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미희-
dc.contributor.author김아람-
dc.creator김아람-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4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4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 국가와 사회의 혼혈인 인식과 그 구체적인 내용이 입양과 교육에 반영된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혼혈인은 분단과 한국전쟁의 사회적 결과로 기존 한국사회 구성원과 부계혈통을 달리 하는 존재였다. 국가와 사회의 혼혈인 관련 논의와 제도에 대한 이해는 1950년대 국민국가를 형성하고 전후사회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국민이 어떻게 규정되었는지 파악하게 하였다. 또 이것은 1960년대 국가가 경제성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강조하였던 국민의 단결이 어떠한 목적과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게 하였다.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혼혈인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지만 1950년대에 혼혈인 대책은 마련되지 않았다. 국가가 혈연 등 모든 요소의 일체를 강요하는 가운데 혼혈인은 부계혈통을 계승하는 국적법에 따라 법적 국민이 될 수 없었고, 사회적으로도 차별이 당연시 되었다. ‘양공주’로 일원화되는 혼혈인 어머니와 미국 하위문화를 향유하고 범죄를 일으키기도 하는 혼혈인 아버지(미군)에 대한 인식이 혼혈인에게도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또 전후 정부의 구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혼혈인은 상대적으로 더욱 배제되었다. 정부는 이러한 혼혈인을 최대한 많이 해외에 내보내는 것을 최선이라고 여겼지만 해외입양에 관한 제도나 법률은 없었다. 민간단체는 해외입양을 통해 기독교적 선교를 실천하고자 하였고, 대리입양의 방식으로 많은 수의 혼혈인이 미국으로 입양되었다. 1960년대에는 국가가 국민을 규정하는 데 있어서 혈통보다 경제성이 더 강조되었다. 군사정부는 국가의 부담을 줄이면서 경제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보호가 필요한 많은 수의 아동을 국내외로 입양 보내고자 하였다. 정부의 고아입양 대책은 기존에 주요 해외입양 대상자였던 혼혈인이 국내에 거주하게 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국내 혼혈인의 대부분은 가정에서 길러졌기 때문에 국가는 이들의 환경이 열악하여도 가족의 책임이라고만 여겼다. 혼혈아동이 현실적 조건을 극복하며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교육이 필요하였다. 교육은 혈통으로 차별되는 혼혈인이 국민과 조화를 이루게 하고 배움의 열망을 해소할 수 있는 통로이면서 국가가 혼혈인을 일정 장소에 수용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였다. 혼혈아동과 부모는 멸시와 조롱 등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다른 아동과 분리된 교육을 원하였지만, 국가는 혼혈인이 기존 의무교육에 통합되길 바랐다. 1950년대 정부는 다른 교육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고, 군사정부는 해외입양이 국가 체면을 손상시키므로 혼혈인이 국내에서 교육받아야 한다는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1962년에 서울시가 혼혈아동만의 시립학교를 세워 분리교육을 시행하였으나 2년 만에 일반 아동과 통합되었다. 혼혈아동의 교육에서도 1960년대 전반 국가가 지향하는 경제적 효율성이 관철되었던 것이다. 혼혈인이 교육을 통해 국민으로 통합되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었다. 그러나 국가의 통합 방식은 혼혈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수반되지 않은 물리적 혼합이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전반 혼혈인 문제는 국가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소수자가 국가와 사회로부터 배제되는 모습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1950년대 국가는 획일적인 국민형성을 통해 분단된 국민국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고, 1960년대 전반 국가는 노동력인 국민을 단결시켜서 경제개발의 극대화를 도모하였다. 이 과정에서 혼혈인은 차별되거나 다양성을 인정받지 못한 채 통합되었다.;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national and social recognition of mixed-blood people from the 1950s to early 1960s and the specific reflections of it into the adoption and education. The mixed-blood people were the social consequence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orean War. Their existence differed from the existing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the paternal lin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ed discussion and system on mixed-blood people helped to perceive how the people were defin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nation-state in the 1950s and restoring the post-war society. Also, it showed how the national unity, which the government stress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economic growth in the 1960s, was achieved by what purpose and method. The number of mixed-blood people increased rapidly through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era and the Korean War, however, no measure was arranged to solve the problem in the 1950s. While the nation forced the unity of all elements such as blood ties, mixed-blood people were not accepted as legal citizens according to the Korean Nationality Act, which regulated to inherit paternal line, and also the social discrimination was considered as natural. It is because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mother of mixed-blood child, unified as the foreigners’ whore, and the father, the U.S. soldier, who enjoyed the American low culture and committed crime occasionally, was projected to the mixed-blood people. Also, the increase of people on the bread line ruled out the mixed-blood people still more relatively. The government considered it best to send most of such mixed-blood people to abroad, but there was no system or law concerning overseas adoption. The private organization initiated to practice the Christian missionary work by overseas adoption and a number of mixed-blood children were adopted into the U.S. by way of Proxy Adoption. In the 1960s, the government stressed economical efficiency over the family line. The military government, to speed up the economic development, sought to adopt out a lot of children in need of protection to in and out of the country. The governmental measures to adopt orphans contributed to the residence of mixed-blood people in the country, who were previously the major subjects of adoption. As most of domestic mixed-blood people were brought up at home, the government attributed the charge of poor surroundings to the family. To live in the country and grow up as an adult, the mixed-blood child needed education. Education was the passage to solve the passion to learn and to live in harmony with the people for the mixed-blood people, discriminated by the blood. It was also a method for the country to accommodate and regulate the mixed-blood people to a certain place. The mixed-blood children and parents expected a separate education from other children due to the realistic difficulties such as the contempt and sneer, however, the government wanted to incorporate the mixed-blood people into the existing compulsory education. It’s because the government had no alternative for education in the 1950s and the military government thought that overseas adoption disgraced the country and that the mixed-blood people should be educated within the country. Then, in 1962, the city of Seoul established a municipal school only for the mixed-blood children and operated the separate education, but to incorporate with general children only after two and a half years. The government attained the economic efficiency, which it pursued in the early 1960s, even in the education of mixed-blood children. It was desirable to integrate the mixed-blood people into the people through the education. However, the governmental measures for integrating did not accompany the changed recognition towards the mixed-blood people, only to end as a physical blend. The subject of the mixed-blood people from the 1950s to early 1960s distinctly showed the discrimination of minority from the nation and society dur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 In the 1950s, the country sough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divided nation-state through the standardized formation of the people, and in the 1960s promoted to maximize the economic development by the unity of the people, the manpower. In the process, the mixed-blood people were discriminated or integrated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 1 Ⅱ.혼혈인의 발생과 국가·사회적 인식 = 6 1.혼혈인의 발생과 증가 = 6 2.국가와 사회의 혼혈인 인식 = 14 Ⅲ.1950년대 혼혈인의 해외입양 = 23 1.전후 구호대책에서의 혼혈인 문제 = 23 2.민간단체 중심의 해외입양 실태와 문제 = 31 Ⅳ.1960년대 전반 혼혈인의 교육 = 40 1.고아대책과 국내거주 혼혈인의 현실 = 40 2.혼혈인의 통합교육과 분리교육 논의 = 48 Ⅴ.결론 = 59 참고문헌 = 62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68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50~1960년대 전반 한국의 혼혈인 문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입양과 교육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ubject of Mixed-Blood People in South Korea from the 1950s to Early 1960s : Focused on the Adoption and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A-Ram-
dc.format.pageⅵ,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