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황도연-
dc.creator황도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17-
dc.description.abstract성역할 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여성은 진로 포부를 낮추거나, 여성다수인 전통적인 직업을 선택하게 되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성역할 사회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고려하여 어떻게 전통적인 진로포부를 가지게 되는지에 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사회화 변인과 진로포부 전통성 변인을 포함하여 모형을 검증한 선행 연구(Flores & O'Brien, 2002; O'Brien & Fassinger, 1993; Rainey & Borders, 1997)를 바탕으로, 성역할 사회화 과정이 진로 선택 전통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 고등학교의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 총 327 명을 연구의 표본으로 하였다. 부모에 대한 애착 검사, 남녀평등의식 검사, 성역할 정체감 검사와 함께 장래 희망직업을 묻는 질문지를 진로포부 전통성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둘째,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성역할 사회화와 진로포부 전통성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부모와의 애착이 성역할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고, 성역할 사회화 변인인 남녀평등의식과 남성성이 진로포부 전통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남녀평등의식과 남성성은 서로 독립된 척도로서 관계가 없다고 하는 주장을 바탕으로 남녀평등의식이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경쟁모형 1을 설정하였다. 부모와의 관계가 진로포부 전통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부모와의 애착이 진로포부 전통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쟁모형 2를 설정하였다.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연구모형이 지지되었다. 셋째, 연구모형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남녀평등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남성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우수 여자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성역할 사회화 변인에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남녀평등의식은 남성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성역할의 태도적인 측면이 성역할의 행동, 성격의 측면인 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남성성은 진로포부 전통성에 영향을 미치고, 양성평등의식은 진로포부 전통성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는 않지만, 남성성을 통해서 진로포부 전통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보았다.;Women may perceive limited career options particularly male-dominated occupation as a result of differential gender-role socializ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 between gender-role variables and career aspiration, researches have examined a comprehensive model do not seem to have been investigated ofte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gender-role socialization and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of academically talented female students. For the purpose to develop a broad model,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explore the influence and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gender role attitude, gender role identity,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Participants were 347 talented femal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by SPSS 15.0 for window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AMOS 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attachment, masculinity, gender egalitarianism,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Parental attachment, masculinity, gender egalitarianism were positively related each other. However,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masculinity, gender egalitarianism. 2.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assumptive model of this study is appropriate, a competitive model 1 and 2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researches precedent. The first competing model tested the possibility there was a missing pathway of gender related attitude, identity. The authors also tested a second competing partially mediated model that included an additional direct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l, a research model was supported with a better fit to data. 3. In the research model, the attachment to mother can positively influenceon gender egalitarianism; however, the attachment to father influences on masculinity. Next, gender egalitarianism influences on masculinity. And it was a negative significant path from masculinity to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but not from gender egalitarianism to traditionality.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The study of the structural model supported the gender role variable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2. The father's and mother's attachment showed different significant paths toward either egalitarianism or gender masculinity. In the present model, each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contributed differently to female adolescent's gender-role socialization. 3. Egalitarianism was related to masculinity, which implies some insight into intrapsychic processes of gender-role socialization in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adolescent. 4. It was found that only masculine gender roles influences on traditionality directly. It suggests masculinit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galitarianism and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성역할 사회화 이론 = 5 1. 성역할 사회화 발달 이론 = 5 2. 성역할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7 1) 애착 = 7 2) 성역할 태도와 성역할 정체감 = 10 B. 진로 포부 이론 = 12 C.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의 성역할 사회화와 진로포부 전통성 = 16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절차 = 20 C. 측정 도구 = 20 1) 부모애착 검사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IPA) = 20 2) 남녀평등의식 검사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and Children ; KGES-AC) = 21 3) 성역할 정체감 검사 (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 = 22 4) 진로포부 전통성 = 22 D. 분석 방법 = 23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 24 2) 구조모형 검증 = 24 Ⅳ. 연구 결과 = 25 A.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 결과 = 25 B. 구조모형 검증 결과 = 27 Ⅴ. 논의 및 결론 = 33 참고문헌 = 42 부록. 질문지 = 53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06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의 성역할 사회화와 진로포부 전통성에 관한 모형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ructural Model of the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Gender-Role Socialization and Career Aspiration Traditionality-
dc.creator.othernameHwang, Do Yeon-
dc.format.pageⅴ,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