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윤재-
dc.contributor.author정수영-
dc.creator정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6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오늘날 극한에 치달은 전 지구적 생태 위기의 시대에 기독교의 세계관이 보다 생태적일 수 있으며, 이에 이 위기의 시대에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희망에서 시작한다. 전통적 기독교 세계관은 인간중심적이고 가부장적이며 이원론적 세계관이었음을 비판받아왔다. 이러한 기독교는 지구 곳곳에서 벌어지는 심각한 생태계 파괴에 무엇보다 책임이 크며, 이 위기 상황에 응답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기독교 안에서 제시될 수 있는 생태적인 신과 인간 그리고 자연 이해를 함석헌과 샐리 맥페이그의 사상을 통해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함석헌의 씨알사상은 서구의 기독교를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받아들였으며, 동양사상 그 중에서도 노장사상과의 창조적 대화를 통해서 독창적으로 정립한 것이다. 함석헌은 노장사상의 영향으로 물, 여성, 아기를 높게 평가하는 생태적인 감수성과 무위자연을 통한 스스로 하는 자유와 저항, 평화 등을 지향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장사상의 영향과 철저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제시된 그의 씨알사상은 씨알이 지니는 생명의 원리인 스스로 함과 대듦, 조화, 전체성, 역동성 등이 내재되어 있고, 이로부터 생태적이고 유기체적인 신과 인간 그리고 자연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함석헌에게 씨알은 억압받고 소외된 민중을 의미하며, 그는 이러한 민중의 생명원리를 긍정하고 그들을 역사의 주체로 내세운다. 따라서 생명의 원리를 고스란히 간직한 씨알 민중은 역사의 주체이며, 나아가 이들을 통해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북미 생태 여성신학자인 샐리 맥페이그 역시 전통적 기독교의 가부장적 신 이해를 비판하고 오늘날에 적합한 생태적인 기독교적 세계관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제시한다. 그는 고정화되고 특권화되기 쉬운 기독교 상징들을 경계하여 은유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어머니, 연인, 친구로의 하나님 은유를 제안한다. 또한 전통적 기독교에서 억압받았던 ‘몸’ 이미지를 회복시키고 세계를 하나님의 몸 은유로 제시하며, 전통적 기독교의 창조, 죄와 악, 구원 등을 생태적인 관점에서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 속에서 신과 인간 그리고 자연은 오늘날에 보다 적합하게 생태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논문은 함석헌과 맥페이그가 삶의 자리가 다르고 시대가 다르지만, 그들의 사상이 소통할 수 있는 공통분모를 가지며, 이에 따라 두 사상의 만남을 시도한다. 두 사상은 전통적 기독교의 가부장적이고 인간중심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이며, 그들이 제시한 새로운 세계관은 보다 생태적일 수 있다는 공통분모를 가진다. 이 때 두 사상의 창조적 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가다머의 지평융합 개념을 사용한다. 가다머의 지평융합은 지평과 지평이 만났을 때 이루어지는 자연스러운 현상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지평융합이 가지는 기존 지평에 대한 존중과 더불어 두 지평이 만났을 때 나타나는 개방성, 창조성, 역동성, 포용성 등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공을 초월한 두 사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만나기 위한 지평융합을 통해서 더욱 풍성해진 생태적 세계관을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사상의 대화를 통해 함석헌의 부족한 여성인식은 맥페이그의 생태여성신학으로부터 보완될 것이고, 맥페이그의 한정된 주체 인식은 함석헌의 고난 받는 ‘인식론적 특권’에 따라 민중 주체로 확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의 사상이 보완되어 더 풍성해진 세계관은 생태 위기의 오늘날 생태적이고 유기체적이며 여성적인 신관, 인간관, 자연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starts with a hope that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can be more ecological in the face of the extremely serious global ecological crisis, presenting a viable alternative to the crisis. The traditional Christian view of the world has been criticized for its human-centered, patriarchal, and dualistic approach. Christianity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serious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across the globe and has to respond to the crisis.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understanding of ecological God, humans, and nature, which the Christian faith presents, through thoughts of Ham Sok-hon, and Sallie McFague. Ham's 'Ssial Thought' independently accepted Christianity of the West. Rather than blindly accepting it, his idea was born though the creative dialogue with oriental philosophy, especially the Lao-Chuang Thought. Influenced by the Lao-Chuang Thought, Ham sought ecological sensibility that values water, women, and babies; and self-imposed freedom, resistance, and peace through Laozi's concepts of 'it-self-so-ing'(Ziran自然) and 'non-coercive action'(Wu Wei 無為). 'Ssial Thought,' which was based on the Lao-Chuang Thought and Ham's thorough view of history, has intrinsic values such as defiance, harmony, wholeness, dynamics, and doing by oneself, the energy of life represented by Ssial (literally means seed). An ecological and organic Christian understanding of God, humans, and nature can be found in Ham's thought. As Ssial particularly means the oppressed, marginalized ordinary people to Ham, he recognized the energy of life of the grassroots or the commoners and placed them as the subject of history. Indeed, the grassroots are the subject of history as the ones who have kept spirit of life intact, opening possibilities of saving lives through the commoners. Sallie McFague, a North American Ecofeminist theologian, criticizes the patriarchal understanding of God in the traditional Christian faith and presents a paradigm shift to a Christian ecological view of world, which is fit for the world of today. McFague warns against the Christian symbols that are fixed and likely to be privileged and presents metaphorical methodology in which God could be a mother, a lover, or a friend. In addition, she restores the image of 'the body,' which was repressed in the traditional Christian belief; uses a metaphor that the world is God's body and understands the traditional Christian ideologies from creation, virtue and vice, to redemption in an ecological sense. Through such understanding, God, humans, and nature can be presented in an ecological way, which is more fitting for the world of today. Furthermore, this study seeks to combine Ham's thought with McFague's on the belief that they share a common ground for communication although they had a different place in life and lived in different times. Both have a common denominator: they represent the paradigm shift in the patriarchal and human-centered traditional Christianity; and the new world view they present can be more ecological. To effectively facilitate the creative dialogue between the two thoughts, this thesis uses Hans-Georg Gadamer's philosophy, 'Fusion of Horizon.' Although the Fusion of Horizon is a methodology to interpret the natural phenomenon where horizon meets another horizon, this thesis emphasizes respect for the existing horizon represented by the Fusion of Horizon and openness, creativity, dynamics, and tolerance expressed when two horizons meet. Through the Fusion of Horizon in which two thoughts can more effectively meet beyond time and space, a much more enriched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can be presented. Such dialogue between the two thoughts will enable Ham's lack of perspective towards women to be complemented by McFague's Ecofeminist Theology while McFague's limited subjective consciousness to be expanded to the subject of the grassroots by Ham's 'epistemological privilege.' In the face of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a world view enriched by mutual complement of the two thoughts will present us with a new ecological, organic, feminine view of God, humans, and na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 1 B. 선행연구 고찰 = 6 C. 연구방법 및 전개 = 12 Ⅱ. 한국 기독교의 패러다임 전환으로의 토착신학 : 함석헌의 씨□사상과 노장사상 이해를 통한 새로운 신 · 인간 · 자연 이해 = 18 A. 유영모의 노장사상 이해 = 18 1. 유영모의 노장사상과의 대화를 통한 신 · 인간 · 자연 이해 = 19 2. 유영모의 신 · 인간 · 자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5 B. 함석헌의 씨알사상과 노장사상 이해를 통한 유기적 · 생태적 신 · 인간 · 자연 이해 = 30 1. 씨□사상 이해 = 31 2. 신 이해 = 38 3. 인간 이해 = 46 4. 자연 이해 = 55 5. 함석헌의 신 · 인간 · 자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60 Ⅲ. 서구 전통 기독교 세계관의 패러다임 전환으로의 생태여성신학 : 샐리 맥페이그의 생태여성신학을 통한 새로운 신 · 인간 · 자연 이해 = 67 A. 생태여성신학의 출현과 과정 = 68 1. 생태여성신학의 출현과 배경 = 68 2. 생태여성신학의 전개 = 71 B. 샐리 맥페이그의 생태적 · 여성적 신 · 인간 · 자연 이해 = 75 1. 샐리 맥페이그의 은유 · 구성 신학적 방법론 = 75 2. 신 이해 = 79 3. 인간 이해 = 88 4. 자연 이해 = 95 5. 샐리 맥페이그의 신 · 인간 · 자연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102 Ⅳ. 생태적이고 유기적인 신 · 인간 · 자연의 풍성한 이해를 향하여 : 함석헌의 씨□사상 · 노장사상 이해와 샐리 맥페이그의 생태여성신학의 지평융합 = 109 A. 언어 이해 = 109 B. 신 이해 = 115 C. 인간 이해 = 118 D. 자연 이해 = 125 Ⅴ. 결론 = 130 A. 종합 정리 = 130 B.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 = 133 참고문헌 = 136 ABSTRACT =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55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함석헌과 샐리 맥페이그의 창조적 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생태적인 신·인간·자연 이해를 중심으로-
dc.format.pageⅳ, 1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