 도상을 살펴보면 대게 성리학적 이념을 겸비한 중국의 유명한 聖賢 및 隱逸處士, 그리고 조선의 유교적 이념에 부합하는 인물상으로 孝子ㆍ忠信ㆍ烈女 등을 그 소재로 하고 있다. 언급된 고사인물의 성격과 동시대의 여러 문헌기록을 통해 고사인물은 민화 이전의 일반회화에서도 널리 그려졌던 제재이며 이는 조선 초부터 왕실과 사대부 사이에서 애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조선 전 시기에 걸쳐 성행한 고사인물화는 조선 후기 민화로 확장되면서 민간으로 저변화되었고, 이와 같은 현상의 중심에는 당시 새로운 문화 담당 층으로 성장한 계층의 역할이 컸다. 조선후기 상품유통경제의 발달은 기술직 중인과 경아전 서리배의 성장을 가져왔고, 이들은 문학과 회화 등 예술분야 전반에 걸쳐 사대부의 문화를 소비하며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신분상승의 욕구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당시 경제적 부를 바탕으로 한 祈福豪奢풍조는 집안 치장용의 장식적이고 대형화된 그림을 널리 유행시켰다. 민화의 고사인물은 그 주제에 따라 크게 聖賢 및 隱者와 孝子ㆍ忠臣ㆍ烈女ㆍ兄弟ㆍ朋友, 그리고 文字圖에 삽입된 고사인물로 그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성현ㆍ은자 관련 고사인물화는 당시 새로운 문화 담당 층으로 성장한 閭巷人들의 신분상승 욕구를 가장 잘 반영한 주제로 시대적 특징을 엿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이들의 고사가 실린 문헌기록이나 특정 시문은 중국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널리 읽혀졌으며 민화의 성행과 더불어 유행한 문학 장르에서도 각 고사인물은 자주 인용되어 그 대중적 인기를 실감하게 한다. 성현ㆍ은자관련 고사인물화는 신선 이미지나 길상적 도상 등, 다양한 화제와 결합되어 감계ㆍ교훈의 목적과 함께 집안치장용으로서의 기능도 포함하게 되었다. 효자ㆍ충신ㆍ열녀ㆍ형제ㆍ붕우 관련 고사인물화는 효행 고사인물화와 그 외 충신ㆍ열녀ㆍ형제ㆍ붕우의 고사인물화로 나눌 수 있으며, 표현 양식은 원체화풍을 보이는 것에서부터 행실도류의 서적을 그대로 옮겨 놓은 작품과 화보의 영향을 받은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전개 되었다. 조선후기 성행한 孝悌文字圖에 삽입된 형태로 나타나는 고사인물은 각 문자의 의미에 맞는 여러 주제가 융합되는 형식을 보인다. 효제문자도는 그 양식에 따라 시기적 구분이 가능하며, 삽입된 고사의 내용도 이에 따라 구분 지을 수 있다. 크게 ‘孝悌忠信禮義廉恥’로 이루어진 여덟 개의 문자 내에 고사의 내용이 삽입되는 형태와 문자의 특정 획을 도상화한 것으로 분류된다. 문자내 삽입 형은 그 표현양식에 따라 서사성이 강조된 가장 초기적 형태와, 고사의 표현에 있어 문자도의 초ㆍ중기적 도상이 혼재되고 있는 것으로 더욱 세밀하게 나눌 수 있다. 특정 획을 도상화한 작품에서는 화제의 글자 수가 정리되어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며 도상의 표현은 각 고사를 대표하는 한 두 개의 상징물로 대체되어, 고사인물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엿볼 수 있게 한다. 고사인물화는 그 주제의 특성상 當代의 사회상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며, 특히 민화의 고사인물은 이와 더불어 19세기 화단의 흐름과 새로운 문화 담당 층의 특징을 살필 수 있어 미술사적 가치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The focus of this dissertation is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in folk painting, a subject of a historical fact frequently used in literature and paintings. The paintings will be approached through classifying the types and styl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y. The origin of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dates back to the Han Dynasty of China, and was popular during the Song Dynasty as it was related to the literati culture and was painted as a precept. In Korea,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was pain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fluenced by Song Dyansty paintings, and continued until the Joseon Dynasty. Iconographic forms of folk painting gushi-renwu(故事人物) are mostly famous sages and hermits of China that have shengri doctrine. These characters of xiaozi(孝子)ㆍzhongxin(忠信)ㆍlienv(烈女) also conform to Confucian ideologies. The subject of gushi-renwu(故事人物) was many times used in painting and its popularity from early Joseon by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is elucidated with textual documentation.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that was popular during early Joseon Dynasty expanded to commoners in the form of folk paintings. This kind of development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newly risen scholar class. The advancement of the economy in late Joseon brought the development of zhongren(中人) in technical post and jingyaqian xuli(京衙前 胥吏). This particular class thrived for rising of social position through the arts and literature, using the subject of gushi-renwu(故事人物) as decorative arts for their home. gushi-renwu(故事人物) in folk painting can be divided by the subject of shengxian(聖賢)ㆍyinzhe(隱者), xiaozi(dutiful son, 孝子)ㆍzhongchen(faithful retainer, 忠臣)ㆍlienv(virtuous woman, 烈女)ㆍxiongdi(brothers, 兄弟)ㆍpengyou(friend, 朋友) and by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drawn in Wenzi tu (文字圖): Character paintings. shengxian(聖賢)ㆍyinzhe(隱者) related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best reflects the desire of lvxiangren(閭巷人) to rise social position. Textual documentation of these gushi-renwu(故事人物) can be found both in China and Korea, and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folk paintings, gushi-renwu(故事人物) have been repeatedly used as subjects in literature as well. shengxian(聖賢)ㆍyinzhe(隱者) related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have hermit images or auspicious meanings being used for decorative purposes, and these icons have combined with various subjects drawn for instructive purposes.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can be categorized into story of filial piety such as xiaozi(孝子)ㆍzhongchen(忠臣)ㆍlienv(烈女)ㆍxiongdi(兄弟)ㆍpengyou(朋友) and others of zhongchen(忠臣)ㆍlienv(烈女)ㆍxiongdi(兄弟)ㆍpengyou(朋友) There are also various styles ranging from yuanti huafeng(院體畵風) to books kind of xingshi tu(行實圖), reflecting the influence of huapu(picture album, 畵譜). Xiaoti-wenzi tu(孝悌文字圖) became very popular in late Joseon, and the gushi-renwu(故事人物) that were drawn into the characters show styles that have combined with the meanings of the certain gushi-renwu(故事人物). Depending on the different form and subject of the gushi-renwu(故事人物) of Xiaoti-wenzi tu(孝悌文字圖), its period can be classified. It can be categorized into gushi-renwu(故事人物) inserted in the strokes of 8 different characters of ‘xiao(filial piety, 孝)ㆍti(brotherly love, 悌)ㆍzhong(loyalty, 忠)ㆍxin(faith, 信)ㆍli(etiquette, 禮)ㆍyi(rightness, 義)ㆍlian(probity, 廉)ㆍchi(shame, 恥)’. Icons that have been inserted within the character is one of the early form that has emphasized the description, as it can be categorized into wenzi tu(文字圖) Character paintings that combine early and mid icons of gushi-renwu(故事人物). Works that have iconoized certain strokes show a fixed pattern with symbolic objects representing a certain story, demonstrating the understanding by the commoners. Due to its subject,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has meaning in that it reflects the society of the times, and folk paintings Gushi-renwu hua(故事人物畵) especially has art historical value in that i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ultural cla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 1 Ⅱ. 19세기 말 고사인물화의 민화로의 확장배경 및 전개양상 = 4 Ⅲ. 성현ㆍ은자 관련 고사인물화 = 7 A. 주제 고찰 = 11 1. 문헌기록 및 중국서적의 조선유입 = 11 2. 조선시대 문집에 보이는 고사 = 27 B. 종류와 그 특징 = 33 1. 전통적 제재의 계승 및 선호된 제재 = 33 2. 다른 화제와의 결합 = 45 Ⅳ. 효자ㆍ충신ㆍ열녀ㆍ형제ㆍ붕우 관련 고사인물화 = 51 A. 주제 고찰 = 51 1. 효자 = 52 2. 충신ㆍ열녀ㆍ형제ㆍ붕우 = 60 B. 특징 및 의의 = 63 Ⅴ. 효제문자도에 삽입 된 고사인물 = 71 A. 주제의 융합 = 71 B. 구성에 따른 특징 및 의의 = 74 1. 문자내 삽입 = 75 2. 劃의 도상화 = 79 3. 다른 화제와의 결합 = 85 Ⅵ. 맺음말 = 87 參考文獻 = 91 圖版目錄 = 98 圖版 = 102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39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朝鮮末期 民畵의 故事人物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Gushi-renwu hua(Figure Painting of a Historical Fact, 故事人物畵)’ in Minhua(Folk Painting, 民畵) of the End Joseon Dynasty-
dc.creator.othernameKwon, Min-kyung-
dc.format.pagevi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