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조은향-
dc.creator조은향-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44-
dc.description.abstractMeaning in life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psychology to explain human’s well-being. But present studies were limited to finding out the positive effects caused by having meaning life. And searching for meaning was neglected even though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does not always lead to finding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process of finding meaning in life. For that,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were used conceptually independently in this study. Also mediator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positive a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as well as mediator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affect and meaning presence were examin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285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and SEM(Structure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significance of mediator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that assumed mediator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ositive a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was supported. Each estimated value of path coefficient was significant except a path positive affect to meaning presence. Second, there was mediator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in life.The direct effect of searching for meaning on meaning presence and indirect effect of searching for meaning on meaning presence through ego-resilience were significant. These findings not only support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ego-resilience like present studies but also provide information that ego-resilience mediates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which makes the relation of two variables more concrete. Also, the result that there is direct effect of searching for meaning on meaning presence is different from the one of the study in USA. The result makes it possible to have an explanation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searching for meaning as a method of improving their mind. Therefore, they search for meaning in life all the time even though they already have it. Third, there was no mediator effect of positive a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in life. The result supports present studies that positive affect and meaning in life is not always related while it does not supports that positive affect enhance the feeling that life is meaningful. As many factors influence on meaning presence in life, there would be other mediators on the relation among two variables. Or the result reflects the culture difference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In west, expressing positive affect is general and it correlates highly with meaning in life. On the other hand, in the east, it is virtuous to keep to the golden mean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So, positive affect would not always predict meaning presence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urth, there was mediator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affect and meaning presence in life. The direct effect of positive affect on meaning presence was insignificant and indirect effect of positive affect on meaning presence through ego-resilience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positive affect leads to meaning presence only when it is mediated by ego-resilience. The result supports the researches that ego-resilience control and use positive affect to adapt. The result also may cause that affect is unstable and how we manage the affects is more important than what we feel so that transform it to stable thing like meaning in life. Therefore, in order to make people use their daily positive affects as a source of information that life is meaningful, psychologists have to find out the characters and strengths of each individual and help develop those elements.;삶의 의미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의미를 갖는 것이 주는 긍정적 영향을 밝히는데 그치거나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것이 항상 실제 삶의 의미발견으로 이어지지는 않음에도 불구하고 두 변인을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삶의 의미발견 과정에 대한 탐색적 이해가 어려웠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독립적인 개념으로 보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긍정 및 부정정서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갖는지, 그리고 긍정 및 부정정서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해가는 과정과 그 과정 안에서 정서경험과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매개변인의 사용이 용이하고 이론모형에 대한 통계적 평가가 용이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자아탄력성의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의미추구의 의미발견 사이에 긍정정서의 매개효과는 없었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만 확인되었다. 둘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와 자아탄력성의 부분매개 모형 역시 지지되었다. 또한 긍정정서 모형과 마찬가지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사이에 부정정서의 매개효과는 없었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만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보여주는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의 높은 상관관계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삶의 의미발견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이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매개한다는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두 변인의 관계를 보다 심도있게 드러내었다. 또한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서양의 기존연구와 다른 결과로써 의미추구를 수양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한국 대학생들의 의미발견 과정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는데 시사점을 주었다. 셋째, 긍정정서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직접매개효과가 있었다. 즉, 긍정정서는 자아탄력성을 통해서만 의미발견으로 이어진다. 이는 일상의 정서경험이 삶의 의미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과 같은 개인의 내적 강점, 기제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계발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긍정정서를 많이 표현하고 활용하는 서양문화에 비해 긍정 및 부정정서의 중용을 더 높게 평가하는 동양문화의 특성으로 이해할 수도 있었다. 넷째, 부정정서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부정적 경험과 긍정적 적응 사이를 매개하는 자아탄력성의 적응기제로서의 역할이 본 연구에서도 발견되었다. 또한 모형 내에서 부정정서에서 의미발견으로 가는 직접경로가 정적상관으로 나타난 것을 통해 자아탄력성이 주는 매개효과가 크다고 해석할 수 있었으며 부정정서 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발견하려는 자아탄력적인 특성이 가지는 높은 가치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삶의 의미발견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하려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상담장면 등에서 삶의 의미를 잃었거나 새로운 의미를 찾으려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서는 정서경험을 탐색하기 보다는 개개인이 가진 성격특성 및 내적인 강점들을 발견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 일관되게 삶의 의미발견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자아탄력성에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아탄력성이 삶의 의미발견 과정에서 가지는 양상을 다양하게 밝혀내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데 적용하는 것은 상담장면을 비롯하여 의미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삶의 의미 = 5 1. 삶의 의미의 개념 = 5 2. 삶의 의미와 적응 = 6 3. 삶의 의미발견 과정 = 7 B. 정서 = 9 1.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 9 2. 정서와 삶의 의미 = 10 C. 자아탄력성 = 12 1. 자아탄력성(ego resilience)의 개념 = 12 2.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 = 13 3. 자아탄력성과 정서 = 15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측정도구 = 17 C. 연구절차 = 19 D. 분석방법 = 19 Ⅳ. 연구 결과 = 21 A.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 결과 = 21 B. 삶의 의미추구, 의미발견, 긍정정서, 자아탄력성의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 = 22 C. 삶의 의미추구, 의미발견, 부정정서, 자아탄력성의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 = 25 Ⅴ. 논의 및 제언 = 29 A. 결과요약 및 논의 = 29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33 참고문헌 = 36 부록1. 긍정 및 부정정서 척도 = 46 부록2. 자아탄력성 척도 = 47 부록3. 삶의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 척도 = 49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371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긍정 및 부정정서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or of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and meaning presence in life-
dc.creator.othernameJo, Eum-Hyang-
dc.format.pageⅷ,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