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학업우수청소년의 부모애착, 성역할정체감, 자존감과 진로장벽 관계 모형의 남녀비교

Title
학업우수청소년의 부모애착, 성역할정체감, 자존감과 진로장벽 관계 모형의 남녀비교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parental attachment, gender role, and self-esteem.
Authors
김은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career barrier model of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d the causal structural model that of career barrier to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and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each variable and the casual model by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The research model hypothesized that parental attachment, gender role, and self-esteem affect career barrier to Korean talented students. Also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gender. This study included four questions to understand the career barrier model of Korean talented students. First, do the variables have group difference in gender? Second, how do parental attachment, gender role, and self-esteem affect the career barrier? Third, how do maternal attachment and paternal attachment affect the gender role (femininity and masculinity)? Fourth, how do gender role (femininity and masculinity) affect the self-esteem? Fifth, how do gender role (femininity and masculinity) affect the career barrier? Sixth, does this research model have group difference in gender? Participants were 651(female: 347, male: 304) talented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kido, analyzed for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correlation with variable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PC V.12 was used for analyzing that. In addition, AMOS V.5.0 was used f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and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test among the variables shows that career barrier and maternal attachment have group difference in gender. Male group perceived more career barrier especially in sex-role conflict and sex discrimination, and disapproval bysignificant others. Female group have more secure attachment with mother. Second, this causal model showed the reasonable fitness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mong exogenous variables, paternal attachment, masculinity, self-esteem negatively affect the career barrier of talented students in direct paths. Maternal attachment has only indirect effect on the career barrier through gender role and self-esteem. Third, both of maternal attachment and paternal attachment positively affect the femininity and masculinity. Fourth, both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have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 Fifth, all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masculinity on the career barrier through self-esteem is negative. In the case of femininity, only indirect effect of femininity on the career barrier through self-esteem is negative, but direct effect of that on the career barrier is positive. Sixth, the result of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research model of career barrier.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irst,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male students experience more career barrier especially in sex-role conflict and sex discrimination and disapprovals by significant others than female students. It may be because of the unique of Korea culture, powerful family relationship and influence.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male students may be forced to choose the career which is socially accepted as a manly, highly-regarded, and well-paid one. Therefore,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male students have no chance to fine out their interest and get a job what they interest in. Second,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of career barrier of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while there is difference in the effect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on the career barrier. It suggests that gender role is more important variable to career barrier than biological sex. Thus, it is more helpful if career counselor and career educator intervene in a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nsidering their gender role type than biological sex.;이 연구는 우리나라 남녀 학업우수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들에 근거하여 부모애착, 성역할 정체감, 자기존중감,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각 변인들의 수준과 그 관계에 있어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연구이다. 또한 진로발달에 있어 생물학적인 성차 보다는 성역할 정체감의 차이가 중요한 변인이라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진로장벽에 성역할 정체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관계에 남녀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아 생물학적인 성차와 성역할 정체감의 차이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특수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남녀 학업우수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을 낮추기 위해 어떠한 개입이 필요하며 어떻게 진로지도를 해야 할지 시사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중·고등학교 남녀 학업우수 청소년 총 651명(남자: 304명, 여자: 347명)이었고, 부모 애착 검사, 성역할 정체감 검사, 자기존중감 척도, 진로장벽 척도를 사용하였다. 둘째, 남녀 학업우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성역할 정체감, 자기존중감, 진로장벽 각 변인들을 남녀 집단 간에 평균의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애착, 여성성, 남성성, 자기존중감에서는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고, 모애착과 진로장벽에서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모애착은 여자 집단에서 높았고, 진로장벽은 남자집단에서 높았다. 셋째, 남녀 학업우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성역할 정체감, 자기존중감,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부모애착, 성역할 정체감, 자기존중감이 진로장벽에 각각 미치는 영향들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성역할 정체감이 자기존중감을 매개해서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고, 여성성과 남성성 발달에 부모애착이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쟁모형 1을 설정하였다. 경쟁모형 2는 부모애착과 성역할 정체감에 관련하여 동성부모와 애착이 높을수록 동성부모의 특질인 성역할 정체감이 발달된다는 동성 유형화된 이론에 근거하여 설정하였고, 경쟁모형 3은 성역할 정체감 중 남성성만 자기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그 결과, 남녀 학업우수 청소년의 여성성과 남성성발달에 모애착과 부애착이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역할 정체감은 자기존중감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 진로장벽에 영향을 주며, 여성성은 진로장벽을 높이고, 남성성은 진로장벽을 낮추었다. 또한 남성성과 여성성이 모두 자기존중감을 높였다. 궁극적으로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지각하며 연구모형이 지지되었다. 넷째, 남녀 학업우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성역할 정체감, 자기존중감,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에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동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녀 집단에서 모든 변인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녀 학업우수 청소년의 진로장벽에 있어 생물학적 성차보다는 성역할 정체감의 유형별 차이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한국의 문화 속에서 남자 학업우수 청소년들이 성역할 정체감과 관련해서 여자 학업우수 청소년들보다 진로장벽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