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정혜윤-
dc.creator정혜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2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se the career barriers of adolescents. The construct of career barriers is a conce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ffect individual to choose own career and it has late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gular male/female students and academically talented male/female students from early to later stages of adolescents.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grade of study,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 Second,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 will have fewer hindrances to career compared to regular student. Finally, Female students’ career barrier will be higher than male student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1010 adolescents who are Korean adolescent students (male=504, female=546) residing across the country from Seoul to Kyung-gi province. We divided to two groups. There were 606 excellent adolescents and other is 444 regular adolescents. To measure career barriers, I used the Career Barriers Scale for randomly chosen female and male student which consist of 42 items designed to assess Korea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 high school female and male student’s career barrier. The Career Barrier Scale have a seven-factor structure of career barriers for Korean adolescent. Participants responded to each statement on a 4-point Likert-type scale ranging from strongly disagree(1) to strongly agree(4). I conducted a two-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on career barrier variables, Results from the MANOVA suggested that the significant school stages*academic achievement effect of students. As the adolescents get higher in school stages, their career barrier was higher. And the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career barrier was lower than regulars’. Especially, differences between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and regular students’ career barrier was higher. But, there was a main effect of students’ sex that the career barrier of boy was higher than girl’s. The results showed the change of regular adolescents and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career barrier.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on the comparison on career barrier between Korean boys and girls. For further study, I expect that the research about career barrier of adolescent will be investigated by Cross-sectional approach and Longitudinal research.;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에 대한 비교 및 분석을 통해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수준이 청소년기에 진입하여 후기 청소년기로 접어들기까지 성별에 따라 어떠한 변화과정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으로 우수한 남녀청소년들과 일반 남녀청소년들을 초·중·고 학교급별로 총 1050명을 모집하였다. 검사 도구는 남녀 각기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장벽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진로장벽은 7개의 하위변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기이해의 부족’, ‘자신감 부족’,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진로 및 직업 정보의 부족’, ‘경제적 어려움’이 이에 속한다. 둘째, ‘자기이해의 부족’, ‘자신감 부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 ‘경제적 어려움’에서 학교급별·학업성취(학업우수청소년, 일반 청소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우수청소년들과 일반청소년들은 학교급별이 올라갈수록 ‘자기이해의 부족’, ‘자신감 부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 ‘경제적 어려움’을 높게 지각하며, 학업우수청소년들보다 일반청소년이 중·고등학교로 갈수록 더 높게 지각하며 차이를 나타냈다. ‘경제적 어려움’은 성별·학업성취의 상호작용 효과 또한 유의미하였다. 남학생들은 학업우수청소년이 일반청소년보다 경제적 어려움을 더 높게 지각했으나 여학생은 일반청소년이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과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은 성별, 학교급별, 학업성취의 주효과만 유의미하였다. 두 변인 모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장벽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우수학생보다 일반학생이 장벽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차이가 유의미했고,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발달단계별로 요구되는 진로 상담의 내용을 발달수준에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도우며,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이 가지는 진로에 대한 어려움을 이겨내고 본인에게 알맞은 진로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장기적인 안목으로 조력, 지지할 수 있는 체제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진로장벽 = 6 1. 진로장벽의 개념 = 6 2. 진로이론에서의 진로장벽의 역할과 기능 = 9 B. 청소년의 진로장벽 = 14 1.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 14 2.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 = 17 Ⅲ. 연구 방법 = 22 A. 연구 대상 = 22 B. 연구 절차 = 22 C. 연구 도구 = 23 1.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 = 23 2. 청소년용 남성 진로장벽 척도 = 24 D. 분석 방법 = 25 Ⅳ. 연구 결과 = 26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 26 B. 청소년의 진로장벽 수준 차이 분석 = 27 1. 진로장벽 하위변인들 간 단순상관 = 27 2. 성별 및 학교급별에 따른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하위변인들에 대한 다변량 분산분석 = 27 Ⅴ. 결론 및 논의 = 33 참고문헌 = 40 부록 = 53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30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별 및 학교급별에 따른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수준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and comparison on the change of the academically talented and regular adolescent’s career barrier-
dc.creator.othernameChung, Hae Yoon-
dc.format.pageⅷ,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