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포부의 관계 비교

Title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포부의 관계 비교
Other Titles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Authors
강혜원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청소년기에 자신이 선택한 일을 통해 자신의 자아를 실현시켜나가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이며, 특히 학업적으로 우수한 청소년들의 경우 일반 학생들과 다른 그들만의 독특한 특성으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있으므로 학업 우수 청소년이 진로를 탐색하고 자신의 능력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도록 돕는 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진로포부는 개인의 자아개념 및 미래의 교육 및 진로관련 선택이나 성취 등을 예측해줄 수 있는 개념이며, 우수한 여학생들이 우수한 남학생들 보다 더 낮은 진로 포부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들과 학업 우수 남학생들은 효능감과 장벽의 지각정도와 상관없이 여학생보다 높은 지위의 직업을 열망한다는 것이 밝혀져 학업 우수 청소년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의 구조관계가 남녀에 따라 달라지는지, 달라진다면 어떤 부분에 의한 차이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부모님과의 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설정하였으며, Lent 등(1994)의 진로선택모형에 기초해 이 변인들의 구조관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부 애착과 모 애착 각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진로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부 애착, 모 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의 전체적 구조관계에서 남, 여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다.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업적으로 우수한 남, 여학생 632명을 대상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들을 비교 검증한 결과, 차이검증에서는 간명성의 원리에 의해 연구모형이 채택되었으며, 적합도 비교에서도 다른 경쟁모형들의 RMSEA가 보통의 적합도에 속하는 것과 달리 연구모형의 RMSEA=.050(90% 신뢰구간 .036-.064)으로 좋은 적합도 범위에 속하였으므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모애착과 진로포부 사이를 완전히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각 변인 및 하위변인에 대해 학업 우수 남학생과 학업 우수 여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부 애착의 신뢰(남학생 평균=2.98, 여학생 평균=3.09), 모 애착 총합(남학생 평균=2.97, 여학생 평균=3.07), 모 애착의 의사소통(남학생 평균=2.81, 여학생 평균=2.96),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과제수준선호(남학생 평균=4.31, 여학생 평균=4.15),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 효능감(남학생 평균=4.16, 여학생 평균=4.41)이었다. 따라서 학업 우수 여학생들이 학업 우수 남학생들에 비해 아버지가 자신들을 잘 이해해주시고 존중해주신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어머니와 애착관계를 잘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업 우수 여학생들이 자기관찰, 자기 판단, 자기반응과 같은 자기 조절적 기제를 잘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능기대가 학업 우수 남학생들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학업 우수 남학생들은 학업 우수 여학생들에 비해 더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선택하려 하고, 자신의 기술 수준을 뛰어넘으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조관계가 남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남녀 집단 간에 구조동일성이 성립되어, 부모애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사이의 구조관계에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of adolescence is the growth and exploration of future aspirations and career goals (Ryan & Deci, 2001). Especially, Many gifted adolescents are in trouble because of their multipotentiality in various domains, and that may create uncertainty with choice of their future career (Kerr, 1994). Thus, it is important that educators, parents, and counselors aware of possibl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reer development of gifted adolescents. The majority of current findings about SCCT’s choice model suggest that rather than relating directly choice outcomes, the primary role of environmental variables may be to strengthen or weaken self-efficacy beliefs, which, in turn, promote career choice (Lent, Brown, Nota, & Soresi, 2003; Lent, Brown, Schimidt, et al., 2003). Also Blustein, Presioso, & Schultheiss (1995) proposed attachment is significant to adolescents as a way of advancing the exploration the career world. The current study utilized ideas from self-determination, attachment, and career development theories to develop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families influence young adult career development and aspirations. Rather than directly influencing career decisions, the family was proposed to influence processes within individuals that directly influence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Also, Hwang & Ryu (2003) explored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by examining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spiration, suggests that there is a sex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 Gender differences in self-efficacy help to explain male-femal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consideration (Bandura, 1997; Hackett & Lent, 1992; Swanson & Gore, 2000). Therefore, in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what is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Second, is there a gender difference between academically talent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Research participants were 632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recognized for the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y were Korean adolescent students (male=307, female=325) residing across the country from Seoul to Goeng-gi province. For understanding how parents influence academically talented male and female students’ career aspirations, and investigating whet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aspiration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result, proposed model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aspirations has the best model fit and simpleness in model competition. Contrary to some studies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is significant to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this finding means that attach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xcellent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s. This finding supports the idea that career counselors should assess family functioning when helpi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journey. Also, because academic self-efficacy and parental attachment affects to excellent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s only indirectly, Lent et al (1994)’s model was identified in the group of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either. Thus the support from family can be viewed as a facilitator of actualizing human potential, which can manifest as the expression of oneself through a career choi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s and the mediating model proposed. To study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the multiple group analysis in the SEM was performed. Because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structural invariance were accomplished, it is a possible interpretation tha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s and the proposed mediating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