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원용-
dc.contributor.author조민경-
dc.creator조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42-
dc.description.abstract2008 년 여름, 다시금 온라인 여론이 힘을 발휘했다. 과거 몇 번의 사례를 통해 온라인 여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번에 발생한 ‘미국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는 과거의 사례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온라인상의 토론을 넘어 오프라인의 사회운동까지 전개되는 과정을 가장 응축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참여 수준도 매우 높았다. 무엇보다 온라인토론을 통한 여론형성이 과거와 비교했을 때 다른 구조와 다양한행위자들이 등장하여 앞으로의 온라인 여론 형성 양상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사례였다. 이번 사례에서는 온라인 토론장인 아고라와 한겨레 토론마당이 접점이 되었으며,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개인이나 커뮤니티 등 네트워크의 기본 단위로서 허브나 커넥터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특히 온라인 토론장이 주요 허브가 되면서 그곳에서 어떤 현상이 일어났으며, 그 곳에 참여한 개인들이 어떤 행동을 했는지가 중요 관심사가 되었다. 온라인 토론장에 대한선행연구들도 이러한 점에 관심을 가지고 과연 온라인 토론이 숙의민주주의를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인터넷이라는 매체적 속성으로 인한 영향, 온라인 토론의 내용, 방식 등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토론장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나 온라인 여론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개인의 참여동기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동기는 행동의 목표와 방향 그리고 강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이라는 기술로 인해온라인 토론장은 과거의 어떠한 매체보다 개인의 정치, 사회·경제적 요인에 영향을 가장 덜 받기 때문에 온라인 토론 참여는 무엇보다 개인의 주관적 요소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장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동기를 탐색해 봄으로써 참여자들의 행위 그리고 더 나아가 온라인토론장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온라인 토론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참여동기를 분석하게위해 미디어 소비에 관한 이론인 이용과 충족 이론 그리고 기대가치이론을 살펴보았다. 많은 학자들이 두 이론을 통합하여 미디어 소비를 하게 되는 경유들을 연구하였는데, 팜그린과 레이번은 추구된 충족과 획득된 충족에 대한 기대가치모델을제시하였다. 이 모델의 경우 신념과 평가요인이 추구된 충족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곧 미디어 노출이라는 행위에 영향을 주며 이는 다시 획득된 충족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토론에 참여하게 되는 경로도 이와 같다고 보았으며, 두 이론이개인적인 심리적 요인에만 집중하는 측면이 있고 온라인 토론은 단순히 미디어 이용이 아니라 참여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습참여 동기이론을 접목시켜 통합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참여동기를 목표지향, 학습지향, 활동지향으로 나누었으며, 사전인터뷰와 관련 서적을 통해 구체적 요소를 추출하여 참여동기에 관한 진술문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사람의 주관성을 측정하는 Q 방법론을 이용하여 참여동기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유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온라인 토론장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정보추구 참여형, 토론 문제의 정보에 대해 심사숙고하고 온라인 토론자의 정치적 영향력을 믿는 비판적 심사숙고 참여형, 그리고 사회 문제에책임감을 느끼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올바른 정책을 이끈다고 생각하는 긍정적 시민의식 참여형이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유형들이 찬성한 진술문을 통해 세 유형 모두가 기본적으로 온라인 토론장의 정보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세 유형 모두가 반대한 진술문은 대부분 자기표현을 하고자 하는 동기였으며, 가장 높은 반대 진술문은 적극적인의사표현 진술문이었다. 또한 온라인 토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도 부족하였다. 온라인 토론장에 대한 고찰과 이곳을 통해 발생하는 여론의 함의를 살펴보자면 온라인 토론장은 아직까지 적극적인 의사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참여하고자하는 동기도 낮아 온라인 토론 참여가 토론 문제의 순간적인이슈화로 인해 일어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온라인 토론장은 정보를 얻기에는 유용한 곳이지만 지속적으로 의견표현이 교환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참여동기의 개념을 정의하는데 이론적 논리가 부족한 측면이 있으며, Q 표본에 대한 개발이 미흡한 점이 있었다. 하지만 개인들이 어떠한 동기로 온라인 토론에 참여하게 되었는지를 탐색연구를 한 것은 동기와 행위간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바탕이 되기 때문에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change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past, a few people were able to access the mass media but now most of the people can approach the media and express their opinions. Recently people have opinionated their views in public through the online discussion. We’ve experienced several social movements that occurred through the online discussion and realized a social and political power. However ‘The demonstration against U.S imported beefs’ that was a big issue all through this summer was different from past events. In this case, each individual played a strong role as a unit of network and connector on the online and the online discussion spaces were important herbs for network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what participants did on the online discussion room in order to explain this case and we need to investigate participant’s motivation in order to understand a participant’s act on Net.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the online discussion participant’s motivations about U.S imported beef by using Q-methodology. The participant’s motivation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 pursue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issue. They think a variety of information exists on the online discussion room compared to other media. Type 2 seeks to obtain information and deliberate about the information and they believe their opinions expressed on the online discussion room have influence on public policies but not strongly. Type 3 pursues to express their opinions due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issue as a social problem and they think it is significant and can change policies. They are optimistic about functions of the online discussion room. These all types agree that they want to obtain and consider information about the issue. The other side they disagree that they want to express actively opinions and be constantly interested in the issue. In accordance with these results, we could predict the online discussion room isn’t a place that briskly happen an exchange of views and participants tend to participate on the spur of the moment.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online public opinion has a strong effect on society and the online discussion room plays an important role. So many scholars have studies about that to develop democracy but there are no studies about participant’s motivations. The motivations can determine a goal, direction and intensity of participant’s acts.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explore the online discussion participant’s motivations in order to participant’s acts on the online discussion roo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문제 및 연구 의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인터넷 시대의 여론 = 7 1. 여론의 정의와 여론형성 과정 = 7 가. 여론의 정의 = 7 나. 여론형성 과정 = 10 2. 온라인 토론을 통한 여론형성 = 13 가. 새로운 공론장으로서의 온라인 토론장 = 13 나. 온라인 토론장의 유형과 특징 = 16 3. 온라인 여론의 특징과 양면성 = 19 4. 온라인 여론형성과정에 관한 선행연구와 그 한계점 = 22 B.‘미국 쇠고기 수입반대’ 온라인 여론에 대한 고찰 = 24 1. ‘미국 쇠고기 수입반대’ 토론에서 나타난 네트워크와 영향력 = 24 2. 온라인 사회운동으로의 전개 = 27 C. 온라인 토론 참여자의 참여동기 = 28 1. 동기의 의미와 특성 = 28 2. 동기에 관한 이론 고찰 = 30 3. 참여동기를 구성하는 요소들 = 37 가. 인지욕구 = 37 나. 정치 효능감 (policy efficacy) = 38 다. 자기표현(Self-presentation) = 39 라. 흥미(interest) = 40 Ⅲ. 연구방법 = 41 A. Q방법론의 배경 = 42 B. P표본 구성 = 43 C. Q표본 구성 = 44 D. Q표본 분류과정과 방법 = 46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 48 A. 온라인 토론 참여자의 동기 유형 결과 = 48 B. 유형별 특성 분석 = 50 1. 제1유형 : 정보추구 참여형 = 50 2.제2유형: 비판적 심사숙고 참여형 = 53 3.제3유형: 긍정적 시민의식 참여형 = 55 C. 유형 간 차이 = 58 1. 유형 1과 2의 차이 = 58 2. 유형 1과 3의 차이 = 60 3. 유형 2와 3의 차이 = 61 4. 세 유형의 동의 진술문 = 63 Ⅴ. 결론 및 제언 = 64 A. 연구 요약 = 64 B. 연구 한계점 및 제언 = 70 참고문헌 = 73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77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온라인 토론 참여자의 참여동기에 관한 Q방법론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미국 쇠고기 수입반대' 토론 참여자를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Online Discussion Participant's Motivation Utilizing Q Method-
dc.creator.othernameJo, Min-Kyung-
dc.format.pageⅶ,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