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은미-
dc.contributor.author박경애-
dc.creator박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6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64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the spiritual education methods for the spiritual growth of the whole person in children through understanding the Korean children and children's spirituality. Children are in the process of cognitive, psychological, and moral developments and are the subjects of the spiritual growth. Given the premise that they are the objects of spiritual education, this study concerns on the children's spiritual education for which it has been overlooked from the spiritual education so far. Especially,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ildren, the objects of spiritual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being the weak in the society, they are excessively required to improve their academic accomplishments and prepare for the future success, resulting in suffering from deep emotional wounds and anxieties with the stress and pressure. For them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piritual education is required to reform their broken relationships anew and heal them. The spiritual education is needed not only for healing their wounded body and heart but also for their true humanization and their peace of mind. To search for the spiritual education methods for the children under these unique Korean situations, the spiritual educator Richard J. Foster's and Iris V. Cully's theories of spiritual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application from these two scholars has been attempted and a method of spiritual education along with children has been suggested. In Chapter One, being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it explained the background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the situations Korean children might face and showed the motive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caused by those situations, study plans and ranges. In Chapter Two, it has dealt with understanding the childhood and general stages of development theories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childhood, such as Jean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Erik H. Erikson's Theory of Social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Lawrence Kohlberg'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As for the faith development stages, it has examined Ronald J. Goldman's Theory of Religious Thinking Development and James W. Fowler's Theory of Faith Development. Moreover, the ostracizing among the Korean children which is a social problem, the Internet and media addiction, and excessive cramming-oriented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In additi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ildren living in the Korean situations have been shown. They are getting pushed for success through study, and learning the sociality caused by the rush complex from the parents, teachers and society. The more time they spend in the cyber space, the more they are experiencing isolation from the reality, community, and family. By being overexposed to the visual media, they justify and learn violence naturally, and sometimes make violent behaviors to those who they think are lower in ranks. On the other hand, children could become victims of those violence just because they are the weak in the society, whose developments are yet in the childhood levels. In Chapter Three, spirituality and spiritual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ual definitions on spirituality by many scholars and its understandings were studied. It has been examined how they understood the spirituality and how they practiced it traditionally in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Traditional concepts of spirituality in Korea deemed spirituality as being dualistic and regarded it as a personal thing. However, new understanding on spirituality was formed by a study with a new approach. This is to understand God and mankind, world, and the ecological world as a inter-relational spirituality. Based on this new understanding, it focuses on the education of the training course for spiritual growth rather than its meaning and demonstrates the spiritual education methods and its directions for the Korean children. Spirituality does not grow out of a momentary, one-time experience of mystery or knowledge but is gradually built up by a long journey of life and pursue the integral spiritual growth of mankind. Foster and Cully's theories of spiritual education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education which were examined before. Foster divided the models of spiritual education into three: inward, outward, and corporate discipline and suggested the contents of spiritual education accordingly. And Cul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piritual education and explains its major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nurturing, community, and daily life. Chapter Four suggests a spiritual education method along with the Korean children to which was applied Foster's and Cully's theories of spiritual education. The purposes of the education method are on education for healing, education for humanization, and education for overcoming isolation and obtaining peace of mind, consider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ildren.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education, first, the education for healing suggests meditation, Bible, nature, and studying themselves. Second, the education for humanization studies the simple life which enables them to overcome their possessive desires and service education with the families. Finally, the education for overcoming isolation and obtaining peace of mind suggests to the children attending the services and rites to celebrate the interrelationship. Chapter Five, as a conclusion, sums up this study,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es on more specific and practical methods of spiritual education by showing its limits.;본 논문은 한국 아동에 대한 이해와 아동의 영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아동들의 전인적인 영적성숙을 위한 영성교육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동은 인지적, 심리적, 도덕적 발달과정 중에 있는 존재이며 영성 성장의 주체이다. 연구자는 아동을 영성교육의 대상으로 전제하고 영성교육의 대상에서 간과되어 왔던 아동의 영성교육에 관심한다. 특히 영성교육의 대상자인 한국 아동들의 특수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한국의 아동들은 사회적 약자로서 지나친 학업 성적의 향상과 성공을 위한 준비를 요구받으며 스트레스와 부담감으로 깊은 상처와 불안감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있는 아동들을 위하여 그들의 깨어진 관계를 새롭게 형성하며 치유하기 위하여 영성교육이 요청된다. 아동들의 상처 입은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그들의 진정한 인간화와 평화를 위하여 영성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적 특수한 상황에 있는 아동들의 영성교육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영성교육가인 리차드 포스터(Richard J. Foster)의 영성교육의 다양한 형태와 아이리스 컬리(Iris V. Cully)의 영성교육론을 살펴본다. 그리고 두 학자의 이론 적용을 시도하여 아동과 함께 하는 영성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Ⅰ장은 본 논문의 서론 부분으로 현대 한국사회와 한국 아동들의 상황적 배경을 설명하고 그 상황으로 인한 연구의 동기 및 목적,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을 밝히고 있다. Ⅱ장은 아동기에 대한 이해로 아동기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발달이론 단계들을 장 피아제 (Jean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 로렌스 콜버그 (Lawrence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신앙발달단계는 로날드 골드만(Ronald J. Goldman)의 종교적사고발달이론, 제임스 파울러 (James W. Fowler)의 신앙발달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한국 아동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문제인 왕따 문제와 인터넷 미디어의 중독, 과도한 입시위주 교육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어서 한국적 상황에서 살고 있는 아동들의 특수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한국의 아동들은 사회와 부모, 학교 등으로부터 공부를 통한 성공을 재촉당하며 무엇이든지 빨리해야한다는 강박관념의 사회성을 학습하고 있다. 그리고 아동들은 사이버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현실사회에서의 단절, 공동체와 가정에서의 단절을 경험하고 있다. 또 이들은 영상매체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폭력을 정당화하며 배우고 있고 자신들의 사고로 서열이 낮다고 생각되는 대상에게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한편 아동들은 모든 발달의 수준이 아직 아동기에 머물러 있는 힘이 약한 존재라는 이유로 사회적 약자로서 폭력의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Ⅲ장은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하여 고찰한다. 현대인들이 갖는 영성을 위한 욕구와 그 욕구의 원인을 살펴보고 여러 학자들의 영성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그 이해를 알아본다. 그리고 기독교 역사를 따라 전통적으로 어떻게 영성을 이해하고 실천하여 왔는가를 검토해본다. 전통적인 영성의 개념은 영성을 이원론적으로 바라보고 개인적인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영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연구로 영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형성되었다. 이것은 하나님과 인간, 세계, 그리고 생태계를 상호관계적인 영성으로 이해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영성 이해를 바탕으로 영성 성장을 훈련 과정의 의미보다는 교육의 과정으로 보고 아동들을 위한 영성교육에 대한 방법과 지향점을 밝히고 있다. 영성은 한 순간의 일회적인 신비체험이나 지식에 의해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긴 인생의 여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며 인간의 통전적인 영성성장을 추구한다. 앞서 살펴본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한 이해을 바탕으로 포스터와 컬리의 영성교육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포스터는 내적 교육, 외적 교육, 공동적 교육으로 영성교육의 모델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영성교육의 내용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컬리는 영성교육을 강조하며 영성교육이 지닌 주요한 특징을 양육성, 공동체성, 일상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Ⅳ장은 포스터와 컬리의 영성교육론을 적용한 한국 아동과 함께하는 영성교육 방법을 제시한다. 영성교육의 방법은 한국 아동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아동의 치유를 위한 교육, 아동의 인간화를 위한 교육, 아동의 단절성 극복을 위한 교육에 그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적 목적을 바탕으로 첫째 아동의 치유를 위한 교육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묵상과 자신, 자연, 성서를 공부하는 영성교육을 제시한다. 둘째는 아동의 인간화를 위한 교육으로 아동의 소유욕을 극복하는 단순한 삶과 가족과 함께하는 봉사 교육에 대하여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단절성 극복을 위한 공동체적 교육으로 아동들의 공동예배와 상호관계성을 축하하는 의식을 영성교육으로 제시한다. Ⅴ장은 결론으로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를 밝힘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영성교육 방법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3 II. 한국 아동에 대한 이해 = 4 A. 아동기의 발달적 특징 = 4 1. 아동기의 심리적 발달 이해 = 4 2. 아동기의 신앙 발달 이해 = 8 B. 한국 아동들의 특징과 문제점 = 11 1. 한국 아동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문제 = 13 2. 사회문제에 따른 아동들의 특성 = 18 III. 영성이해와 영성교육 모델 = 26 A. 기독교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한 이해 = 26 1. 기독교 영성 = 27 2. 영성교육의 이해 = 37 B. 영성교육의 모델 = 40 1. 리차드 포스터(Richard J. Foster)의 영성교육 = 40 2. 아이리스 컬리(Iris V. Cully)의 영성교육 = 52 IV. 리차드 포스터(Richard J. Foster)와 아이리스 컬리(Iris V. Cully) 의 영성교육론을 적용한 아동들과 함께하는 영성교육방법 = 61 A. 아동의 치유를 위한 내적 = 교육61 1.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묵상 = 62 2. 자신, 성서, 자연을 배우기 = 67 B. 아동의 인간화를 위한 외적 교육 = 75 1. 아동의 소유욕을 극복하는 단순한 삶 = 76 2. 가족과 함께 하는 봉사 = 80 C. 아동의 단절성 극복을 위한 공동체적 교육 = 85 1. 아동들의 공동 예배 = 86 2. 상호관계성을 축하하는 의식 = 92 V. 요약 및 결론 = 98 참고문헌 = 103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32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아동들과 함께하는 영성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리차드 포스터와 아이리스 컬리의 영성이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piritual Education Along With the Korean Children : Focusing on the Spirituality Theories of Richard J. Foster and Iris V. Cully-
dc.creator.othernamePark, Kyung Ae-
dc.format.pageⅴ,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