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운산-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6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640-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인 부부와 비기독교인 부부의 갈등과 갈등표출 유형이 부부의 결혼만족도 및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기독교인 부부와 비기독교인 부부의 경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부부 모두 기독교인인 경우, 부부 중 한쪽만 기독교인인 경우, 그리고 부부 모두 비기독교인들로서 각 변수에 대해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최종 265부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5% 범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조사대상 부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부갈등 수준, 갈등표출방식, 결혼만족도, 결혼안정성 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부부갈등 수준, 갈등표출방식, 결혼만족도, 결혼안정성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부갈등과 갈등표출방식 변인들이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독교인 부부의 경우 부부의 개인적 문제로 인한 갈등과 언어공격적 갈등표출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부관계로 인한 갈등과 언어공격적 갈등표출방식이 결혼안정성에 주요 부정적 영향요인이며, 갈등에 대한 긍정적 표출방식이 결혼안정성을 높이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부부 모두 비기독교인인 경우 부부의 공동생활로 인한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주요 부정적 영향요인이었으며, 갈등에 대한 긍정적 표출방식이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부부갈등과 갈등표출방식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부갈등 변인 중 부부관계 갈등변인이 결혼안정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갈등표출방식 변인에서는 언어공격적 갈등표출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긍정적 갈등표출방식 변인만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In this study, influences of Christian and non-Christian married couple’s conflict and form of conflict expression on marriage satisfaction and marriage stability were verified, and intended to look into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 married couple and non-Christian married cou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both husband and wife are Christian, only one of couple is Christian, and both husband and wife are non-Christian who reside in Seoul and Daegu area, and using questionnaire structured with Likert 5 point index on each variable as measuring tool, questionnaire data of the final 265 copies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of SPSS 12.0,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within 5% significance level. First in order to inquire into differences such as level of married couple’s conflict, way of expressing conflict, marriage satisfaction, marriage stability, etc according to demographic, soci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couples being research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Nex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quire into relations among level of married couple’s conflict, way of expressing conflict, marriage satisfaction, and marriage st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quire into influences of married couple’s conflict and way of expressing conflict factors on marriage satisfaction and marriage stability. With this study’s survey analysis,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drawn: First, in case of Christian married couples, conflict and verbally violent expression of conflict by personal issue were the main influence factors that have negative influence on marriage satisfaction, and conflict and verbally violent expression of conflict by conjugal relations were the main negative influence factors on marriage stability, and positive expression on conflict was the main influence factor that improves marriage stability. Second, in case where both husband and wife are Christians, conflict by the couple’s communal life was the main negative influence factor for marriage satisfaction, and positive expression on conflict was the main influence factor improving marriage satisfaction. Also, in analyzing conjugal conflict and way of expressing conflict on marriage stability, conjugal conflict variable among conjugal relations' conflict variables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marriage stability, and verbal verbally violent expression of conflict among ways of expressing conflicts variables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and only positive way of expressing conflict had positive influence on marriage st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부부갈등과 갈등표출방식 = 3 1. 부부갈등 = 3 2. 갈등표출방식 = 6 B. 결혼만족도 = 12 C. 부부갈등 표출 형태에 따른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 = 17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의 모형 및 가설 = 24 1. 연구모형 = 24 2. 연구의 가설 = 25 B. 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 25 1. 자료의 수집 = 25 2. 자료의 분석방법 = 26 C. 측정도구 = 27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9 A. 연구대상자 인구사회학적 특성 = 29 B. 측정항목의 요인분석 = 30 1. 부부갈등 측정항목의 타탕성 및 신뢰도 검증 = 31 2. 부부갈등 표출형태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 33 C.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 = 34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부갈등 수준의 차이 = 34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갈등표출방식의 차이 = 36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 = 38 4.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혼안정성의 차이 = 40 D. 변인 간의 상관관계 = 42 E. 부부갈등 표출이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43 1. 부부갈등 표출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44 2. 부부갈등 표출방식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52 V. 결론 = 59 A. 연구의 요약 = 59 B. 결론 및 연구의 한계점 = 64 참고문헌 = 66 부록 : 설문지 = 72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97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독교인 부부와 비기독교인 부부의 부부갈등 표출형태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luences of Christian Married Couple and Non-Christian Married Couple's Form of Conflict Expression On Marriage Satisfaction-
dc.creator.othernameKim, Min Jeong-
dc.format.pageⅵ,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